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인의 시계그리기 검사 반응특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856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인의 시계그리기 검사(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 보고, 시계그림 내용의 구체적인 반응특성이 어떠한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 상은 대...

      본 연구는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인의 시계그리기 검사(CDT) 점수의 차이를 알아
      보고, 시계그림 내용의 구체적인 반응특성이 어떠한지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
      상은 대구, 경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일반노인 68명, 조현병환자 72명, 치매노인 73명이며,
      이들에게 시계그리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반응에 대한 채점은 Rouleau, Salmon과
      Butters(1996)의 10점 채점체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공변량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계판과 숫자에서는 일반노인과 조
      현병환자보다 치매노인이 수행점수가 낮았으며, 바늘영역에서는 일반노인보다 조현병환자와
      치매노인이 낮았고, CDT 전체점수에서는 일반노인이 가장 점수가 높았고 다음은 조현병환
      자, 치매노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오류유형 중 보속을 제외한 다섯 영역, 즉 시계의 크
      기, 그리기의 어려움, 자극-속박반응, 개념결함, 수 배열 오류는 증상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
      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일반노인보다 조현병환자가, 그리고 조현병환자보다 치매노인
      이 시계그리기의 수행능력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일반노인, 조현병환자, 치매노
      인의 CDT 점수의 차이와 오류유형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임상적 유용성을 확대하였다는 점
      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영,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 학지사 1998

      2 김호영, "한국 노인의 시계 그리기 검사의 표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전영숙,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시계그리기 검사의 반응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941-957, 2014

      4 허정일, "치매 선별 검사로서 시계 그리기 검사의 효율성" 20 (20): 519-533, 2001

      5 서석교,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6 리광철,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결함"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77-389, 2002

      7 이은경,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CDT) 양상"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511-532, 2007

      8 용미현, "정상노인집단과 치매노인집단에서의 MMSE-K와시계그리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 고령자" 7 (7): 11-16, 2013

      9 김현주, "요가치료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7 (7): 125-148, 2011

      10 최성진,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 반응"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25-242, 2005

      1 최진영, "한국판 치매평가 검사" 학지사 1998

      2 김호영, "한국 노인의 시계 그리기 검사의 표준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3 전영숙, "치매환자와 조현병환자의 시계그리기 검사의 반응특성"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941-957, 2014

      4 허정일, "치매 선별 검사로서 시계 그리기 검사의 효율성" 20 (20): 519-533, 2001

      5 서석교,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기능 특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3

      6 리광철, "정신분열병 환자의 인지결함"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377-389, 2002

      7 이은경,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CDT) 양상"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511-532, 2007

      8 용미현, "정상노인집단과 치매노인집단에서의 MMSE-K와시계그리기 검사 간의 상관관계. 고령자" 7 (7): 11-16, 2013

      9 김현주, "요가치료프로그램과 댄스스포츠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7 (7): 125-148, 2011

      10 최성진,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시계 그리기 검사 반응"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225-242, 2005

      11 김희경, "외상성 뇌손상 심도에 따른 시계 그리기 검사와 HABGT의 변별 효율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5 (25): 1043-1062, 2006

      12 임선경, "양성형 정신분열병 환자집단과 음성형 정신분열병 환자집단의 시계 그리기 검사 양상 비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13 송영주, "소조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8 (8): 23-45, 2012

      14 "보건복지부"

      15 권서령, "민요와 장단을 이용한 음악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9 (9): 1-17, 2013

      16 이상현, "노인의 인지기능 선별검사로서 시계 그리기검사와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비교" 20 (20): 269-278, 1999

      17 허정일,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을 위한 시계 그리기 검사의 효율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189-206, 2004

      18 국승희, "경도 치매와 노인성 우울의 변별에서 네 가지 시계그리기 조건의 효율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451-469, 2008

      19 河野和彦, "痴呆症の診断" フジメディカル出版 2005

      20 Herrmann, N., "The use of clock tests in schizophrenia" 21 : 70-73, 1999

      21 Goldstein, K., "The mental changes due to frontal lobe damage" 17 (17): 187-208, 1994

      22 Zakzanis, K. K., "Schizophrenia and frontal brain : a quantitative review" 5 : 556-566, 1999

      23 Grant, I.,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f neuropsychiatric disorders"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4 Johnson-Selfridge, M., "Moderator variable of executive functioning in schizophrenia : Meta-analytic fingings" 27 : 305-316, 2001

      25 Rouleau, I., "Longitudinal analysis of clock drawing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s" 31 : 17-34, 1996

      26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American Psychiatric Publishing 2013

      27 Heinik, J., "Comparison of a clock drawing test in elderly schizophrenia and Alzheimer’s disease patients : a preliminary study" 15 : 638-643, 2000

      28 Shulman, K. I., "Clock-drawing: is it the ideal cognitive screening test?" 15 : 548-561, 2000

      29 Freedman, M., "Clock drawing: A neuropsychological analysis" Oxford University Press 1994

      30 Bozikas, V. P., "Clock drawing test in institutionalized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mpared with alzheimer’s disease patients" 59 : 173-179,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8 1.58 1.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9 1.73 1.733 0.4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