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카카오 이모티콘의 표현 유형에 따른 연령별 소비자 호감도 비교 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Consumer Preference in Each Age Group According to the Expression Types of Kakao Emotic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5823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research subject, the preference factors of popular emoticons with people in their 10s-40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enagers preferred animal-shape and abstract substitute-shape emoticons in simple line-dr...

      As the research subject, the preference factors of popular emoticons with people in their 10s-40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eenagers preferred animal-shape and abstract substitute-shape emoticons in simple line-drawing style. Regarding the types of sentiment words led to purchase, a bit of cynical words were highly popular, so the playfulness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At the age in 20s, the emoticons containing images like‘love’,‘affection’, and‘good feeling’ were mostly preferred. Regarding the types of sentiment words, they preferred dialogic words that would be a lot used between lovers in daily life, so the usefulness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In their 30s, playfulness, such as emoticons with excessive expressions, was analyzed as a factor of preference. They preferred humorous sentiment words and wittily-expressed words mostly used at work. Lastly, in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popular emoticons with people in their 40s, the character-type emoticons were the most popular. They also preferred gentle, but cute emoticons containing all sorts of greetings, so the familiarity and aesthetics were analyzed as preference fact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ference factors of emoticons shown differently in each age group by comparing them in two aspects such as preferred types according to each age group and emotional vocabulary used for popular emoticons. As objective analysis data of emoticons in each age group,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cademic data for seeking new expression methods of emoticons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요인과 각 연령별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를 비교하여 10-40대 인기 이모티콘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10대는 동물형과 간단...

      본 연구는 이모티콘의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요인과 각 연령별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를 비교하여 10-40대 인기 이모티콘을 비교 분석해 보았다. 연구결과 10대는 동물형과 간단한 라인 드로잉 스타일의 추상적 대리물 형태의 이모티콘을 선호하였으며, 구매로 이어진 감성어휘 유형은 다소 냉소적인 어휘들이 인기 상위권을 이루는 것으로 유희성과 심미성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20대는‘연애와 사랑’이 가장 활성화 된 시기이기 때문에 같은 표현이라도 '사랑' '애정' '호감' 등의 이미지가 담긴 이모티콘이 주를 이루었다. 감성어휘 역시 일상적으로 연인사이 사용이 많이 되는 대화체의 어휘들을 선호하는 것으로 유용성, 심미성 요인이 호감요인으로 분석되었다. 30대는 표정이 다소 과하게 표현된 살아 있는 이모티콘등 유희성 요인이 호감을 주는 주된 역할을 하는것으로 분석 되었다. 직장 생활에서 주로 쓰는 어휘들을 재치있게 표현한 어휘들과 유머 있는 감성 어휘들을 선호 하였다. 마지막으로 40대는 인물형 이모티콘이 가장 많은 인기 순위에 진입해 있었으며 가볍지 않으면서 귀엽고, 각종 인사말이 담긴 이모티콘을 선호하는 것으로 친근성, 심미성의 요인이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각 연령에 따른 유형별 호감 형태와 인기 이모티콘에 사용된 호감어휘 두가지 측면에서 비교하여 연령별로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이모티콘의 호감요인을 분석 하는것에 목적을 둔다. 이것은 이모티콘을 각 연령별로 구분하여 분석해 본 객관적 자료로서 향후 이모티콘의 새로운 표현방법을 모색하는 학술자료 제공에 의의를 둔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은제,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 일러스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259-274, 2019

      2 녹색경제, "이모티콘(eoticon), 글로벌 시대 새롭게 떠오른 인류 공통언어"

      3 양혜인,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237-248, 2017

      4 송보라, "이모티콘 디자인의 감정/감성의미 연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8

      5 파이낸셜뉴스, "이것이 바로 최초의 이모티콘? 1881년 美 잡지에 실려"

      6 중앙일보, "요즘뜨는 카카오 이모티콘"

      7 이데일리, "억! 소리나는 카카오이모티콘…10억 이상 매출도 73개"

      8 Huang Chen, "시각언어로서 이모티콘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체계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2020

      9 성혜령, "모바일커뮤니케이션 경험이 이동성 인식과 네트워크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의 사회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경향신문, "대박을 향한 고뇌…이모티콘 제작의 세계"

      1 유은제,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 일러스트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 연령의 상호작용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20 (20): 259-274, 2019

      2 녹색경제, "이모티콘(eoticon), 글로벌 시대 새롭게 떠오른 인류 공통언어"

      3 양혜인, "이모티콘 컨텍스트에 의한 감정 커뮤니케이션 연구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8 (18): 237-248, 2017

      4 송보라, "이모티콘 디자인의 감정/감성의미 연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2018

      5 파이낸셜뉴스, "이것이 바로 최초의 이모티콘? 1881년 美 잡지에 실려"

      6 중앙일보, "요즘뜨는 카카오 이모티콘"

      7 이데일리, "억! 소리나는 카카오이모티콘…10억 이상 매출도 73개"

      8 Huang Chen, "시각언어로서 이모티콘의 감성 커뮤니케이션 체계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2020

      9 성혜령, "모바일커뮤니케이션 경험이 이동성 인식과 네트워크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개인의 사회심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경향신문, "대박을 향한 고뇌…이모티콘 제작의 세계"

      11 김숙, "KOCCA FOCUS 전라도" 한국컨텐츠 진흥원 2015

      12 오은석, "2017년도 카카오톡 인기 이모티콘 트렌드 및 스타일 분석" (사)한국커뮤니케이션디자인협회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62 : 7-18, 201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32 0.5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