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운영의 저해요인 분석 = Exploring Barriers of Promoting Academic Management Systems for Curriculum Sharing between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75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obstacles to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which have been recently attracting attention as a strategy for overcoming the university financial crisis and educational innovation. To this end, eight consortia participating in the 'Digital New Technology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novation Sharing University Project' ('COSS Project'), which focuses on curriculum sharing activities, were set as the subjects of the study. First, the business plans for the first and second years of the eight consortia were used to analyze their joint curriculum operation plans and academic system improvement performance,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 heads of the academic affairs teams of the eight consortia to understand the results in more depth.
      The analysis of the eight consortiums' plans showed that, first, the homogeneity of the participating universities, not jus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universities, has a significant impact on curriculum sharing among universities. Second, among the types of joint curriculum operation, joint operation of microdegree courses, credit transfer and credit accreditation, credit exchange systems, and intensive programs were found to have higher performance. This suggests that the lesser the need to change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the easier it is to gather opinions on campus and the more likely it is to encourage students to take courses at other universities. These findings were reinforced by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heads of academic affairs teams, which revealed that in addition to factors at the level of the higher education system, higher education system, and policy, there are many factors at the level of individual universities that make it difficult to improve the academic system.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a number of new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at the university and government levels to promote shared activities among univers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재정 위기 극복 및 교육혁신 전략으로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활동’의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공유활동을 중점 지원하는 ‘디지털 신기술 인재양성 혁신공유대학 사업(‘COSS 사업’)’에 참여하는 8개 사업단들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우선 8개 사업단들의 1, 2차년도 사업계획서를 활용하여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 계획과 실적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기 위해서 8개 사업단의 학사행정 담당자들을 대상으로 면담을 실시하였다.
      8개 사업단의 계획서 분석 결과, 첫째 대학간 교육과정 공유 관련 학사제도 개선에는 ‘개별대학 특성’만이 아니라 ‘참여대학들의 동질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사제도개선 유형’ 중에는 마이크로디그리정 운영 관련 개선 실적이, ‘학점교류 및 학점인정’ 유형 중에는 학점교류제 시행 관련 개선 실적이, ‘학기 운영’ 유형 중에는 집중이수제 실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학사제도를 변경할 필요성이 적을수록 학내 의견 수렴이 쉽고, 학생들의 타교 교차수강도 활성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는 학사팀장 면담 결과 분석을 통해서 보다 확연히 드러났다. 분석 결과, 고등교육체제, 고등교육 제도와 정책 차원의 요인들 외에도 학사제도 개선을 저해하는 는 개별 대학 차원의 요인들이 다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간 공유활동 촉진을 위해서 각 대학, 그리고 정부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추진해야 할 새로운 과제들이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