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한 침실 공간에서의 실화재 실험 = The Real Fire Test in Bedroom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51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of the buildings, the fire characteristic such as proceeding and scale of the fire should be figured out but, there is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because of different conditions and difficulties of mock-up test ...

      For The performance based fire design of the buildings, the fire characteristic such as proceeding and scale of the fire should be figured out but, there is lack of relevant information because of different conditions and difficulties of mock-up test like type of division space, ventilation condition, etc, in buildings. Therefore, in the study, a heal release rate etc,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 data value on the fire is proposed by mock-up fire test for division space in buildings. The mock-up fire test is carried out in a bedroom with 2.4 (L) × 3.6 (W) × 2.4 (H) m model. Initial ignition was started from trash box and the test was carried out for 30 min. As a result of the fire test, flame was broken to outside within 7 min and 50 s after starting the test and the maximum heat release rate was measured as 3,810.6 kW at 9 min and 34 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해서는 구획 공간 내에서의 화재성장 및 화재크기와 같은 화재특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야 하지만,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의 형태, 환기조건 ...

      건축물에서의 성능기반 화재안전설계를 위해서는 구획 공간 내에서의 화재성장 및 화재크기와 같은 화재특성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야 하지만,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의 형태, 환기조건 등과 같은 상이한 조건과 실규모 화재실험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관련 기초 자료가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축물에서의 구획공간에 대한 실규모의 화재실험을 통해 공학적 화재 특성 데이터인 열방출률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규모의 화재실험은 침실공간으로 설정하였으며, 화재실험은 2.4 (L) × 3.6 (W) × 2.4 (H) m의 구획 모델에서 실시하였다. 초기착화는 쓰레기통에서 발생하였으며,화재실험은 총 30분에 동안 진행되었다. 화재실험결과, 실험 시작 7분 50초 이후부터 화염이 외부로 출화되었으며, 최대열방출률은 실험 시작 9분 34초에 3810.6 kW로 측정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의주, "화재연구를 위한 대형 콘 칼로리미터의 설계, 20(4), (2006)" 한국화재소방학회 20 (20): 65-71, 2006

      2 신진동,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 위험도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107-114, 2012

      3 권오상, "그라스울 샌드위치패널의 화재 안전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6 (26): 21-27, 2012

      4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PD 7974-1:2003, Application of fire safety engineering principles to the design of building-part1: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fire within the enclosure of origin"

      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re safety-Vocabulary"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re Tests-full-scale Room Test for Surface Products"

      7 A. H. Buchanan, "Fire Engineering Design Guide" University of Canterbury 29-36, 2001

      8 K. H. Kim, "Establishment of Building Fire Safety System- Improvement of Building Fire Safety Regulation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31-37, 2000

      9 B. Karlsson,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 2000

      10 Y. H. Yoo, "Development of Fire Spread Prevention and Escape Safety Design Technique According to Standard Fire Model"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2, 2008

      1 이의주, "화재연구를 위한 대형 콘 칼로리미터의 설계, 20(4), (2006)" 한국화재소방학회 20 (20): 65-71, 2006

      2 신진동, "통계자료를 활용한 건축물 용도별 화재 위험도 분석" 한국방재학회 12 (12): 107-114, 2012

      3 권오상, "그라스울 샌드위치패널의 화재 안전 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26 (26): 21-27, 2012

      4 British Standard Institution, "PD 7974-1:2003, Application of fire safety engineering principles to the design of building-part1: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fire within the enclosure of origin"

      5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re safety-Vocabulary"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Fire Tests-full-scale Room Test for Surface Products"

      7 A. H. Buchanan, "Fire Engineering Design Guide" University of Canterbury 29-36, 2001

      8 K. H. Kim, "Establishment of Building Fire Safety System- Improvement of Building Fire Safety Regulation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31-37, 2000

      9 B. Karlsson, "Enclosure Fire Dynamics" CRC Press 2000

      10 Y. H. Yoo, "Development of Fire Spread Prevention and Escape Safety Design Technique According to Standard Fire Model"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2, 2008

      11 Y. H. Yoo, "Case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for Performance Based Design"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384-387, 2011

      12 Boverket, "Boverkets allmanna rad 2011:xx Vagledning I analytisk dimensionering av byggnaders brandskydd- Remiss" Boverket 2010

      13 D. H. kim,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Fire Load by Building Occupancy" Konkuk University 108-118,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9-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화재.소방학회지 ->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RANSACTION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5 0.613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