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탐색하고,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다문화청소년들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304328
2013
Korean
334
학술저널
1-378(37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탐색하고,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다문화청소년들이 ...
본 연구는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종단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발달과정을 탐색하고, 다문화청소년과 비(非)다문화청소년 간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파악하며, 다문화청소년들이 발달 및 성장과정에서 비(非)다문화청소년과 보이는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다문화청소년의 특성에 부합하는 정책지원방안을 도출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크게 네 가지 영역에서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다문화청소년을 대상으로 패널을 구축하고 종단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둘째, 기 구축된 패널 중 일부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셋째, 국내외 다문화청소년대상 국내외 정책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사회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다문화정책의 방향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널자료로부터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3년간의 발달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문화청소년 집단 내에서 네 가지 발달양상이 도출되었다. 첫번째 집단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적응수준이 높은 집단이고, 두 번째는 처음에는 발달수준이 높았으나 점차 낮아진 집단, 세 번째는 처음에는 발달수준이 낮았으나 점차 높아진 집단, 마지막 집단은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적응수준이 낮은 집단이었다. 네 집단 중 가장 취약한 집단은 마지막 집단, 즉, 처음부터 지속적으로 적응수준이 낮은 집단으로 발달의 다양한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다문화청소년들의 발달양상은 그 청소년의 환경 및 개인특성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들의 다양성 및 각 집단의 발달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 지원정책은 비효율을 야기할 수 있다. 둘째, 다문화청소년의 특성에 맞는 요구부합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다. 즉, 지속적으로 적응수준이 높은 집단의 경우 보다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에서 비(非)다문화청소년들과의 통합적 지원이 강화될 필요가 있으며, 적응수준이 지속적으로 낮은 집단의 경우 취약한 요인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초점을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속적으로 발달수준이 낮은 집단의 경우 관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하는 집단으로 향후 학교에서 중도탈락할 가능성이 네 집단 중 가장 높기 때문이다. 둘째, 질적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학교생활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는데, 연구결과 다문화청소년들은 경제적 어려움과 사회적 연결망의 부족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특히 내년도 중학교에 진학하게 되는 전환기를 맞이하여 다양한 어려움을 겪게 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맥락을 고려한 지원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지원정책들이 더 이상 다문화청소년들을 ‘동질적인 집단’이라는 인식에 근거한 별도의 지원이 아니라 보다 수요자의 특성과 욕구에 맞는 실효성 있는 지원 정책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