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현대중국어 사동의 형태적 생산성 분석: V1V2 형식의 사동구조를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Morphological Productivity in Modern Chinese Causative Constru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3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eaning of causative construction in Complement of Result is a combination of two lexical Chinese verbs expressing a causative meaning. Generally, most linguists insist that Chinese has two types of causatives—lexical causative and syntactic(or ...

      The meaning of causative construction in Complement of Result is a combination of two lexical Chinese verbs expressing a causative meaning. Generally, most linguists insist that Chinese has two types of causatives—lexical causative and syntactic(or periphrastic) causative. However, they do not agree that Chinese has a morphological causative, because Chinese is an isolated language that has not undergone morphological changes.
      This research has opposite views to prevailing opinions. Complement of Result construction, which is special causative forms(VP) on Chinese, can be divided into two lexical words, V1 and V2. This combination structure is very similar to lexical causative structure when viewed for the sake of formality. However, when we analyze the situation in detail, we can find that they have radical differences between the structures. Turning now to morphological causatives, the prototypical case has the following two characteristics. First, the causative is related to the non-causative predicate by morphological means, for example, by affixation. A simple example provided by the prototypical morphological causative is that the means of VP(V1+V2) construction has its productivity. In this situation, VP has two types of constructions. One is ‘VP-a’ and the other is ‘VP-b’, and especially the latter has a wide variety of productivity, which is exemplified by ‘咬斷’, ‘打破’, ‘扭傷’, ‘解開’, ‘熬白’ etc.
      This research provides that although these structures has limitations to causative productivity, they are very close to morphological causatives, and have a broad distinction with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spelmath, M., "형태론의 이해" 역락 2015

      2 Katamba, F., "형태론" 한신문화사 1995

      3 박미정, "현대중국어의 사동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봉금, "현대중국어 사동구문의 의미연구" 고려대학교 2015

      5 박은석, "현대 표준 중국어의 술보형 사동 연속체 ― 허사격리술보형 사동, 목적어격리술보형 사동, 비분리술보형 사동 연구" 중국어문학회 (59) : 269-307, 2017

      6 이수진, "현대 중국어 어휘 사동의 의미 구조 ― 상황유형과 상적 특징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70) : 221-244, 2011

      7 김성주, "한국어의 사동" 한국문화사 2003

      8 車濬卿, "한국어 파생어의 생산성에 대한 계량적 접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9 장내천, "한-중 사동표현의 대조연구" 단국대학교 2015

      10 곽새라, "페르시아어의 사동구문 연구" 언어연구소 (65) : 21-42, 2014

      1 Haspelmath, M., "형태론의 이해" 역락 2015

      2 Katamba, F., "형태론" 한신문화사 1995

      3 박미정, "현대중국어의 사동표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 이봉금, "현대중국어 사동구문의 의미연구" 고려대학교 2015

      5 박은석, "현대 표준 중국어의 술보형 사동 연속체 ― 허사격리술보형 사동, 목적어격리술보형 사동, 비분리술보형 사동 연구" 중국어문학회 (59) : 269-307, 2017

      6 이수진, "현대 중국어 어휘 사동의 의미 구조 ― 상황유형과 상적 특징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연구회 (70) : 221-244, 2011

      7 김성주, "한국어의 사동" 한국문화사 2003

      8 車濬卿, "한국어 파생어의 생산성에 대한 계량적 접근" 高麗大學校 大學院 1995

      9 장내천, "한-중 사동표현의 대조연구" 단국대학교 2015

      10 곽새라, "페르시아어의 사동구문 연구" 언어연구소 (65) : 21-42, 2014

      11 김형배, "파생 사동사의 범주" 한민족문화학회 (17) : 287-306, 2005

      12 최영애, "중국어란 무엇인가" 통나무 2008

      13 박정구, "중국어 동보복합어의 내부구조와 외부기능" 17 : 75-93, 1998

      14 박흥수, "준접사의 조어 특성에 관하여" 언어연구소 (48) : 27-46, 2010

      15 제윤지, "준접사 ‘风’에 관한 연구" 중국연구소 70 : 59-83, 2017

      16 "예문출처"

      17 김익환, "영어접사의 생산성에 관한 연구" 9 : 1-16, 2004

      18 이성하, "문법화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0

      19 이광호, "국어파생접사의 생산성과 저지에 대한 계량적 연구" 태학사 2009

      20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태학사 1996

      21 시정곤, "국어 형태론에서의 ‘생산성’ 문제에 대한 연구" 형태론 8 (8): 257-276, 2006

      22 "韓國漢字語辭典" 檀國大學校出版部 1996

      23 王月婷, "關於古漢語“使動問題的進一步探討" 157-159, 2013

      24 范晓, "语法研究和探索 8" 商务印书馆 2000

      25 譚景春, "語法硏究和探索(八)" 商務印書館 1997

      26 何元建, "生成語言學背景下的漢語語法及翻譯硏究" 北京大學出版社 2007

      27 "現代漢語詞典" 商務印書館 2002

      28 宛新政, "現代漢語致使句研究" 浙江大學出版社 2005

      29 최규발, "現代 中國語 結果補語의 意味指向" 31 : 173-198, 1998

      30 周 红, "现代汉语致使范畴研究" 华东师范大学 2004

      31 郭妹慧, "现代汉语致使句式研究" 北京語言大學校 2004

      32 吕叔湘, "现代汉语八百詞" 商務印書館 1980

      33 谭 丽, "现代汉语使动用法研究" 首都师范大学 2009

      34 沈家煊, "现代汉语“动补结构”的类型学考察" 65 : 17-23, 2003

      35 王 力, "漢語史稿" 中華書局 1980

      36 石毓智, "汉语发展史上的双音化趋势和动补结构的诞生" 1 : 1-14, 2002

      37 董秀芳, "從詞彙化的角度粘合式動補結構的性質" 1 : 40-47, 2007

      38 劉月華, "實用現代漢語語法" 商务印书馆 2001

      39 龚千炎, "动结式复合动词及其构成的动词谓语句式" 3 : 94-103, 1984

      40 王 力, "中國現代語法" 商務印書館 1985

      41 梅祖麟, "上古漢語動詞淸濁別意的來源" 3 : 112-136, 2008

      42 이봉금, "‘V1+V2’구조의 사동의미 파생 및 어휘적 사동과의 차이" 한국중국언어학회 (73) : 19-43, 2017

      43 Bauer, L., "Morphological Productiv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1

      44 Comrie, B.,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Typology" Blackwell 1981

      45 Dixon R. M. W., "Ergativity" 55 : 1979

      46 Dixon R. M. W., "Changing Valenc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47 Song, J., "Causative and Causation: A universal-typological perspective" Addison Wesley Longman 1996

      48 Baayen, R., "A Corpus-Based Approach to Morphological Productivity: Statistical Analysis Psycholinguistic Interpretation" Vrije University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7 0.47 0.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 0.5 1.103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