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 III =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현장적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043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의 정신건강연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프로그램을 제시하...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아동·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지원방안 연구Ⅱ」의 정신건강연구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적 개입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개인정신건강요인 중 긍정요인과 부정요인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으며, 현행 국내·외의 아동 및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을 살펴보고, 학교현장의 아동 및 청소년대상 상담전문가의 인터뷰를 통해 상담현장 및 프로그램의 운영 실태를 파악하여 효율적 운영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에서 아동·청소년의 위기 수준 및 개별특성을 고려하여 정신건강 증진 및 개입을 할 수 있도록 모듈식 프로그램을 제시하였고 그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개인정신건강요인에서 각 요인의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자아존중감 증진 및 스트레스 감소를 중심으로 한 프로그램과 우울, 불안, 자살, 인터넷 중독 중심의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아동 및 청소년 대상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현장전문가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현장전문가가 인식하는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를 파악하고 개입방안을 마련하고자 학교장면에서 청소년의 주요 정신건강 문제, 정신건강 문제에 대한 개입방식 및 서비스 수준, 정신건강 증진 및 개입프로그램의 필수 요소, 학교현장적용 프로그램의 고려사항을 알아보았다.
      셋째, 국내·외 학교에서 운영 중인 프로그램들의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내용, 대상과 목적, 학교현장에서의 활용성 그리고 운영상의 문제에 비추어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이를 바탕으로 총 3단계의 증진 및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단계는 각 개인정신건강요인별로 정의, 발생원인, 특징 및 증상, 학교장면에서의 영향력, 개입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학교교사나 프로그램 운영자들이 이해하고 필요에 따라 학생들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는 각 정신건강 요소별로 자신의 문제수준에 대한 간이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검사 도구를 제시하여 개입여부를 결정토록 하였다. 3단계는 이를 바탕으로 개입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총 3회기의 개입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하여 참여자의 위기수준이나 특성에 따라 각 단계별 선택적 활용을 할 수 있는 모듈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상 제시한 연구내용들을 중심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향후 아동 및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한 주요 정책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mental health study s actual state of「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on mental health study s actual state of「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Ⅱ」in 2012. To this end, we investigated previous studies focusing on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among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proposed from「A study on support measure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Ⅱ」in 2012, and examined mental health promotion-related programs targeting the current domestic, international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n presented efficient management alternatives to understand counseling field and the actual state of program operation through interviews with counselor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 Also, based on this, modular program was proposed for mental health promotion and intervention consider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the crisis leve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school,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cusing on self-esteem promotion and stress reduction and an intervention program focusing on depression, anxiety, suicide, internet addition were drawn through examining each factors previous studies in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Second, considerations youth major mental health problems and intervention methods and services level for mental health, mental health promotion and an intervention program essential elements, school field application programs in school were investigated, to prepare intervention measures by figuring out the actual state of adolescents mental health recognized by field experts by conducting interviews targeting field experts to develop mental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ird, implications were derived from reflecting program contents, targets and objectives, utilization of school site and operational problems through examining programs operated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chools.
      At last, based this, all three phases promotion and intervention program was developed. The first phase provided definitions, causes,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in each individual mental health factors and information for influence, intervention ways, and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understand the program and gave students information as necessary. The second phase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decide whether they intervened students by presenting a screening tool to conduct a simple inspection for students own problem level in each mental health factor. Based this, the third phase made school teachers and program operators run a total of three sessions-intervention program when intervention was needed and develop modular programs to be used selectively in each stage according to participants crisis level or characteristics.
      We carried out this study focusing on the above study contents, and suggested the main policy measures for effective support for the future children and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mo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지]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목차]
      • 표목차
      • [표지]
      • [국문초록]
      • [연구요약]
      • [목차]
      • 표목차
      • 그림목차
      • [제Ⅰ장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2. 연구내용
      • 3. 연구방법
      • [제Ⅱ장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고찰 : 아동 · 청소년 대상 주요 위기문제 실태조사 및 정신건강 요인 분석]
      • 1. 개인정신건강영역요소 실태분석
      • [제Ⅲ장 국내 · 외 아동 정신건강 프로그램 및 시사점]
      • 1. 국내의 학교장면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 2. 국외의 학교장면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 3. 국내 · 외의 아동 ·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관련 프로그램 고찰 및 시사점
      • [제Ⅳ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 1.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개요
      •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전문가 면접조사 절차
      • 3. 전문가 면접조사 결과 : 청소년 정신건강에 관한 인식과 경험양상
      • [제Ⅴ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구성 체계]
      • 1.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의 시사점
      • 2.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구성체계안
      • [제Ⅵ장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 증진 및 개입 프로그램]
      • 1.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 2. 정신건강 개입 프로그램
      • 3.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함의
      • [제Ⅶ장 요약 및 제언]
      • [참고문헌]
      • [부록]
      • [Abstract]
      •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간행물 안내 외]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