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史"
2 김보광, "특집 고려 내 다루가치의 존재 양상과 영향 - 다루가치를 통한 몽골 지배방식의 경험 -" 한국역사연구회 (99) : 25-58, 2016
3 고명수, "쿠빌라이 집권 초기 관리등용의 성격-漢人儒士 중용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5) : 81-127, 2013
4 金浩東, "칭기스 칸의 子弟分封에 대한 再檢討―『集史』 <千戶一覽>의 分析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9 : 29-65, 2004
5 이강한, "원제국인들의 방문 양상과 고려인들의 인식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43) : 129-168, 2015
6 김호동, "울루스인가 칸국인가 - 몽골제국의 카안과 칸 칭호의 분석을 중심으로 -" 중앙아시아학회 21 (21): 1-29, 2016
7 이종수, "몽골제국의 탐라총관부 구조, 기능분석" 8 (8): 3-28, 2014
8 김호동, "몽골제국의 세계정복과 지배: 거시적 시론" 역사학회 (217) : 73-106, 2013
9 김호동, "몽골제국과 ‘大元’" 역사학회 (192) : 221-253, 2006
10 박소현, "몽골의 토올" 민속원 2005
1 "金史"
2 김보광, "특집 고려 내 다루가치의 존재 양상과 영향 - 다루가치를 통한 몽골 지배방식의 경험 -" 한국역사연구회 (99) : 25-58, 2016
3 고명수, "쿠빌라이 집권 초기 관리등용의 성격-漢人儒士 중용 문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5) : 81-127, 2013
4 金浩東, "칭기스 칸의 子弟分封에 대한 再檢討―『集史』 <千戶一覽>의 分析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학회 9 : 29-65, 2004
5 이강한, "원제국인들의 방문 양상과 고려인들의 인식 변화" 한국중세사학회 (43) : 129-168, 2015
6 김호동, "울루스인가 칸국인가 - 몽골제국의 카안과 칸 칭호의 분석을 중심으로 -" 중앙아시아학회 21 (21): 1-29, 2016
7 이종수, "몽골제국의 탐라총관부 구조, 기능분석" 8 (8): 3-28, 2014
8 김호동, "몽골제국의 세계정복과 지배: 거시적 시론" 역사학회 (217) : 73-106, 2013
9 김호동, "몽골제국과 ‘大元’" 역사학회 (192) : 221-253, 2006
10 박소현, "몽골의 토올" 민속원 2005
11 유원수, "몽골비사: 원조비사" 사계절 2014
12 이명미, "몽골 복속기 권력구조의 성립 -元宗代 고려-몽골 관계와 권력구조의 변화-" 한국사연구회 (162) : 293-330, 2013
13 애탕송남, "대원제국" 혜안 2013
14 박원길, "대몽골(원)제국의 백성분류체계" 한국몽골학회 (41) : 1-27, 2015
15 박원길, "대몽골(원)제국 시대의 양마법(養馬法)과 가마장비" 43 : 1-88, 2015
16 전영준, "고려후기 제주 移居 元이주민과 通婚"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5) : 395-425, 2013
17 "고려사"
18 김보광, "고려–몽골 관계의 전개와 다루가치의 置廢過程" 호서사학회 (76) : 83-119, 2015
19 고명수, "고려 주재 다루가치의 置廢경위와 존재양태 - 몽골의 고려정책 일 측면 -" 부경역사연구소 (39) : 41-74, 2016
20 "隋史"
21 "遼史"
22 "舊唐書"
23 "秦史"
24 "漢史"
25 "宋史"
26 조원, "大元제국 다루가치체제와 지방통치― 다루가치의 掌印權과 職任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회 (125) : 251-295, 2013
27 "唐史"
28 배숙희, "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중국사학회 (76) : 95-122, 2012
29 "元史"
30 여치호, "元代 아스人(Asud)의 擡頭와 政治的 役割" 동양사학회 (120) : 181-222, 2012
31 이병렬, "13세기 대원제국의 탐라 다루가치 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6 (26): 269-28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