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 소명출판 2013
2 전혜경, "한국 베트남 설화 비교 연구" 문예림 2006
3 미르치아 엘리아데, "신화 〭 꿈 〭 신비" 도서출판 숲 2006
4 이현주, "신라의 ‘여인왕생’ 인식과 의미 -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조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6) : 85-118, 2017
5 박서연, "수행불교로서의 염불결사에 관한 연구 - 신라 중대(中代)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8) : 135-158, 2014
6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2006
7 고동, "선묘(善妙) 설화와 베트남 만랑(蠻娘) 설화의 비교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0 (60): 37-73, 2021
8 일연, "삼국유사" 민음사 2002
9 무경,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영남척괴열전" 돌베개 2000
10 이한우, "베트남 한류를 보는 한국과 베트남의 시각" 이매진 2013
1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한국과 베트남 사신, 북경에서 만나다" 소명출판 2013
2 전혜경, "한국 베트남 설화 비교 연구" 문예림 2006
3 미르치아 엘리아데, "신화 〭 꿈 〭 신비" 도서출판 숲 2006
4 이현주, "신라의 ‘여인왕생’ 인식과 의미 -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조를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06) : 85-118, 2017
5 박서연, "수행불교로서의 염불결사에 관한 연구 - 신라 중대(中代)를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68) : 135-158, 2014
6 미르치아 엘리아데, "성과 속" 한길사 2006
7 고동, "선묘(善妙) 설화와 베트남 만랑(蠻娘) 설화의 비교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60 (60): 37-73, 2021
8 일연, "삼국유사" 민음사 2002
9 무경, "베트남의 신화와 전설-영남척괴열전" 돌베개 2000
10 이한우, "베트남 한류를 보는 한국과 베트남의 시각" 이매진 2013
11 레 찌 꾸에, "베트남 전설의 양상" 비교민속학회 2000
12 응우옌티타잉쑤언, "베트남 신화, 전설, 민담 속의 여성"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10 : 2010
13 송정남, "베트남 사회와 문화 들여다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13
14 정환국, "베트남 불교서사의 성격" 동악어문학회 (63) : 175-216, 2014
15 김영순, "베트남 문화의 오디세이" 북코리아 2013
16 최빛나라, "베트남 관음신앙(觀音信仰)의 특징 연구" 한국베트남학회 17 (17): 229-259, 2019
17 구가인, "백의민족 : 베트남과 한국의 고대사, 그 영겁의 시간을 넘어" 지식공감 2013
18 미르치아 엘리아데, "메피스토펠레스와 양성인" 문학동네 2008
19 조승미, "『삼국유사』의 구도 설화와 티벳 밀교 전기문의 비교 - 여성의 이미지와 역할의 유사성을 중심으로 -" 불교문화연구원 (100) : 149-174, 2022
20 박유미, "『삼국유사』 구도설화에 나타난 하층민의 구도 양상과 그 의미" 택민국학연구원 (21) : 139-164, 2018
21 이지환, "『삼국유사』 <욱면비염불서승> 텍스트의 상보적 서술 양상에 대한 전체론적 해석" 한국고전연구학회 (51) : 185-232, 2020
22 서철원, "『三國遺事』에 나타난 비현실적 존재와의 만남"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32 : 7-40, 2020
23 신은경, "「삼국유사」 소재 ‘郁面婢念佛西昇’에 대한 페미 니즘적 조명" 한국여성문학학회 (27) : 7-31, 2012
24 김병권, "「郁面婢念佛西昇」의 불교문화적 담론 연구"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34) : 159-182, 2019
25 최귀묵, "<만랑전(蠻娘傳)>에 나타난 신불(神佛) 관계론" 동남아연구소 31 (31): 65-94, 2021
26 임진호, "(용의 후예)베트남의 신화와 전설" 지성人 2014
27 유인선, "(새로 쓴)베트남의 역사" 이산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