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Young의 심리도식모델에 근거하여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 있는 초기 부적응 도식을 알아보았다. 단절 및 거절 도식에 해당되는 다섯 가지의 하위도식인 유기, 불신/학대, 정서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0883
청주 : 충북대학교, 2017
학위논문(석사) --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심리학전공 , 2017. 8
2017
한국어
184.7 판사항(5)
충청북도
The relationship of early maladaptive schema and non-suicidal self-injury
iv, 51 p. : 삽화, 표 ; 26 cm.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유성은
참고문헌 : p.36-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Young의 심리도식모델에 근거하여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 있는 초기 부적응 도식을 알아보았다. 단절 및 거절 도식에 해당되는 다섯 가지의 하위도식인 유기, 불신/학대, 정서적...
본 연구에서는 Young의 심리도식모델에 근거하여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 있는 초기 부적응 도식을 알아보았다. 단절 및 거절 도식에 해당되는 다섯 가지의 하위도식인 유기, 불신/학대, 정서적 결핍, 결함/수치심, 사회적 고립이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예측하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해 기능 평가지(FASM), Young 심리도식 질문지 단축형 3판(YSQ-S3), 정서조절곤란 척도(DERS)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설문형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모든 하위도식들은 비자살적 자해 빈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 비자살적 자해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져 있는 정서조절곤란과 성별(여성)을 통제한 이후 단절 및 거절 도식 중 불신/학대와 결함/수치심 도식만이 비자살적 자해 빈도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타인을 향한 부정적인 도식인 불신/학대와 자기 자신을 향한 부정적인 도식인 결함/수치심 도식이 비자살적 자해와 관련 있는 핵심 변인임을 보여주며, 자해 행동 감소를 위한 심리학적 개입에서 불신/학대와 결함/수치심 도식에 초점을 둔 인지적 개입이 유용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