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기봉, "환경사란 무엇인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 한국서양사학회 (100) : 5-37, 2009
2 김기봉, "환경사-‘성찰적 현대화’를 위한 역사" 46 : 1999
3 金蓮玉, "한국의 기후와 문화-한국 기후의 문화 역사적 연구-" 梨花女大 出版部 1985
4 김도균,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217-249, 2008
5 이개석, "총설: 환경사와 한국 동양사학 연구" 동양사학회 (99) : 1-30, 2007
6 朴星來, "천(天)・재(災)・지(地)・변(變), In 한국 과학 사상사" 유스북 2005
7 서성호, "주거지 선택에도 실속을 따지다, In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8 이현숙, "전염병, 치료, 권력: 고려 전염병의 유행과 치료" 이화사학연구소 (34) : 1-54, 2007
9 이정호, "여말선초 자연재해 발생과 고려・조선정부의 대책" 고려사학회 (40) : 347-379, 2010
10 朱京哲, "숲의 역사" 138 : 1993
1 김기봉, "환경사란 무엇인가 -환경과 인간의 상호작용의 역사-" 한국서양사학회 (100) : 5-37, 2009
2 김기봉, "환경사-‘성찰적 현대화’를 위한 역사" 46 : 1999
3 金蓮玉, "한국의 기후와 문화-한국 기후의 문화 역사적 연구-" 梨花女大 出版部 1985
4 김도균, "한국 환경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한국사 관련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사회학회 12 (12): 217-249, 2008
5 이개석, "총설: 환경사와 한국 동양사학 연구" 동양사학회 (99) : 1-30, 2007
6 朴星來, "천(天)・재(災)・지(地)・변(變), In 한국 과학 사상사" 유스북 2005
7 서성호, "주거지 선택에도 실속을 따지다, In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 2007
8 이현숙, "전염병, 치료, 권력: 고려 전염병의 유행과 치료" 이화사학연구소 (34) : 1-54, 2007
9 이정호, "여말선초 자연재해 발생과 고려・조선정부의 대책" 고려사학회 (40) : 347-379, 2010
10 朱京哲, "숲의 역사" 138 : 1993
11 金蓮玉, "기후 변화-한국을 중심으로-" 민음사 1998
12 李泰鎭, "고려~조선 중기 天災地變과 天觀의 변천, In 韓國思想史方法論" 小花 1997
13 韓政洙, "고려후기 天災地變과 王權" 역사교육연구회 (99) : 135-164, 2006
14 李正浩, "고려시대의 농업생산과 권농정책" 경인문화사 2009
15 朴龍雲, "고려시대 開京 연구" 一志社 1996
16 서성호, "고려시기 개경의 시장과 주거" 38 : 2000
17 박종진, "고려시기 개경의 물과 생활" 10 : 2003
18 蔡雄錫, "고려사회의 변화와 고려중기론" 32 : 1999
19 정요근, "고려 중.후기 '임진도로(臨津渡路)'의 부상(浮上)과 그 영향" 한국역사연구회 (59) : 197-227, 2006
20 김창현, "고려 개경의 구조와 그 이념" 신서원 2002
21 한국역사연구회, "개경의 생활사" 휴머니스트출판그룹 2007
22 金蓮玉, "高麗時代의 氣候環境-史料分析을 中心으로-" 44 : 1984
23 金永炫, "高麗時代의 五行思想에 관한 一考察" 2 : 1987
24 李熙德, "高麗時代 天文思想과 五行說 硏究" 一潮閣 2000
25 須長泰一, "高麗後期の異常氣象に關する一試考" 119-120 : 1986
26 이정호, "高麗後期 別墅의 조성과 기능" 고려사학회 (27) : 215-242, 2007
27 李樹健, "高麗後期 ‘土姓’ 硏究" 20-21 : 1981
28 "高麗墓誌銘集成"
29 "高麗圖經"
30 "高麗史節要"
31 "高麗史"
32 秦榮一, "高麗前期의 災異思想에 관한 一考, In 高麗史의 諸問題" 三英社 1986
33 李正浩, "高麗前期 自然災害의 발생과 勸農政策" 부산경남사학회 (62) : 21-50, 2007
34 한정수, "高麗前期 天變災異와 儒敎政治思想" 한국사상사학회 (21) : 43-79, 2003
35 李熙德, "高麗儒敎政治思想의 硏究-高麗時代 天文・五行說과 孝思想을 中心으로-" 一潮閣 1984
36 朴星來, "韓國史上에 나타난 天災地變의 記錄" 1 (1): 1979
37 李熙德, "韓國古代 自然觀과 王道政治" 혜안 1999
38 "稼亭集"
39 中島陽一郞, "病氣日本史" 雄山閣 1998
40 홍금수, "環境史 硏究 序說: 마쉬의 비판적 환경인식에서 성찰에 기초한 탈근대적 환경윤리의 정립까지"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17 (17): 69-100, 2005
41 "東文選"
42 "東國李相國集"
43 "新增東國輿地勝覽"
44 "中京誌"
45 金蓮玉, "中世 溫暖期의 氣候史的 硏究" 4 : 1992
46 이정호, "Climate Change in East Asia and Agricultural Production Activities in Koryo and Japan during the 12th~13th centuries" 민족문화연구원 12 : 133-156, 2008
47 魏恩淑, "12세기 농업기술의 발전" 12 : 1988
48 정은정, "12ㆍ13세기 개경의 영역 확대와 郊外 편제" 부산경남사학회 (67) : 63-101, 2008
49 蔡雄錫, "12, 13세기 향촌사회의 변동과 ‘민’의 대응" 3 : 1990
50 朴宗基, "12, 13세기 農民抗爭의 原因에 대한 考察" 69 : 1990
51 金海榮, "'高麗史' 天文志의 檢討" 2 : 1986
52 秦榮一, "'高麗史' 五行・天文志를 통해 본 儒家秩序槪念의 分析" 6 :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