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문화예술정책 연구동향 분석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Cultural and Arts Policy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4228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jor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cultural and arts policies published in South Korea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interconnections and temporal changes among research topics.
      The research data consists of 2,564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1971 and 2024, focusing on culture, arts, and policy. The STM techniqu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revalence of research topics and track changes 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ultural and arts policies in Korea tends to concentrate during specific periods or exhibit fluctuations in topic prevalence depending on policy shifts and societal demands. Second, among the 13 key topic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nov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Cultural Welfare and Public Projects,” and “The Role of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Art”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topics, suggesting that recent cultural and arts policies have evolved beyond mere arts promotion to emphasize social value realization and the enhancement of public interest. In contrast,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Resident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Regional Tourism and Festivals” showed relatively low prevalence,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se area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future cultural and arts policies and contribute to setting research directions and developing sustainable policy strategies for cultural and arts poli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jor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cultural and arts policies published in South Korea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interconnections and temporal changes among research topics. 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ajor trends in academic research on cultural and arts policies published in South Korea using Structural Topic Modeling (STM) and systematically examine the interconnections and temporal changes among research topics.
      The research data consists of 2,564 academic papers published between 1971 and 2024, focusing on culture, arts, and policy. The STM technique was utilized to analyze the prevalence of research topics and track changes over time.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ultural and arts policies in Korea tends to concentrate during specific periods or exhibit fluctuations in topic prevalence depending on policy shifts and societal demands. Second, among the 13 key topics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al Innov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Support and Evaluation of Cultural Welfare and Public Projects,” and “The Role of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Art” emerged as the most prevalent topics, suggesting that recent cultural and arts policies have evolved beyond mere arts promotion to emphasize social value realization and the enhancement of public interest. In contrast, “The Importance of Local Autonomy and Resident Participation” and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Regional Tourism and Festivals” showed relatively low prevalence, indicating the need for further research in these area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in the process of formulating and implementing future cultural and arts policies and contribute to setting research directions and developing sustainable policy strategies for cultural and arts polic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게재된 문화예술정책 관련 학술연구의 주요 동향을 분석하며, 연구주제 간의 연계성과 시기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971년부터 2024년까지 발행된 문화, 예술, 정책을 주제로 한 총 2,564편의 학술연구논문이며,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연구주제의 발현율 및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문화예술정책 관련 연구는 대체로 정책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특정 시기에집중되거나 연구주제 간 발현율에 변동이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13개의 주요 연구주제로 분류된 토픽 중 ‘교육 혁신과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 ‘문화복지 및 공공사업의지원과 평가’, ‘도시 재생과 공공미술의 역할’이 상위발현 토픽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문화예술정책이 단순한 예술진흥을 넘어 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공성 강화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지방 자치와 주민 참여의 중요성’ 및 ‘지역 관광과 축제의 개발 및 활용’은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율을 보이며,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추후 문화예술정책의 수립 및 실행 과정에서 학계와정책 입안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문화정책 연구의 방향성 제시와 문화예술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전략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게재된 문화예술정책 관련 학술연구의 주요 동향을 분석하며, 연구주제 간의 연계성과 시기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본 연구는 구조적 토픽 모델링을 활용하여 한국에서 게재된 문화예술정책 관련 학술연구의 주요 동향을 분석하며, 연구주제 간의 연계성과 시기적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1971년부터 2024년까지 발행된 문화, 예술, 정책을 주제로 한 총 2,564편의 학술연구논문이며, 구조적 토픽 모델링 기법을 통해 연구주제의 발현율 및 연도별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문화예술정책 관련 연구는 대체로 정책변화와 사회적 요구에 따라 특정 시기에집중되거나 연구주제 간 발현율에 변동이 있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13개의 주요 연구주제로 분류된 토픽 중 ‘교육 혁신과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성’, ‘문화복지 및 공공사업의지원과 평가’, ‘도시 재생과 공공미술의 역할’이 상위발현 토픽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문화예술정책이 단순한 예술진흥을 넘어 사회적 가치 실현과 공공성 강화를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에 ‘지방 자치와 주민 참여의 중요성’ 및 ‘지역 관광과 축제의 개발 및 활용’은 상대적으로 낮은 발현율을 보이며, 향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추후 문화예술정책의 수립 및 실행 과정에서 학계와정책 입안자들이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문화정책 연구의 방향성 제시와 문화예술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정책적 전략 마련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