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3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3D Tiles의 속도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방안은 일반적인 3D 타일 구성방안에 3D 모델 배치 및 병합 방법, 객체 경량화 방법의 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525079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7-54(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3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3D Tiles의 속도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방안은 일반적인 3D 타일 구성방안에 3D 모델 배치 및 병합 방법, 객체 경량화 방법의 두...
본 연구의 목적은 3D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다루기 위한 3D Tiles의 속도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 방안은 일반적인 3D 타일 구성방안에 3D 모델 배치 및 병합 방법, 객체 경량화 방법의 두 가지 내용을 추가하였다. 우선 3D 모델 배치 및 병합 방법에서는 렌더링 속도 향상을 위하여 쿼드트리에 대한 쌍타일을 도입하고 대형 3D 모델을 분리하여 렌더링 하는 방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타일별로 모든 모델의 지오메트리와 텍스처를 병합하여 단일 작업 호출로 렌더링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객체 경량화 방법에서는 GPU 메모리 사용 감소를 위하여 오픈소스를 이용한 지오메트리와 텍스처 경량화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방법에 대한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역의 공간정보 3D 데이터를 대상으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은 3D 데이터의 활용성 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of 3D Tiles to efficiently handle 3D data. This method consists of adding two methods to the general 3D tile method : 3D model placement and merging method and object compressing method. Fi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processing speed of 3D Tiles to efficiently handle 3D data. This method consists of adding two methods to the general 3D tile method : 3D model placement and merging method and object compressing method. First, in the 3D model placement and merg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the rendering speed, a pair tile for quadtree is introduced and separated rendering for large 3D models is applied. In addition, the geometry and texture of all models are merged for each tile to perform rendering with a single task call. In the object compressing method, we applied a geometry and texture compressing technique provided by open source to reduce GPU usage memory. In order to verify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method, a comparison is made with various regional spatial information 3D data. As a result, the proposed method was shown to greatly contribute to improving the usability of 3D data.
격자 기반 3차원 공간 생성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유니티 엔진 중심으로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안전비상벨 운영 만족도의 지오매시업 서비스 방안
BIM to GIS 공간정보 플랫폼을 위한 데이터 통합 기술 연구
이미지 처리 및 영상 분석 기법을 통한 건축 모델링 데이터 정량적 평가 기법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