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한 BCSN 액정 모드의 메모리 유지 시간 향상에 관한 연구 = BCSN liquid crystal mode using polymer network structure to improve the memory retention ti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50715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 전자컴퓨터통신공학과 , 2011. 8

      • 발행연도

        201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vi, 42 p. : 삽도 ; 26 cm.

      • 일반주기명

        국문요지: p. v-vi
        Abstract: p. 35-36
        지도교수: 김재훈
        참고문헌: p. 37-38

      • 소장기관
        • 한양대학교 안산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LCD)는 구동방식에 따라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다이나믹 (dynamic)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메모리 (memory)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이나믹 모드는 하나의 안정된 액정 배향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정렬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면 다시 초기의 액정 정렬 상태로 돌아오는 구동 방식이다. 이러한 액정 정렬 상태의 전압에 의한 변화를 이용하여 적합한 광학 설계를 통해 밝음/어둠 상태를 조절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나믹 모드 구동은 현재 대부분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방식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이 현재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로 만든 계기라 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안정된 액정 배열 상태를 이용한 메모리 모드는 한번 정보를 표시하면 표시된 정보가 영구적으로 유지되어 소비전력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책 (e-book)이나 개인휴대단말기 (PDA)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저소비전력을 바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그린 테크놀로지를 추구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적용에 유리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기술로 듀얼 모드 bistable chiral splay nematic (BCSN)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는 스플레이 셀을 이용하여 빠른 응답속도 특성을 가지는 디이나믹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모드 저소비전력의 메모리 모드를 동시에 구현 가능한 액정 모드이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dual) 모드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저 소비전력 특성 극대화를 위한 메모리 유지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은, 셀갭을 고려한 액정의 카이럴 특성, 표면 고정에너지, 액정의 탄성계수 등의 파라미터에 대한 제한을 받는다.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만족시킴으로써 메모리 특성을 향상 시키게 될 경우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을 위한 파라미터 제한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BCSN 액정에 광중합성 단분자를 혼합하여 액정 시편에 주입한 뒤 180°트위스트 액정 정렬 상태에서 자외선 공정을 진행하여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 하였다. 형성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파라미터의 제한 없이 스플레이 상태로의 상전이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영구적인 메모리 유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은 향후 에너지 절약형 차세대 표시장치로써의 적용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문 등의 종이 매체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LCD)는 구동방식에 따라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다이나믹 (dynamic)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메모리 (memory)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이나믹 모드는 하나의 안정된...

      현재의 액정 디스플레이 (LCD)는 구동방식에 따라 동영상 구현이 가능한 다이나믹 (dynamic)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메모리 (memory) 모드로 구분할 수 있다. 다이나믹 모드는 하나의 안정된 액정 배향 상태에서 전압이 인가되면 액정 정렬 방향이 바뀌게 되고 인가된 전압이 제거되면 다시 초기의 액정 정렬 상태로 돌아오는 구동 방식이다. 이러한 액정 정렬 상태의 전압에 의한 변화를 이용하여 적합한 광학 설계를 통해 밝음/어둠 상태를 조절 함으로써 디스플레이 소자로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다이나믹 모드 구동은 현재 대부분의 액정 디스플레이에 적용되는 방식이며 액정 디스플레이 기술이 현재의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추적인 역할로 만든 계기라 할 수 있다. 한편 두 개의 안정된 액정 배열 상태를 이용한 메모리 모드는 한번 정보를 표시하면 표시된 정보가 영구적으로 유지되어 소비전력 감소 효과를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책 (e-book)이나 개인휴대단말기 (PDA)와 같은 차세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합한 기술로 여겨지고 있다. 또한 저소비전력을 바탕으로 하는 친환경적인 그린 테크놀로지를 추구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적용에 유리한 기술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중 대표적인 기술로 듀얼 모드 bistable chiral splay nematic (BCSN) 액정 디스플레이가 있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는 스플레이 셀을 이용하여 빠른 응답속도 특성을 가지는 디이나믹 모드와 쌍안정 특성을 이용한 모드 저소비전력의 메모리 모드를 동시에 구현 가능한 액정 모드이다.
      본 논문에서는 듀얼 (dual) 모드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저 소비전력 특성 극대화를 위한 메모리 유지 성능 향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 하였다.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은, 셀갭을 고려한 액정의 카이럴 특성, 표면 고정에너지, 액정의 탄성계수 등의 파라미터에 대한 제한을 받는다. 최적화된 파라미터를 만족시킴으로써 메모리 특성을 향상 시키게 될 경우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저하시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모리 모드 유지 성능을 위한 파라미터 제한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다이나믹 모드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목적 달성을 위해 BCSN 액정에 광중합성 단분자를 혼합하여 액정 시편에 주입한 뒤 180°트위스트 액정 정렬 상태에서 자외선 공정을 진행하여 고분자 네트워크를 형성 하였다. 형성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에 의해 파라미터의 제한 없이 스플레이 상태로의 상전이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영구적인 메모리 유지 시간을 확보할 수 있었다. 이러한 기술은 향후 에너지 절약형 차세대 표시장치로써의 적용이 유리할 것으로 예상되며 신문 등의 종이 매체를 대신할 수 있는 전자종이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차 례 I
      • 그림 차례 III
      • 국문의 요지 V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쌍안정과 메모리 유지시간에 관한 기술 6
      • 차 례 I
      • 그림 차례 III
      • 국문의 요지 V
      • 제 1 장. 서론 1
      • 제 2 장. BCSN 액정 디스플레이의 쌍안정과 메모리 유지시간에 관한 기술 6
      • 2.1 액정 파라미터, 셀 파라미터와 메모리 유지시간 간의 상관 관계. 6
      • 2.2 기존 메모리유지시간 향상을 위한 선행 연구 11
      • 제 3장. 고분자 네트워크구조에 의한 BCSN 액정 디스플레이 의 메모리 유지 시간 특성 14
      • 3.1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가 적용된 BCSN 액정 디스플레이 시편 제작 및 메모리 특성 평가 14
      • 3.2 RM 농도에 따른 메모리 유지 시간 특성 평가 19
      • 3.3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 평가 21
      • 제 4장. BCSN 액정 디스플레이 시제품 제작 및 메모리 유지 능력의 안정성 평가 27
      • 4.1 휨 변형 및 외부 충격에 대한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한 메모리 유지 시간의 안정성 평가. 27
      • 4.2 열 충격에 따른 고분자 네트워크 구조를 이용한 메모리 유지시간의 안정성 평가 30
      • 제 5장. 결론 및 고찰 27
      • ABSTRACT. 35
      • 참고 문헌 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