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高麗中期 自然災害의 발생과 生活環境 = A study on the Natural Disasters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Middle Period of Koryo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1962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Natural Disasters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Middle Period of Koryo Dynasty.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Natural Disasters had started to occur frequently in the middle period, and specially in the early 12th century. Besides numerous disturbances, many of which were the result of social changes such as the emergence of displaced farmers, occurred in this period.
      In this regard, instances of famine, disease, and contagious disease were especially widespread during the years of King Yejong(睿宗) and King Myungjong( 明宗). Noticeable fact is that many advancement were made i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the agricultural promtion policies. This means that the more frequently the Natural Disasters occurred, the more the Human Effort to overcome the damage had increased.
      In this period occasionally the disasters such as the landslides and sudden floods have occurred due to the destroying the environment by Human. For example in this period government tried to construct many facilities such as the new palace, roads, etc. Such a public work needs lots of woods, and the result of destroying forests caused the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floods.
      And the change of the Living Environment occurred in this period from many reasons.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occasionally the human effort against to the Natural Disasters were involved in the changes. For example many people, including displaced farmers gathered to Gaekyung( 00:50, the Capital City of Koryo Dynasty, and the concentration of people made many problems, such as housing, pollution, etc.
      번역하기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Natural Disasters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Middle Period of Koryo Dynasty.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Natural Disasters had started to occur frequently in the middle period, and ...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the Natural Disasters and the Living Environment in the Middle Period of Koryo Dynasty. During the Koryo Dynasty the Natural Disasters had started to occur frequently in the middle period, and specially in the early 12th century. Besides numerous disturbances, many of which were the result of social changes such as the emergence of displaced farmers, occurred in this period.
      In this regard, instances of famine, disease, and contagious disease were especially widespread during the years of King Yejong(睿宗) and King Myungjong( 明宗). Noticeable fact is that many advancement were made in agricultural technology and the agricultural promtion policies. This means that the more frequently the Natural Disasters occurred, the more the Human Effort to overcome the damage had increased.
      In this period occasionally the disasters such as the landslides and sudden floods have occurred due to the destroying the environment by Human. For example in this period government tried to construct many facilities such as the new palace, roads, etc. Such a public work needs lots of woods, and the result of destroying forests caused the disasters such as landslides and floods.
      And the change of the Living Environment occurred in this period from many reasons. In addition to the development of society, occasionally the human effort against to the Natural Disasters were involved in the changes. For example many people, including displaced farmers gathered to Gaekyung( 00:50, the Capital City of Koryo Dynasty, and the concentration of people made many problems, such as housing, pollution, et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 Ⅱ. 자연재해의 발생상황과 대응양상
      • Ⅲ. 산림 훼손과 자연재해, 전염병
      • Ⅳ. 개경 내 생활환경과 도시문제의 심화
      • Ⅴ. 맺음말
      • Ⅰ. 머리말
      • Ⅱ. 자연재해의 발생상황과 대응양상
      • Ⅲ. 산림 훼손과 자연재해, 전염병
      • Ⅳ. 개경 내 생활환경과 도시문제의 심화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봉, "환경사란 무엇인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 한국서양사학회 (100) : 5-37, 2009

      2 김기봉, "환경사-‘성찰적 현대화’를 위한 역사" 46 : 1999

      3 金蓮玉, "한국의 기후와 문화-한국 기후의 문화 역사적 연구-" 梨花女大 出版部 1985

      4 김도균,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217-249, 2008

      5 이개석, "총설: 환경사와 한국 동양사학 연구" 동양사학회 (99) : 1-30, 2007

      6 朴星來, "천(天)・재(災)・지(地)・변(變), In 한국 과학 사상사" 유스북 2005

      7 서성호, "주거지 선택에도 실속을 따지다, In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8 이현숙, "전염병, 치료, 권력: 고려 전염병의 유행과 치료" 이화사학연구소 (34) : 1-54, 2007

      9 이정호, "여말선초 자연재해 발생과 고려・조선정부의 대책" 고려사학회 (40) : 347-379, 2010

      10 朱京哲, "숲의 역사" 138 : 1993

      1 김기봉, "환경사란 무엇인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 한국서양사학회 (100) : 5-37, 2009

