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회복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047079
대구 :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계명대학교 대학원 , 심리학과 상담심리학전공 , 2016. 2
2016
한국어
대구
ⅳ, 64 ; 26 cm
지도교수: 손은정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회복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회복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서 상담에 종사하는 상담자 1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자료들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상담역량 부족과 업무과다, 회복경험의 하위 요인인 휴식과 자기성취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기대와 상담역량 부족, 회복경험의 하위 요인인 자기성취와 통제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조절효과가 없었다.
넷째, 회복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 간 조절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경험이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들은 상담자의 직무수행에서 회복경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very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engagement for counselors. One hundred and eighty-seven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very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engagement for counselors. One hundred and eighty-seven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Counselor Job Stress Inventory Scale, the Burnout Scale,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and the Recovery Experienc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the subscales of deficiency of counseling capacity and excessive work in counselor job stress and the subscales of relaxation and mastery in recove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burnout.
Second, the subscales of social expectations of counselors and deficiency of counseling capacity in counselor job stress and the subscales of mastery and control during leisure time in recove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was not moderated by recovery experie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was moderated by recovery exper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overy experience moderates differently,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but the association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too.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covery experience for counselor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