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외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껍질째 먹는 참외 생산 및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 참외의 추출물의 총 phenol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49523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63-967(5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참외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껍질째 먹는 참외 생산 및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 참외의 추출물의 총 phenol ...
참외의 껍질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을 이용할 수 있는 껍질째 먹는 참외 생산 및 식품소재로 활용하기 위해 참외를 부위별로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각 부위별 참외의 추출물의 총 phenol 함량은 태좌가 925.56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껍질이 816.37 ㎍/ml, 과육 순으로 나타났고, 총 flavonoid성 함량은 껍질이 231.21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태좌가 36.07 ㎍/ml,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태좌와 껍질의 총 phenol 함량은 유사하였지만, flavonoid 성 함량은 껍질부분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참외의 항산화 효과는 전자공여능이 껍질, 과육과 태좌가 10,000 ppm에서 각각 34.84%, 9.26%, 10.70%으로 나타났고, ABTS는 각각 72.92%, 48.0%와 74.31%로 나타났다. Xanthine oxidase의 저해활성의 경우 10,000 ppm에서는 껍질 부위가 11.21%의 활성을 보였고, 태좌와 과육은 미약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10,000 ppm에서는 껍질 부위가 27.35%로 태좌와 과육에 비해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태좌와 과육은 미약한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 저해활성은 10,000 ppm에서 껍질 부위가 17.71%, 과육이 16.81%, 태좌가 12.59% 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껍질부분의 경우, 총 flavonoid성 함량 및 항산화 활성, α-Glucosidase 저해활성, 그리고, Tyrosinase 저해활성이 과육과 태좌부위보다 높으며 식품소재로 활용이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fruit parts, such as peel, flesh, and placenta, of oriental melon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henolic in fruit extracts were 816.37 ㎍/ml, 385.23 ㎍/ml, and 925.56 ㎍/ml...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water extracts from different fruit parts, such as peel, flesh, and placenta, of oriental melon were investigated. The concentrations of total phenolic in fruit extracts were 816.37 ㎍/ml, 385.23 ㎍/ml, and 925.56 ㎍/ml, respectively. Whereas the total flavonoid content in the peel extracts was 231.21 ㎍/ml, those in the extract of flesh and placenta were 8.16 ㎍/ml and 36.07 ㎍/ml, respectively. The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ach fruit extract at 10,000 ppm was 34.84% for peel, 10.70% for placenta and 9.26% flesh. The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ing activity of each fruit extract at 10,000 ppm was in fruit extracts were 72.92% for peel, 48.0% for flesh and 74.31% for placenta. In addition, xanthine oxidase inhibitory activity,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the peel extracts appear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placenta and flesh.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el part of oriental melon contained higher level of total flavonoid content, and several physiological activities including antioxidation,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than did the flesh and placenta parts, and suggested that the peel might have a potential to be applicable as a source for functional foods.
참고문헌 (Reference)
1 Kelley, W. N, 41 : 23-28, 1974
2 이기동, "참외젤리 제조에 따른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33): 1373-1380, 2004
3 이기동, "참외 식초 및 농축액 함유 음료의 저장 중 품질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223-229, 2005
4 곽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5 신용습, "보온부직포 이중피복이 참외의 생육,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1)"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4 (14): 22-28, 2005
6 Laskin, J. D, "Tyrosinase isozyme heterogeneity in differentiating B-16/C3 melanoma" 61 : 16626-, 1986
7 Stirpe, F,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61, 1969
8 Kang, Y. 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28 : 232-, 1996
9 Kuhnau,J,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24 : 117-120, 1976
10 Yagi, A.,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3981 : 517-519, 1986
1 Kelley, W. N, 41 : 23-28, 1974
2 이기동, "참외젤리 제조에 따른 관능적 및 물리적 특성 모니터링"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33 (33): 1373-1380, 2004
3 이기동, "참외 식초 및 농축액 함유 음료의 저장 중 품질 변화"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2 (12): 223-229, 2005
4 곽가,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α-glucosidase 저해활성"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77-81, 2006
5 신용습, "보온부직포 이중피복이 참외의 생육, 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1)"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14 (14): 22-28, 2005
6 Laskin, J. D, "Tyrosinase isozyme heterogeneity in differentiating B-16/C3 melanoma" 61 : 16626-, 1986
7 Stirpe, F,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244 : 3855-3861, 1969
8 Kang, Y. H,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28 : 232-, 1996
9 Kuhnau,J, "The flavonoids a class of semiessential food components; their role in human nutrition" 24 : 117-120, 1976
10 Yagi, A., "The effect of tyrosinase inhibition for Aloe" 3981 : 517-519, 1986
11 Lee, H. J, "The changes of components and texture out of carrot and radish pickles during the storage" 13 : 563-569, 2000
12 Pellegrin, N., "Screening of dietary carotenoids and carotenoid-rich fruit extract for antioxidant activites applying 2,2-azinobis(3-ethylen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299 : 379-389, 1998
13 Hatano, T., "Phenolic constituents of Licorce. Ⅱ. structures of Licopyranocoumarin, Licoaryl- coumarin and Glisoflavone, and inhibitory effects of Licorice phenolics on xanthine oxidase" 37 : 3005-3009, 1989
14 Jones,P.H, "Iodinine as an antihypertensive agent" 3 : 679-, 1973
15 Seiberg, M., "Il-41 The PAR-2 pathway is differentially expressed in skin of color" 16 : 591-, 2003
16 Rhew,T.H, "Food, nutrition and cancer" 14 : 305-313, 1985
17 Ronsivalli, L. J, "Elementary food science" AVI Book 338-344, 1992
18 Storch, H, "Detergent-amplified chemiluminescence of lucigenin for determination of superoxide anion production by NADPH oxidase and xanthine oxidase" 169 : 262-267, 1988
19 Blois,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9-1202, 1958
20 Rhee, K. S.,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of various oilseed protein ingredient" 46 : 75-81, 1981
유방암 생존자의 장기간 복합 운동중재에 따른 기능적 체력과 골밀도의 변화
보리 흰가루병 곰팡이 Fusarium graminearum에 대한 산초 추출물의 항진균 활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8-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Life Science -> Journal of Life Science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7 | 0.37 | 0.4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3 | 0.774 | 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