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보험금청구권과 보험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of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and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Insurance Benefit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대법원은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2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대법원은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많은 대법원판결의 법리에 따르면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대법원은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5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10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법원처럼 소멸시효기간을 정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역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다. 사정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면 소멸시효기간을 각각 다르게 판단하고 있는 대법원판결이 타당하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모든 사건들에서는 보험회사가 우연한 사고의 발생을 이유로 금전을 지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각에서 보험금청구권과 보험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에 관한 법률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번역하기

      대법원은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2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

      대법원은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2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대법원은 엇갈린 입장을 보이고 있지만, 많은 대법원판결의 법리에 따르면 3년의 소멸시효가 적용된다. 대법원은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5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그러나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10년의 소멸시효기간이 적용된다고 판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대법원처럼 소멸시효기간을 정하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하여 검토하고 있다. 무보험자동차에 의한 상해담보특약에 의하여 보험금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상법에 의하여 피해자가 보험회사에게 직접적으로 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보험회사가 보증보험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와 자동차손해배상보장사업을 위탁 받은 보험사업자가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역시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다. 사정이 다르다는 점을 강조한다면 소멸시효기간을 각각 다르게 판단하고 있는 대법원판결이 타당하다. 그러나 앞에서 살펴본 모든 사건들에서는 보험회사가 우연한 사고의 발생을 이유로 금전을 지급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각에서 보험금청구권과 보험금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기간에 관한 법률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two years when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an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lthough the Supreme Court is showing mixed views on cases when the victim, in accordance with the Commercial Law, exercises hi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many the Supreme Court rulings, the prescription period is three year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n prescription period is five years when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its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However, when an insurer who has been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rescription period is ten years. Thu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in various ways on the prescription period. In this paper, we discuss if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complex way. There are common featur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the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nd the case where the victim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Similarly, there are also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and the case where the insurer who is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are reasonable if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fact that circumstances are different. But all previously discussed cases have in common that insurance companies make payments due to accidents. Considering tha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t is more reasonable to determine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simple manner than to complicate the matter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m. Simplifying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and the prescription period of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insurance benefits solves the legal problem in a simple and clear way.
      번역하기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two years when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an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lthough the Supreme Court is showing mixed views on cases...

      The Korean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eriod of extinctive prescription is two years when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an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lthough the Supreme Court is showing mixed views on cases when the victim, in accordance with the Commercial Law, exercises his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according to the legal principle of many the Supreme Court rulings, the prescription period is three year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an prescription period is five years when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its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However, when an insurer who has been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that the prescription period is ten years. Thus, the Supreme Court has ruled in various ways on the prescription period. In this paper, we discuss if it is reasonable to determine the starting point and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complex way. There are common features, as well as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is exercised according to the uninsured motorist insurance and the case where the victim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directly against the insurance company. Similarly, there are also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case where the insurance company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on the grounds that the surety insurance contract is invalid and the case where the insurer who is commissioned with the guarantee of automobile compensation business exercises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wrongful gains. The rulings of the Supreme Court are reasonable if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fact that circumstances are different. But all previously discussed cases have in common that insurance companies make payments due to accidents. Considering that they have something in common, it is more reasonable to determine the prescription period in a simple manner than to complicate the matter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m. Simplifying the right to claim insurance benefits and the prescription period of the right to claim the return of insurance benefits solves the legal problem in a simple and clear wa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양창수, "「유럽계약법원칙」의 소멸시효규정 ― 우리 민법에의 示唆를 덧붙여 ―" 서울대학교 법학 44 (4) : 114 ~ 140, 2003

      2 최한준, "신원보증보험계약상 보험금 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대상판결 : 대판 2002.9.6. 2002다30206)" 상사판례연구 18 (1) : 35 ~ 66, 2005

      3 김성욱, "소멸시효의 단축 및 연장합의와 관련한 입법방향" 법학논총 19 (2) : 353 ~ 374, 2012

      4 임재호, "상법 제64조(상사시효)의 적용범위 ― 대상판결 : 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5 다 7863 판결 ―" 법학연구 47 (2) : 275 ~ 300, 2007

      5 권기율,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보험편】검토보고" 2008

      6 박홍진, "보험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2012년 입법예고된 상법 보험편 개정안 통칙편을 중심으로-" 원광법학 29 (1) : 209 ~ 233, 2013

      7 최성호,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연구" 국제금융위험관리 10 (3), 2009

      8 양승규, "보장사업자의 피해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월간 손해보험 (523), 2012

      9 박연욱, "대법원판례해설 제77호" 법원도서관, 2009

      10 송평근, "대법원판례해설 제67호" 법원도서관, 2007

      1 양창수, "「유럽계약법원칙」의 소멸시효규정 ― 우리 민법에의 示唆를 덧붙여 ―" 서울대학교 법학 44 (4) : 114 ~ 140, 2003

      2 최한준, "신원보증보험계약상 보험금 청구권의 소멸시효의 기산점(대상판결 : 대판 2002.9.6. 2002다30206)" 상사판례연구 18 (1) : 35 ~ 66, 2005

      3 김성욱, "소멸시효의 단축 및 연장합의와 관련한 입법방향" 법학논총 19 (2) : 353 ~ 374, 2012

      4 임재호, "상법 제64조(상사시효)의 적용범위 ― 대상판결 : 대법원 2005. 5. 27. 선고 2005 다 7863 판결 ―" 법학연구 47 (2) : 275 ~ 300, 2007

      5 권기율, "상법 일부개정법률안【보험편】검토보고" 2008

      6 박홍진, "보험소비자보호에 관한 연구 –2012년 입법예고된 상법 보험편 개정안 통칙편을 중심으로-" 원광법학 29 (1) : 209 ~ 233, 2013

      7 최성호, "보험금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한 연구" 국제금융위험관리 10 (3), 2009

      8 양승규, "보장사업자의 피해자에 대한 부당이득반환청구권의 소멸시효" 월간 손해보험 (523), 2012

      9 박연욱, "대법원판례해설 제77호" 법원도서관, 2009

      10 송평근, "대법원판례해설 제67호" 법원도서관, 2007

      11 김덕준, "대법원판결에 대한 정책학적 분석" 정책분석평가학회보 17 (3) : 275 ~ 299, 2007

      12 江頭憲治郎, "商行為である金銭消費貸借に関し利息制限法所定の制限を超えて支払われた利息の損害金についての不当利得返還請求権の消滅時効期間" 法学協会雑誌 99 (6), 1982

      13 임재호, "商法總則․商行爲法 判例의 形成과 變遷" 상사판례연구 23 (1) : 3 ~ 61, 2010

      14 장덕조, "2010년 상법총칙·상행위법 판례의 동향과 그 연구" 상사판례연구 24 (2) : 609 ~ 65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