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불안,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자료를 제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82314
2021
Korean
simulation ; orientation ; anxiety ; satisfaction ; clinical performance ; 시뮬레이션 ; 오리엔테이션 ; 불안 ; 만족도 ; 임상수행능력
KCI등재
학술저널
48-56(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불안,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자료를 제공...
시뮬레이션 실습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이 간호대학생의 불안, 실습만족도와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향후 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프로그램 적용에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일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으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실험군(n=49)은 구조화된 프리브리핑을 제공받았고 대조군(n=51)은 시뮬레이션 구동 전 시나리오와 관련된 간호과정, 토론 및 역할극 등을 시행하지 않았다. 연구결과, 실험군의 불안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았고(t=1.09, p=.070), 실습만족도는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3.75, p=.<001). 또한 임상수행능력은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t=5.83, p=.<001). 결론적으로 시뮬레이션 교육 전 주어지는 프리브리핑은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학습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mulation exercises before the briefing given fre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act on anxiety, satisfac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imulation lab students have been attempted to provide evidence for future design and simulation teachi...
Simulation exercises before the briefing given free education to understand the impact on anxiety, satisfaction and clinical performance of nursing simulation lab students have been attempted to provide evidence for future design and simulation teaching programs apply. The study is a quasi-experimental study of inequality before and after the control design students enrolled in Grade 4 and P University Nursing. The experimental group (n=49) who received structured pre-briefing w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n=5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simulation practic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Also, clinical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5.83, p=.<001). In conclusion, the pre-briefing education given before the simulation practic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to reinforce the positive effects of simulation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숙, "신교육방법론" 학이당 2012
2 김정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한국간호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307-319, 2013
3 김미영, "시뮬레이션 프리브리핑 사전학습이 간호대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6 (6): 27-34, 2018
4 고상진, "시뮬레이션 기반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에서 팀 디브리핑의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667-676, 2017
5 최은희, "동영상 간호과정을 적용한 사전브리핑이 시뮬레이션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7 (7): 1-11, 2019
6 강희영, "간호학생의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15, 2013
7 신수진, "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9 (19): 76-82, 2017
8 장희정, "간호시뮬레이션 활용현황 및 실태 연구"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4 : 1-12, 2016
9 오효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인수인계 경험이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21-331, 2020
10 이지애,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00-311, 2019
1 이종숙, "신교육방법론" 학이당 2012
2 김정희,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한국간호교육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307-319, 2013
3 김미영, "시뮬레이션 프리브리핑 사전학습이 간호대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6 (6): 27-34, 2018
4 고상진, "시뮬레이션 기반 심정지 응급간호교육에서 팀 디브리핑의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667-676, 2017
5 최은희, "동영상 간호과정을 적용한 사전브리핑이 시뮬레이션 교육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7 (7): 1-11, 2019
6 강희영, "간호학생의 팀기반 시뮬레이션 학습경험"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5-15, 2013
7 신수진, "간호학 임상실습교육의 현황과 발전방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19 (19): 76-82, 2017
8 장희정, "간호시뮬레이션 활용현황 및 실태 연구" 한국간호시뮬레이션학회 4 : 1-12, 2016
9 오효숙,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임상수행능력, 인수인계 경험이 인수인계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14 (14): 321-331, 2020
10 이지애,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실습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합성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 25 (25): 300-311, 2019
11 김미영,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시 발생하는 불안정도가 시뮬레이션 교육만족도, 자기효능감,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기본간호학회 23 (23): 411-418, 2016
12 Kuljis, J, "User Interfaces and Discrete Event Simulation Models" University of London 1995
13 McDermott, D. S, "The prebriefing concept : A Delphi study of CHSE experts" 12 : 219-227, 2016
14 Gantt, L T., "The effect of preparation on anxiety and performance in summative simulations" 9 : e25-e33, 2013
15 Levett-Jones, T, "The development and psychometric testing of the satisfaction with simulation experience scale" 31 : 705-710, 2011
16 Oermann, M. H, "Teaching in Nursing and Role of Educator" Springer Publishing Company 2018
17 Haskvitz, L. M, "Students struggling in clinical? A new role for the patient simulator" 43 : 181-184, 2004
18 Chmill, J. V, "Prebriefing in simulation-based learning experiences" 41 : 64-65, 2016
19 Chamberlain, J, "Pr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A concept analysis using Rodger's methodology" 11 : 318-322, 2015
20 Page-Cutrara, K, "Prebriefing in nursing simulation: A concept analysis" 11 : 335-340, 2015
21 Tyerman, J, "Pre-simulation preparation and briefing practices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students : A systematic review protocol" 14 : 80-89, 2016
22 Bommer, C, "Pre-simulation orientation for medical trainees: An approach to decrease anxiety and improve confidence and performance" 215 : 266-271, 2018
23 Page-Cutrara, K, "Impact of prebriefing on competency performance, clinical judgment and experience in simulation : An experimental study" 48 : 78-83, 2017
24 Weaver, A, "High-fidelity patient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An integrative review" 32 : 37-40, 2011
25 박수진, "Goal-based Scenario를 활용한 간호시뮬레이션 수업설계 및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 23 (23): 224-235, 2017
26 Coram, C, "Expert role modeling effect on novice nursing students’ clinical judgment" 12 : 385-391, 2016
27 Kim, Y. J, "Effect of step-based prebriefing activities on flow and clinical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in simulation-based education" 13 : 544-551, 2017
28 Nehring, W. M, "Current use and opinions regarding human patient simulators in nursing education: An international survey" 25 : 244-248, 2004
29 Shearer, J. N, "Anxiety, nursing students, and simulation : State of the science" 55 : 551-554, 2016
30 Kim, J. T, "A study based on the standardization of the STAI for Korea" 19 : 307-319, 2013
포스트코로나시대의 교육동향과 블렌디드러닝 모델연구 -초등디자인교육을 중심으로-
표준색이름의 활용에 관한 연구 -KS A 0011에 의한 계통색을 중심으로-
잠재된 공포와 분노의 연극적 표현 분석 연구 -1인 화자 연극 ‘수탉’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3 | 0.33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9 | 0.32 | 0.52 | 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