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미술과 국어과 융복합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언 : 아동의 감성지능 향상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을 목적으로 = Suggestions for revitalization convergence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38489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응용미술학과 , 2017. 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ix, 155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이부연
        권두 국문요지, 권말 Abstract 수록
        부록 수록
        참고문헌: p. 133-141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1세기는 융합의 시대이다. 교육 또한 단일 교육에서 지식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육성을 위한 통합 교육, 융복합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와 교...

      21세기는 융합의 시대이다. 교육 또한 단일 교육에서 지식기반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의 육성을 위한 통합 교육, 융복합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하는 사회와 교육과정에 발맞추어 최근 국내· 외로 활성화되고 있는 융복합 교육의 역할과 필요성을 알리고자 한다. 특히 다양한 융복합 교육 중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교육의 중요성과 활성화를 알리고 본 연구를 통해 아동의 비판적 사고력 함양과 감성지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양질의 교육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의 방법과 범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성화를 위한 연구목적과 필요성 및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감성지능의 의미와 특징, 구성요소를 파악함으로써 감성지능의 중요성을 연구 하였다.
        셋째, 감성지능의 향상을 위한 감성교육의 방법과 중요성 대해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넷째, 비판적 사고력의 특징과 구성요소를 살펴봄으로써 비판적 사고력 함양의 당위성을 연구하였다.
      다섯째, 통합과 융합, 융복합의 의미 및 융복합 교육의 특성과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와 함께 현재 국내·외별로 실시되고 있는 융복합 교육의 동향과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여섯째 미술교육과 국어교육의 특징을 바탕으로 미술교육과 국어교육이 감성지능과 비판적 사고력과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일곱째, 서울과 경기지역의 교육전문가들과 서울과 경기지역의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융복합 교육의 현황 및 인식을 통하여 개선방안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융합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여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융복합 교육 운영의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프로그램 사례들을 통해 융합의 교육적 가치를 제시하고 다양한 연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교육전문가들의 역량 강화에 힘써야한다.
      둘째,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교육 활성화의 구체적 실현을 위한 체계적 준비와 교육정책의 구축과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미술교육과 국어교육의 공통점과 교차점을 찾고 비판적 사고력과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꾸준한 연구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많은 교육전문가들은 미술과와 국어과의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었으나 이를 실행하기 위한 융복합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해서는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꾸준한 연구를 통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렇게 개발된 프로그램 등을 공유하여 활성화해야 한다.
      미술과와 국어와의 융복합 교육은 자신과 타인과의 소통 및 공감과 같은 감성지능을 향상시키고 통합적인 사고력, 비판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토대로 미래 사회에 기여 할 수 있는 미술과와 국어와의 융복합 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창의 융합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 방안으로 발전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중요성 5
      •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8
      • 4. 유사문헌 연구 9
      • Ⅰ. 서 론 1
      • 1. 연구배경 및 목적 1
      • 2. 연구의 중요성 5
      • 3. 연구의 방법 및 내용 8
      • 4. 유사문헌 연구 9
      • 5. 연구의 제한점 11
      • Ⅱ. 감성지능과 감성교육 12
      • 1. 감성지능의 정의 12
      • 2. 감성지능의 구성요소 16
      • 3. 감성지능의 중요성 24
      • 4. 감성교육의 개념과 특성 26
      • 5. 감성교육의 중요성 28
      • Ⅲ. 비판적 사고력의 고찰 30
      • 1. 비판적 사고력의 개념 30
      • 2. 비판적 사고력의 구성요소 및 특징 34
      • 3. 비판적 사고력의 중요성 39
      • Ⅳ. 융복합 교육 고찰 및 국내·외 융복합 교육 동향 43
      • 1. 융복합의 개념 43
      • 2. 융복합 교육의 특징 및 유형 47
      • 3. 융복합 교육의 필요성 56
      • 4. 국내 융복합 교육의 정책 및 현황 58
      • 5. 국외 융복합 교육의 정책 및 현황 63
      • Ⅴ. 미술과와 국어과 교육 연구의 필요성 69
      • 1. 미술교육의 특징 및 필요성 69
      • 2. 미술교육과 감성지능의 연계성 72
      • 3. 미술교육과 비판적 사고의 연계성 75
      • 4. 국어교육의 이해 및 필요성 78
      • 5. 국어교육과 감성지능의 연계성 80
      • 6. 국어교육과 비판적 사고의 연계성 82
      • Ⅵ. 미술과와 국어과 융복합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85
      • 1. 미술과와 국어과 융복합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전문가들의 인식 85
      • 2. 미술과와 국어과 융복합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 108
      • 3. 미술과와 국어과 융복합의 교육 활성화를 위한 제안 125
      • Ⅶ. 결 론 128
      • 참고문헌 133
      • ABSTRACT 142
      • 부 록 146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Boeck, K., Martin, D., "「EQ」", (홍명희 역). 해냄, 1997

