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경찰관과 대학생의 거짓말 행동 특징에 관한 신념 및 거짓말 탐지능력에 대한 연구 = Beliefs about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lying and lie detecting ability of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0499229

      • 저자
      • 발행사항

        춘천: 한림대학교, 2005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림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심리학전공 , 2005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155.7

      • 발행국(도시)

        강원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 120 p.: 삽도;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 85-88.

      • 소장기관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짓말에 대한 고정 관념과 신념 그리고 이들의 거짓말 탐지 능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짓말에 대한 고정 관념과 신념 그리고 이들의 거짓말 탐지 능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찰관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두 가지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거짓말에 대한 고정관념과 거짓말할 때 나타날 것이라고 기대하는 행동 특징에 대한 신념에 대하여 확인하고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의 결과, 경찰관들과 대학생들은 자신의 거짓말이 발각될 가능성을 낮게 평가하였고, 타인의 거짓말에 대한 탐지 가능성도 낮게 평가하였다. 거짓말에 대한 6가지 고정관념은 경찰관과 대학생이 유사하게 믿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거짓말할 때 나타나는 비언어적·언어적 특징에 대한 신념에서도 경찰관과 대학생 모두 유사한 신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거짓말하는 범죄용의자들의 행동과 본 연구 참가자들의 신념을 비교해 보았을 때 언어적 특징에 대한 신념은 비교적 일치하였지만, 비언어적 행동 특징에 관한 신념은 불일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두 번째 연구는 실제로 경찰관과 대학생들이 얼마나 거짓말을 정확하게 판단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경찰관과 대학생들의 거짓말 탐지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자극재료를 만들기 위하여 예비연구가 실시되었다. 예비연구는 자원한 43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돈 봉투를 가지고 간 사람과 가지고 가지 않은 사람들을 조사관이 면담하여 진위여부를 판단하는 실험이었다. 이 중 10명의 진실 혹은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을 선정하여 녹화된 비디오 화면과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이들의 행동적 특징을 체크하였다. 예비연구 결과, 진실한 사람과 거짓말을 하는 사람의 비언어적·언어적 행동 특징에는 아무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자극재료를 이용하여 경찰관과 대학생들이 실제로 얼마나 정확하게 판단하는지 본 연구에서 알아본 결과, 경찰관은 평균 44.76%, 대학생은 평균 43.72%로 두 집단의 판단 정확성이 모두 우연수준인 50%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진실한 사람을 판단할 때보다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을 상대적으로 더 정확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위 판단에 사용된 단서를 분석해 본 결과, 비언어적 행동 특징에서 경찰관 집단과 대학생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것은 '미소' 였는데, 진실한 사람을 판단할 때는 대학생이 '미소' 에 대하여 더 많이 주목하였으며 거짓말을 하는 사람을 판단할 때는 경찰관이 더 많이 주목하였다. 언어적 특징 단서를 사용한 정도에서는 두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경찰관 집단은 판단 정확성과는 상관없이 판단 확신도가 대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거짓말 탐지 연구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understand stereotype and beliefs on lying with Korean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2) to see their lie detecting ability. Two studies were been conducted. In study 1, a questionnai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understand stereotype and beliefs on lying with Korean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as participants and (2) to see their lie detecting ability. Two studies were been conducted. In study 1,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75 police officers and 56 university students. The questionnaire were composed of questions asking their beliefs about characteristics of ly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1,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evaluated that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lies detecting to be low. They evaluated that the possibility of detecting others' lies to be low as well. It appeared that six stereotypes about lying were similarly believed by both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Also, both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had similar beliefs about non-verbal and 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When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foreign studies, current results were relatively consistent in verbal characteristics of lying but were rather inconsistent in non-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e study 2 was conducted to see how accurately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detect lies in experimental setting.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o make video material of lying or innocent persons being interviewed. The video material depicted a male student being questioned by a male investigator regarding a stolen money from an envelop. Ten video clips( 5 truth , 5 lying) were selected and shown to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group session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behavioral analysis, there was no difference in non-verbal and 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between liars and truth tellers.
      Police officers showed the average lie defection accuracy of 44.76% and university students showed 43.72%, which were both lower than 50% chance level. It appeared that participants were more accurate when judging liars than judging truth tellers. As a result of analyzing used clues in deciding truth or lie, "smile" showed significance in both group of police officers and university students in non-verbal behavioral characteristic. That is to say, when judging truth tellers, the university students used this cue more than police officers did. but, when judging liars, police officers used "smile" more than university students di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use of verbal characteristics between two groups. Also, police officers were more highly confident in their judgment compared to university students and confidence was not correlated with decision accuracy.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 of research was sugge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0
      • 목차 = i
      • Ⅰ. 서론 = 1
      • 1. 이론적 배경 = 4
      • 1) 거짓말의 정의 = 4
      • 국문초록 = 0
      • 목차 = i
      • Ⅰ. 서론 = 1
      • 1. 이론적 배경 = 4
      • 1) 거짓말의 정의 = 4
      • 2) 거짓말의 행동 특징 = 12
      • 3) 거짓말에 대한 통념 = 15
      • 4) 거짓말 탐지 = 17
      • 2. 연구 목적 및 필요성 = 22
      • Ⅱ. 연구 1 = 23
      • 1. 연구의 목적 = 23
      • 2. 연구 가설 = 23
      • 3. 연구 방법 = 25
      • 1) 설문대상 = 25
      • 2) 설문지 구성 = 26
      • 3) 설문방법 = 27
      • 3. 결과 = 27
      • 1) 일상 속에서 자신이 거짓말하는 빈도 = 27
      • 2) 거짓말 발각 가능성과 거짓말 탐지 가능성 = 28
      • 3) 거짓말에 대한 고정관념 = 29
      • 4) 거짓말 할 때 나타나는 행동 특정에 대한 신념 = 33
      • 4. 논의 = 37
      • Ⅳ. 연구 2 = 41
      • 1. 연구의 목적 = 41
      • 2. 연구 가설 = 41
      • 3. 예비 연구 = 43
      • 1) 실험 참가자 대상 = 43
      • 2) 실험실 구성 = 43
      • 3) 실험절차 = 44
      • 4) 면담 질문 구성 = 47
      • 5) 본 연구용 자극 선정 = 49
      • 6) 예비연구 결과 = 51
      • 4. 본 연구 = 55
      • 1) 설문 방법 = 55
      • 2) 본 연구 결 과 = 56
      • 5. 논의 = 76
      • Ⅳ. 종합논의 및 제언 = 80
      • 참고문헌 = 85
      • Abstract = 89
      • 부록 =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