      2 김기봉, "환경사-‘성찰적 현대화’를 위한 역사" 46 : 1999

      3 金蓮玉, "한국의 기후와 문화-한국 기후의 문화 역사적 연구-" 梨花女大 出版部 1985

      4 김도균,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217-249, 2008

      5 이개석, "총설: 환경사와 한국 동양사학 연구" 동양사학회 (99) : 1-30, 2007

      6 朴星來, "천(天)・재(災)・지(地)・변(變), In 한국 과학 사상사" 유스북 2005

      7 서성호, "주거지 선택에도 실속을 따지다, In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8 이현숙, "전염병, 치료, 권력: 고려 전염병의 유행과 치료" 이화사학연구소 (34) : 1-54, 2007

      9 이정호, "여말선초 자연재해 발생과 고려・조선정부의 대책" 고려사학회 (40) : 347-379, 2010

      10 朱京哲, "숲의 역사" 138 : 1993

      11 金蓮玉, "기후 변화-한국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8

      12 李泰鎭, "고려~조선 중기 天災地變과 天觀의 변천, In 韓國思想史方法論" 小花 1997

      13 韓政洙, "고려후기 天災地變과 王權" 역사교육연구회 (99) : 135-164, 2006

      14 李正浩, "고려시대의 농업생산과 권농정책" 경인문화사 2009

      15 朴龍雲, "고려시대 開京 연구" 一志社 1996

      16 서성호, "고려시기 개경의 시장과 주거" 38 : 2000

      17 박종진, "고려시기 개경의 물과 생활" 10 : 2003

      18 蔡雄錫,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론" 32 : 1999

      19 정요근, "고려 중.후기 '임진도로(臨津渡路)'의 부상(浮上)과 그 영향" 한국역사연구회 (59) : 197-227, 2006

      20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신서원 2002

      21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출판그룹 2007

      22 金蓮玉, "高麗時代의 氣候環境-史料分析을 中心으로-" 44 : 1984

      23 金永炫, "高麗時代의 五行思想에 관한 一考察" 2 : 1987

      24 李熙德, "高麗時代 天文思想과 五行說 硏究" 一潮閣 2000

      25 須長泰一, "高麗後期の異常氣象に關する一試考" 119-120 : 1986

      26 이정호, "高麗後期 別墅의 조성과 기능" 고려사학회 (27) : 215-242, 2007

      27 李樹健, "高麗後期 ‘土姓’ 硏究" 20-21 : 1981

      28 "高麗墓誌銘集成"

      29 "高麗圖經"

      30 "高麗史節要"

      31 "高麗史"

      32 秦榮一, "高麗前期의 災異思想에 관한 一考, In 高麗史의 諸問題" 三英社 1986

      33 李正浩, "高麗前期 自然災害의 발생과 勸農政策" 부산경남사학회 (62) : 21-50, 2007

      34 한정수, "高麗前期 天變災異와 儒敎政治思想" 한국사상사학회 (21) : 43-79, 2003

      35 李熙德,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高麗時代 天文・五行說과 孝思想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4

      36 朴星來, "韓國史上에 나타난 天災地變의 記錄" 1 (1): 1979

      37 李熙德, "韓國古代 自然觀과 王道政治" 혜안 1999

      38 "稼亭集"

      39 中島陽一郞, "病氣日本史" 雄山閣 1998

      40 홍금수,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7 (17): 69-100, 2005

      41 "東文選"

      42 "東國李相國集"

      43 "新增東國輿地勝覽"

      44 "中京誌"

      45 金蓮玉, "中世 溫暖期의 氣候史的 硏究" 4 : 1992

      46 이정호, "Climate Change in East Asia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in Koryo and Japan during the 12th~13th centuries" 민족문화연구원 12 : 133-156, 2008

      47 魏恩淑, "12세기 농업기술의 발전" 12 : 1988

      48 정은정, "12ㆍ13세기 개경의 영역 확대와 郊外 편제" 부산경남사학회 (67) : 63-101, 2008

      49 蔡雄錫,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 3 : 1990

      50 朴宗基, "12, 13세기 農民抗爭의 原因에 대한 考察" 69 : 1990

      51 金海榮, "'高麗史' 天文志의 檢討" 2 : 1986

      52 秦榮一, "'高麗史' 五行・天文志를 통해 본 儒家秩序槪念의 分析" 6 :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5 1.15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6 2.615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