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심리학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의 생래적인 행동 배후에 놓여 있는 심리적 기작을 진화론을 이용해 밝히려는 분야다. 이러한 분야는 남녀의 생래적인 성 심리를 드러내는데 적지 않은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05639
2013
Korean
성 규범 ; 성 심리 ; 진화 ; 진화심리학 ; 폭로 ; debunking ; evolution ; evolutionary psychology ; sexual norms ; sexual psychology
KCI등재
학술저널
79-100(22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진화심리학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의 생래적인 행동 배후에 놓여 있는 심리적 기작을 진화론을 이용해 밝히려는 분야다. 이러한 분야는 남녀의 생래적인 성 심리를 드러내는데 적지 않은 ...
진화심리학은 인간을 포함한 동물들의 생래적인 행동 배후에 놓여 있는 심리적 기작을 진화론을 이용해 밝히려는 분야다. 이러한 분야는 남녀의 생래적인 성 심리를 드러내는데 적지 않은 기여를 하고 있다. 많은 사회의 성 규범에는 이러한 성 심리가 반영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다시 말해 이와 같은 생래적인 성적 선호를 거스를 경우 사람들이 불쾌감을 느끼고, 이것이 도덕적인 잘못으로 평가되는 경우가 적지 않은 듯하다는 것이다. 이 글은 성 규범의 배후에 놓여 있는, 우리에게 진화를 통해 주어진 성 심리를 드러내 밝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리는 이러한 작업을 통해 성 규범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게 될 것이다. 한편 생물학적으로 주어진 성 심리가 얼마만큼, 어떻게 바뀔 수 있는지, 바뀌게 된다면 지금까지 우리가 성 규범으로 받아들였던 것들을 더 이상 받아들일 필요가 없게 되는지 등도 우리가 생각해 봐야 할 문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olutionary psychology is a study which tries to examin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lies behind innate behavior of animal, including human. This field of study is making substantial contribution to reveal innate sexual psychology of men and women. ...
Evolutionary psychology is a study which tries to examin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lies behind innate behavior of animal, including human. This field of study is making substantial contribution to reveal innate sexual psychology of men and women. Many societies seem to reflect those sexual norms and it can be proven from the behavior of people. When people see the case which violates their innate sexual preferences, they are often offended and judge it as immoral behavior. This article aims to verify our sexual psychology which is a foundation of societies’ sexual norms, and consequently, we will be able to look at these norms in a new way. At the same time, the possibility of how and how much innate sexual psychology can be changed should be considered. If it can be changed, we also need to raise our question whether current sexual norms can be abandoned or not.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성한, "해악의 원리를 이용한 동성애에 대한 도덕적 평가" 새한철학회 60 (60): 135-157, 2010
2 이스턴, S., "포르노그래피, In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3 윌슨, E, "인간 본성에 대하여" 사이언스북스 2000
4 도킨스, R,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06
5 버스, D, "위험한 열정-질투" 추수밭 2006
6 원미혜, "우리는 왜 성매매를 반대해야 하는가?, In 섹슈얼리티 강의" 동녘 2005
7 버스, D, "욕망의 진화" 백년도서 1995
8 다이어몬드, J, "섹스의 진화" 사이언스북스 2005
9 시먼스, D, "섹슈얼리티의 진화" 한길사 2007
10 슈클렝크, U,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1 김성한, "해악의 원리를 이용한 동성애에 대한 도덕적 평가" 새한철학회 60 (60): 135-157, 2010
2 이스턴, S., "포르노그래피, In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3 윌슨, E, "인간 본성에 대하여" 사이언스북스 2000
4 도킨스, R,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2006
5 버스, D, "위험한 열정-질투" 추수밭 2006
6 원미혜, "우리는 왜 성매매를 반대해야 하는가?, In 섹슈얼리티 강의" 동녘 2005
7 버스, D, "욕망의 진화" 백년도서 1995
8 다이어몬드, J, "섹스의 진화" 사이언스북스 2005
9 시먼스, D, "섹슈얼리티의 진화" 한길사 2007
10 슈클렝크, U,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11 박만준, "사회생물학적 인간학에 대한 비판적 고찰" 새한철학회 68 (68): 295-321, 2012
12 김성한, "사회생물학과 윤리" 연암서가 2012
13 핑커, S, "빈 서판" 사이언스북스 2004
14 리들리, M, "붉은 여왕" 김영사 2002
15 이성숙, "매매춘과 페미니즘, 새로운 담론을 위하여" 책세상 2002
16 슈클렝크, U,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태도, In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17 라이트, R, "도덕적 동물" 사이언스북스 2003
18 비가렐로, G, "강간의 역사" 당대 2002
19 Joyce, R., "The Evolution of Morality" The MIT Press 2006
20 Haidt, J, "The Emotional Dog and its Rational Tail: A Social Intuitionist Approach to Moral Judgment" 108 : 2001
21 Mealey, L., "Sex Differences : Developmental and Evolutionary Strategies" Academic Press 2000
22 Christensen, F., "Pornography: The Other Side" Praeger Publishers 1990
23 Russell, D., "Pornography and Rape" Feminism & Pornography
24 Mackinnon, C, "Not a Moral Issue, In Feminism & Pornography" Oxford Univ. Press 2007
25 Rathus, S, "Human Sexuality" Allyn and Bacon 2002
26 Thornhill, R, "A Natural History of Rape: Biological Bases of Sexual Coercion" MIT Press 2000
27 웨커트, J, ", In 성과 윤리" 아카넷 2010
칸트, 〈교수취임논문〉에서의 사유 활동과 구상력(KrV A100)의 필연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