      2 김진수, "STEAM 교육론", 양서원, 2012

      3 고성한, 이상진,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4 Goleman, D., "「감성지능 EQ 상」", 비전코리아, (황태호 역). 비젼코리아, 1996

      5 Goleman, D., "「감성지능 EQ 하」", (황태호 역). 비젼코리아, 1996

      6 박영복, "「고등학교 독서」", 한샘출판, 교학사, 1996

      7 김재은, "창의성과 감성교육", 창지사, 창지사, 2012

      8 백윤수, "「STEAM 총론적 고찰」",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2

      9 김정희,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3

      10 유광찬, "「통합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02

      1 Boeck, K., Martin, D., "「EQ」", (홍명희 역). 해냄, 1997

      2 김진수, "STEAM 교육론", 양서원, 2012

      3 고성한, 이상진, "「글쓰기」",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10

      4 Goleman, D., "「감성지능 EQ 상」", 비전코리아, (황태호 역). 비젼코리아, 1996

      5 Goleman, D., "「감성지능 EQ 하」", (황태호 역). 비젼코리아, 1996

      6 박영복, "「고등학교 독서」", 한샘출판, 교학사, 1996

      7 김재은, "창의성과 감성교육", 창지사, 창지사, 2012

      8 백윤수, "「STEAM 총론적 고찰」",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보고서, 2012

      9 김정희, "「미술교육과 문화」", 학지사, 2003

      10 유광찬, "「통합교육의 탐구」",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2002

      11 정옥분, "정서발달과 정서지능", 학지사, 학지사, 2007

      12 교육부, "초중등교육과정 총론", 2015

      13 강갑원, "정서교육 개념의 탐색", 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교육연구, 3(2), 1998

      14 홍성욱, "「융합이란 무엇인가」", 사이언스 북스, 2012

      15 심영옥, "「영유아동 미술교육론」", 경희대학교 출판국, 경희대학교출판국, 2008

      16 김광수, "「특집 : 비판적 사고론」", 철학연구 제58집, 철학연구회, 2002

      17 잉그럼, 제임스 B, "교육과정통합과 평생교육", 학지사, 창지사, 1995

      18 김재복, "「미술과의 수업과 평가」", 일지사, 1990

      19 김진수,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 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2011

      20 차윤경, 송륜진, 김선아, 이은연, 문종은, 김시정, 박영석, "융복합교육의 이 론과 실제", 학지사, 학지사, 2014

      21 김현경, "「감성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세대, 1998

      22 김재복, "「교육과정의 통합적 접근」",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1985

      23 박만엽, "「비판적 사고와 구성주의」",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4

      24 김희정, 박은진, "「비판적 사고를 위한 논리」", 아카넷, 2004

      25 김영채,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교육과학사, 1998

      26 문용린, 강민수, 최경아, "EQ 생활태도검사의 타당화 연구", 한국 인간발달학회, 2004

      27 황의명,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 프로그램", 양서원, 양서원, 1997

      28 김영정, "「비판적 사고와 학습의 3단계」", 대한토목학회, 대한토목학회지. 제53권 제4 호 통권 제 300호, 2005

      29 서영식, "융복합 교육을 위한 철학적 고찰", 새한철학회, 새한철학회.철학논총 제67집 제1권, 2012

      30 류의근, "「비판적 사고와 철학 논술 교육」", 세종, 세종출판사, 2012

      31 김주현, "「생각의 힘 비판적 사고와 토론」", 아카넷, 아카넷, 2012

      32 문영, 양정현, "「대학 예술 융합교육의 현황 연구」",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 대한무용학회논문집. 73권, 2015

