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적응에 나타나는 삽입모음의 유형과 그 특 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삽입모음의 유형은 크게 기정치 모음, 자음동화,모음 조화로 분류되는데, 일본어는 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46253
2014
Korean
차용어 ; loanword ; 모음삽입 ; vowel epenthesis ; 기정치 모음 ; default vowel ; 모음조화 ; vowel harmony ; 자음동화 ;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KCI등재
학술저널
85-107(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적응에 나타나는 삽입모음의 유형과 그 특 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삽입모음의 유형은 크게 기정치 모음, 자음동화,모음 조화로 분류되는데, 일본어는 이 ...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적응에 나타나는 삽입모음의 유형과 그 특 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삽입모음의 유형은 크게 기정치 모음, 자음동화,모음 조화로 분류되는데, 일본어는 이 세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는데 비해, 한국어 는 기정치 모음과 자음동화만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일본어 차용어의 모음삽 입 중 원어가 /tw/연쇄일 경우 높이의 모음조화가 일어나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형식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에 일어나는 삽입유형의 하나인 자음동화는 원어가 순음, 구개마찰음, 구개파찰음일 경우 그 순음성에 대한 지 각의 차이로 인해 순음 동화에 의한 /u/와 구개음 동화에 의한 /i/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원어의 지각은 양 언어 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vowel epenthesis and its properties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There are three possible epenthesis strategies: (i) insertion of a default vowel, (ii) place assimilation from neighboring consonant (i.e....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vowel epenthesis and its properties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There are three possible epenthesis strategies: (i) insertion of a default vowel, (ii) place assimilation from neighboring consonant (i.e.,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and (iii) vowel harmony (spreading of vocalic properties). Japanese shows all types of epenthesis strategies, but Korean reveals only two types of epenthesis: (i.e., (i)(i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ly, I will clarify that there is a vowel height harmony in /tw/-cluster in Japanese loanword and analyze it formally based on autosegmental representation. Secondly, there have effects of perceptual assimilation in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in Japanese and Korean. In Japanese, /□, □/ of source language have strong acoustic cue, relatively long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that Japanese listeners perceive as [□□, □□], but /□□, □/ have relatively short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so Japanese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i] in which high front vowel [i] is inserted. In Korean, the same acoustic cues of /□, □, □□, □/ do not play a role of perception of native vowel [u], so Korean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t□i, t□hi, t□i]. There seems to be disagreement on perception of roundness of /□, □, □□, □/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사고동사 “思う(생각하다)”의 의미와 문법기술 -인용구“~と”를 취하는 경우-
『목적의 의미』의 연구 -『に格名詞+移動動詞』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