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99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33866
김인경 (한서대학교)
2025
Korean
Sleep Quality ; Satisfaction of Department ; Quality of life ; Nursing Students ; Sleep Duration ; 수면의 질 ; 학과만족도 ; 삶의 질 ; 간호대학생 ; 수면시간
KCI등재
학술저널
733-743(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99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대전광역시와 경기도에 위치한 두 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99명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대상자를 모집하고 데이터를 수집할 때 윤리적 고려를 모두 하였다. 연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도구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데이터는 IBM SPSS Statistics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ANOVA, Pearson 상관계수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평균 수면의 질 점수는 18.46점으로, 이는 수면의 질이 전반적으로 낮은 편임을 시사한다. 학과 만족도는 평균 60.02점으로 중간 이상 수준이었으며, 삶의 질은 평균 3.53점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간의 차이에서는 수면시간이 세가지 변수와 모두 차이가 있었다. 수면의 질, 학과만족도, 삶의 질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올바른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교육적 개입이 필요하다. 특히 학과 만족도를 높이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학생들이 충분한 수면시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수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교수자는 학생 상담 시 수면의 중요성을 충분히 설명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대학에서는 학생상담센터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targeted 19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in Daejeon and Gyeonggi-do, South Korea. A descri...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among sleep qualit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quality of life in nursing students. The study targeted 199 nursing students enrolled in two universities in Daejeon and Gyeonggi-do, South Korea. A descriptive correlational research design was applied. Ethical considerations were fully addressed when recruiting participants and collecting data.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The research instruments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sleep qualit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quality of life measur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6.0, and statistical tests such a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tilized to derive the result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mean score for sleep quality was 18.46±3.59,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was 60.02±7.23, and quality of life was 3.53±0.33. Differences in sleep quality, satisfaction of department,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that sleep dur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all three variables. Moreover,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among sleep quality, satisfaction with the department, and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implemented to reduce unnecessary activities that interfere with sleep.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ufficient sleep duration among students. Additionally, faculty members should educate students on the significance of sleep during counseling sessions. Universities should also utilize student counseling centers and extracurricular programs to enhance students' sleep quality through structured educational initiatives.
취업처 선호요인, 진로준비행동과 취업의도의 상관성: 4년제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클러스터링 기법을 활용한 대한민국 행정구역(시군구) 별 의료 자원의 균형 평가
산양삼의 진세노사이드 함유 화장품이 안면 측면 피부의 모공, 주름, 색소침착 및 탄력도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