      33 노용, "「주제 중심의 미술 교육과정 통합」",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미술과교육』제6권 2호, 2005

      34 주미경(Ju Mi-Kyung), 송륜진(Song Ryoon-Jin), 문종은(Moon Jong-Eun), "수학교과와 융복합교육: 담론과 과제", 대한수학교육학회, 대한수학교육학회. 대한수학교육학회지 제14권, 2012

      35 최기호, "「미술학습에서 비판적 사고의 검사」", 한국미술교육학회, 한국미술교육학회. 미 술교육논총 제27권 제3호, 2013

      36 김재복, "「통합 교육과정의 과제와 발전 방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경인교육대학교 초 등교육연구원, 2005

      37 김경수, "「감성지능 개발을 통한 삶의 질 향상」", 집문당, 집문당, 2010

      38 Goleman, D., "「Emotional Intelligence. Bantam , EQ 감성지 능」", (한창호 역). 웅진지식하우스. (원저 1995 출판), 2008

      39 전성수, "「감성지능 계발을 위한 미술교육 방안」",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9

      40 강문희, "「아동을 위한 감성지능 촉진 프로그램」", 시그마프레스, 2007

      41 김희경, "「융합인재교육의 현황과 미술의 역할 연구」", 경북대학교 교 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석사논문, 2014

      42 김미진, "「감성 사회성 교육의 필요성과 교육적 함의」", 학습자중 심교과교육학회, 2015

      43 김영철, "「글쓰기 과정에서의 비판적 사유 능력 역할」", 한국교양교육학회, 한국교양교 육학회. 교양교육연구 제7권, 2013

      44 조빈서, "「미술교육을 통한 감성지능(EQ)의 신장 방안」", 한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45 윤아영, 이희용, "「인문 예술 융합교육의 필요성과 현황 연구」", 한국 예술교육학회. 예술교육연구 12권, 2014

      46 손정우,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융합적 접근의 현주소」", 한국창의력교육학회, 한국창의력 교육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교사를 위한 STEAM 워크샵 자료집, 2012

      47 조향숙, "감성과 커뮤니케이션-통찰과 맥락을 중심으로-", 전남대 학교 호남학연구원, 2010

      48 이도영, "「국어과 교육의 이념 , 목표 , 내용 설정 방안」", 국어교육학회, 국어교육 학회. 국어교육학연구 6권, 1996

      49 김동영, "「미술중심의 초등학교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 한국미술교 육학회 제8호, 1998

      50 姜文姬, "아동감성촉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서울 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 소 사회과학논총 제13집, 2006

      51 김명숙, 허경철, 임선하, 양미경, 김흥원,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Ⅴ )」", 한국교육개발원, 1991

      52 이부연, "21세기 미술교육의 방향 -유아미술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조형교육 제16권, 2000

      53 이부연, "「아동의 지능과 미술능력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미술교육학회, 한국미 술교육학회. 미술교육논총, 1994

      54 차윤경, 이경윤, 이선경, 황세영, 이삼형, 주미경, 안성호, 문종은, 구하라, 함승환, 박영석, 유병규, "STEAM 교사 연구회 개발 자료 분석: 융복합교육적 접근",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13

      55 이혜경, "「감성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3

      56 연세대, "「2016 제8차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국제 비교 연구」", 사회발전연구소, 2016

      57 손경애, "「문학논술을 활용한 비판적 사고력 함양 방안 연구」", 전주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0

      58 곽병선, 진권장, 사성주, "「통합교과용 도서의 효율적인 지도를 위한 워크 숍」", 서울:한국교육개발원, 1981

      59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 미술교육과정」", 2007

      60 교육부, "「초중등학교 총론 및 각론 교육과정 : 미술교육과정」", 2015

      61 김선아, "융복합교육에서 미술의 역할과 특성: 교사 FGI를 중심으로", 한국조형교육학회, 한국조형교육학회, 2014

      62 백윤수, 이주연, 최유현, 김영민, 박현주, 한혜숙, 노석구, 정진수, "STEAM 교육의 구성 요소와 수업 설계를 위한 준거 틀의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 심교과교육학회,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지 제12권 제4호, 2012

