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식민지시기 안재홍의 옥고 횟수와 기간 재검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215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제 식민지시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민족운동가들에게 고난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지만, 악독한 고문이 자행되었던 獄苦는 평범한 후세인이 형언할 수 없다. 악랄한 고문 으로 옥중에서 絶命한 분들을 헤아리기도 어렵다. 민족운동가의 옥살이에는 범인들과 다른 深層이 있었다.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신민주주의 는 감옥에서 쉼 없는 독서와 사색으로 영근 結晶이었다. 안재홍에게 옥살이는 사상의 심화 뿐 아니라, 민족사의 고난에 동행하는 ‘同志愛’도 확장시켰다. 그는 공산주의국가는 거부하였 지만,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도 동지로 인식하였고, 이는 이념을 뛰어넘는 사상과 실천 의 개방성으로 이어졌다. 식민지시기의 신간회운동과 8․15해방 후의 좌우합작운동에서 안재 홍은 항상 중심에서 활동하였다. 이념의 폭과 동지애의 범위가 넓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안재홍뿐만 아니라 모든 독립유공자들에게 옥고 기간은 시간상의 수치가 아니라, 매 순 간을 뼈에 새기며 자신을 다지는 고난의 세월이었다. 후세들이 독립지사의 공적을 제대로 헤아려야 할 이유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안재홍의 민족운동과 옥 고를 연관지어 그의 옥고 횟수와 기간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즉 ‘9차례 7년 3개월’로 알려진 옥고의 배경․계기와 성격을 검토하면서 옥고 기간을 입증하려고 한다. 옥고 기간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옥고의 사유가 되었던 사건들의 전 과정을 파 악해야 한다. 옥고의 사유는 안재홍의 전체 민족운동 과정에서 개개 활동의 성격과 특징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안재홍의 옥고를 통하여 그의 민족운동의 성격과 활동상을 연관지어 살펴보려는 의도도 갖고 있다.
      번역하기

      일제 식민지시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민족운동가들에게 고난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지만, 악독한 고문이 자행되었던 獄苦는 평범한 후세인이 형언할 수 없다. 악랄한 고문 으로 옥...

      일제 식민지시기 조국의 독립을 위해 헌신했던 민족운동가들에게 고난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지만, 악독한 고문이 자행되었던 獄苦는 평범한 후세인이 형언할 수 없다. 악랄한 고문 으로 옥중에서 絶命한 분들을 헤아리기도 어렵다. 민족운동가의 옥살이에는 범인들과 다른 深層이 있었다. 안재홍의 신민족주의․신민주주의 는 감옥에서 쉼 없는 독서와 사색으로 영근 結晶이었다. 안재홍에게 옥살이는 사상의 심화 뿐 아니라, 민족사의 고난에 동행하는 ‘同志愛’도 확장시켰다. 그는 공산주의국가는 거부하였 지만, 사회주의자와 공산주의자들도 동지로 인식하였고, 이는 이념을 뛰어넘는 사상과 실천 의 개방성으로 이어졌다. 식민지시기의 신간회운동과 8․15해방 후의 좌우합작운동에서 안재 홍은 항상 중심에서 활동하였다. 이념의 폭과 동지애의 범위가 넓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안재홍뿐만 아니라 모든 독립유공자들에게 옥고 기간은 시간상의 수치가 아니라, 매 순 간을 뼈에 새기며 자신을 다지는 고난의 세월이었다. 후세들이 독립지사의 공적을 제대로 헤아려야 할 이유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안재홍의 민족운동과 옥 고를 연관지어 그의 옥고 횟수와 기간을 정확히 파악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즉 ‘9차례 7년 3개월’로 알려진 옥고의 배경․계기와 성격을 검토하면서 옥고 기간을 입증하려고 한다. 옥고 기간을 정확하게 산출하기 위해서는, 옥고의 사유가 되었던 사건들의 전 과정을 파 악해야 한다. 옥고의 사유는 안재홍의 전체 민족운동 과정에서 개개 활동의 성격과 특징을 보여준다. 이 논문은 안재홍의 옥고를 통하여 그의 민족운동의 성격과 활동상을 연관지어 살펴보려는 의도도 갖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hardships, endured by the Nationalist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times, were not limited to one or two. Among these, the suffering endured in prison, where brutal torture was inflicted, is something that ordinary people today cannot fully express. It is also difficult to count those who passed away in prison due to the vicious torture. The imprisonment of the Nationalist had a different dimension compared to that of ordinary people. An Jae-hong’s Neo-nationalism and Neo-democracy were the crystallization formed through continuous reading and contemplation, even while in prison. His experience of imprisonment not only deepened his thoughts but also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e a camaraderie to accompany the historical hardships of the nation. He rejected communism, but accepted socialists and communists as comrades. This idea led to the openness in idea and practice that transcended ideology. Singanhoe Movement in the colonial times and the Right and Left Wing Coalition Movement after 8․15 national liberation, An Jae-hong was always at the center. This was possible because he had thoughts that transcended ideology and a broad sense of camaraderie. To An Jae-hong and all men of merit for independence, the period of imprisonment was not merely a measure of time, but a time of hardship in which braced themselves at every moment. This is the reason why future generations should properly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independence activists. By examining hi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imprisonment together, this review focuses on accurately figuring out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uration he spent in prison. This review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reason, and nature of his imprisonment, known as ‘9 times 7 years and 3 month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duration of his incarceration. To accurately track the duration of imprison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ntire process of the events that led to the incarceration. The reason for this imprisonment shows the n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he developed. This review also intends to examine An Jae-hongs national movement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his experience in imprisonment.
      번역하기