      63 손지현, "비판적 사고의 이론과 실제: 예비 미술교사 교육에의 적용", 韓國造形敎育學會, 한국조형교육학회, 2008

      64 이영석, "유아를 위한 감성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그 효과 확인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유아 교육학회지, 1999

      65 홍승은, "「유아동 감성계발을 위한 미술교육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 국디자인포럼 제 22집, 2009

      66 김형숙, "「융합인재교육(STEAM)에서 미술교육의 관계와 중요성 고 찰」", 한국기초조형학회, 한국기초조형학회. 기초조형학연구, 2012

      67 이화식, "「2007년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비판적 사고와의 관계 연 구」", 한국조형교육학회, 한국조형교육학회. 조형교육 제31권, 2008

      68 김윤정, "「국어 교육에서의 ‘비판적 사고’ 프로그램의 활용성 연구」", 한민족어문학회, 한민족어문학회, 2013

      69 이부연, "“미술과 융합 STEAM 교육을 통한 두뇌발달의 중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한국과학예술포럼 Vol.17, 2014

      70 문종은, "「융복합 수학수업에서 나타난 변화율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2014

      71 남기철, "「수렴적 발문학습 활용을 통한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관한 연구」", 춘천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99

      72 김재득, 이희용, 서민규, "「국내대학의 인문, 사회 및 예술 간 융합교 육의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한국문화융합학회, 2016

      73 김정효, "지식기반사회에서 융합교육을 위한 간학문적 통합교육의 가능성 탐색", 한국문화교육학회, 문화예술교육연구 제7호, 2012

      74 강병직, 정영옥, 이재분, 이미경, 서예원, "「초중등 영재학급 및 영재교 육원의 융합인재교육(STEAM) 적용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12

      75 이효녕,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와 적용 - 미국 STEM 교 육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정보 61, 2012

      76 김영정, "「비판적 사고 : 비판적 사고와 공학교육(1) -비판적 사고 소 개를 위한 서언」", 한국공학교육학회 제 11권 1호, 2004

      77 김정효, "「미술과 중심의 융합인재교육(STEAM)이 미술과 교육과정 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2

      78 김미소, "「비판적 사고 향상을 위한 노인요양시설 응급간호 실무교육 모델 개발 및 적용」", 고려대학교 대학원,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5

      79 H. Siegel, "「Educating Reason: Rationality,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 비판적 사고와 철학 논술 교육」", (류의근 역). 세종출판사.(원저 1988 출판), 2012

      80 김정희 ( Jeung Hee Kim ), 강병직 ( Byoung Jik Kang ), 이현아 ( Hyun A Lee ), 이지연 ( Ji Yeon Lee ), 고홍규 ( Hong Kyu Koh ), "미술 개념에 대한 미술 분야 전문가들의 인식 분석-브레인스토밍 FGI 방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대학교 미술교육학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 연구논총 제38집, 2014

      81 Robert E., "Scholes. 「Textual power , 문학이론과 문학교육 - 텍 스트의 위력」. (김상욱 역). 서울 : 夏雨", (원저 1987 출판), 1995

      82 정재화,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에 관한 연구 : 국내외 운영 사례 및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박사 학위 논문, 2012

      83 John E., "Mc Peck. 「Critical thinking and Education , 비판적 사고와 교육」. (박영환 김공하 역) . 서울 : 배영사", (원저 1981 출판), 2005

      84 허미애, "「비판적 사고와 대인문제해결사고가 유아의 창의성과 대인 문제 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85 김대석, "「학교 교육과정에서 감성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이성 과 감성 구분의 오류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86 Gibbons, M., "외 「The new production of knowledge: The dynamics of science and research in contemporary societies」. London: Thousand Oaks", California, 1994

      87 원진숙, 최미숙,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담은 국어 교 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 론아카데미, 2016

      88 강병직, 이재분, 이미경, 오진호, 서예원, "「청장년시기(15세∼45세) 과학기술인재 발달 및 육성 종합 전략 연구. 3, 과학고등학교 및 영재학교 의 STEAM 교육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개발원, 2011

      89 최성희 ( Sung Hee Choi ), ""영국 내셔날 갤러리 통합교육 프로그램 ""Take One Picture"" 연구 -한국의 미술중심 융합인재교육과 초등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