      The hardships, endured by the Nationalist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times, were not limited to one or two. Among these, the suffering endured in prison, where brutal torture was inflicte...

      The hardships, endured by the Nationalist who dedicated themselves to the independence of their count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times, were not limited to one or two. Among these, the suffering endured in prison, where brutal torture was inflicted, is something that ordinary people today cannot fully express. It is also difficult to count those who passed away in prison due to the vicious torture. The imprisonment of the Nationalist had a different dimension compared to that of ordinary people. An Jae-hong’s Neo-nationalism and Neo-democracy were the crystallization formed through continuous reading and contemplation, even while in prison. His experience of imprisonment not only deepened his thoughts but also became an opportunity to develope a camaraderie to accompany the historical hardships of the nation. He rejected communism, but accepted socialists and communists as comrades. This idea led to the openness in idea and practice that transcended ideology. Singanhoe Movement in the colonial times and the Right and Left Wing Coalition Movement after 8․15 national liberation, An Jae-hong was always at the center. This was possible because he had thoughts that transcended ideology and a broad sense of camaraderie. To An Jae-hong and all men of merit for independence, the period of imprisonment was not merely a measure of time, but a time of hardship in which braced themselves at every moment. This is the reason why future generations should properly evaluate the contributions of independence activists. By examining his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and imprisonment together, this review focuses on accurately figuring out the number of times and the duration he spent in prison. This review aims to examine the background, reason, and nature of his imprisonment, known as ‘9 times 7 years and 3 months,’ in order to substantiate the duration of his incarceration. To accurately track the duration of imprisonmen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ntire process of the events that led to the incarceration. The reason for this imprisonment shows the natur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national liberation movements he developed. This review also intends to examine An Jae-hongs national movement activities an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his experience in imprison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제1차 옥고 :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사건, 총 30개월 13일
      • Ⅲ. 제2ㆍ3차와 4차 옥고 : 두 차례의 필화와 민중대회 사건,총 8개월 20여 일
      • Ⅳ. 제5차 옥고 : 만주동포 구제금 유용 사건, 8개월 20여 일 넘게
      • Ⅴ. 제6ㆍ7ㆍ8차 옥고 : 남경군관학교 학생모집 사건(6ㆍ8차)과흥업구락부 사건(7차), 총 32개월여
      • Ⅰ. 머리말
      • Ⅱ. 제1차 옥고 : 대한민국청년외교단 사건, 총 30개월 13일
      • Ⅲ. 제2ㆍ3차와 4차 옥고 : 두 차례의 필화와 민중대회 사건,총 8개월 20여 일
      • Ⅳ. 제5차 옥고 : 만주동포 구제금 유용 사건, 8개월 20여 일 넘게
      • Ⅴ. 제6ㆍ7ㆍ8차 옥고 : 남경군관학교 학생모집 사건(6ㆍ8차)과흥업구락부 사건(7차), 총 32개월여
      • Ⅵ. 제9차 옥고 : 조선어학회 사건, 총 100여 일
      • Ⅶ. 맺는말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