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영적생명운동 실천을 위한 학원복음화의 한 영역으로서의 '주일학교 아동 선교교육' =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in Sunday Schools as an Area of Campus Evangelism for the Practice of the Spiritual Life Movement in Reformed Life Theolog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xt-generation mission education targeted at children in the Korean church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mission work. It seeks to rediscover children as vital human resources for mission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mission education for this demographic. Children’s mission education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ensuring the long-term viability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a critical factor in maintaining its vitality.
      The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hild development stages, Sunday school, campus ministry, the implementation of a missional church, and Reformed Life theological principles. It proposes strategies for enhancing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shifts in pastoral awareness, church support, parental cooper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collaborative frameworks.
      In the early days of Korean mission, foreign missionaries conducted significant ministries through Sunday schools to nurture non-Christian children into faithful Christians.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have a profound impact on later stages, includ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shaping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development. The Bible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during childhood.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helps them recognize their missional identity and commit to mission work. Education aimed at children enhances the potential for campus ministry and provides alternatives for engaging children and youth, who are often regarded as an unreached generation.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church's missional identity and its continuous growth depend on the realization of a missional church, with mission education beginning in Sunday schools serving as its foundation. The church must establish concrete plans for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and effectively ut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Pastors should recognize children as missional resources and share the importance of mission education with the congregation. Additionally, parents must consistently support their children's mission education and collaborate to ensure coherence between church education and family faith instruction.
      Cooperation with various church institutions and external mission organizations is essential. Through this collaboration, systematic and sustainable miss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enabling them to deep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significance of mission work.
      번역하기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xt-generation mission education targeted at children in the Korean church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mission work. It seeks to rediscover children as vital human resources for mission and discusses the sign...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of next-generation mission education targeted at children in the Korean church for the purpose of sustainable mission work. It seeks to rediscover children as vital human resources for mission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mission education for this demographic. Children’s mission education is not only a prerequisite for ensuring the long-term viability of the Korean church but also a critical factor in maintaining its vitality.
      The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from various perspectives, including child development stages, Sunday school, campus ministry, the implementation of a missional church, and Reformed Life theological principles. It proposes strategies for enhancing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through shifts in pastoral awareness, church support, parental coopera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collaborative frameworks.
      In the early days of Korean mission, foreign missionaries conducted significant ministries through Sunday schools to nurture non-Christian children into faithful Christians. Experiences during childhood have a profound impact on later stages, including adolescence and adulthood, shaping physical, mental, and spiritual development. The Bible also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ducation during childhood.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helps them recognize their missional identity and commit to mission work. Education aimed at children enhances the potential for campus ministry and provides alternatives for engaging children and youth, who are often regarded as an unreached generation.
      The restoration of the Korean church's missional identity and its continuous growth depend on the realization of a missional church, with mission education beginning in Sunday schools serving as its foundation. The church must establish concrete plans for mission education for children and effectively utiliz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Pastors should recognize children as missional resources and share the importance of mission education with the congregation. Additionally, parents must consistently support their children's mission education and collaborate to ensure coherence between church education and family faith instruction.
      Cooperation with various church institutions and external mission organizations is essential. Through this collaboration, systematic and sustainable mission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tailored to the developmental stages of children, enabling them to deeply understand and practice the significance of mission work.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한국교회의 지속 가능한 선교사역을 위해 주일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선교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을 선교의 중요한 인적 자원으로 재발견하고, 이들에 대한 선교교육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아동 선교교육은 한국교회의 백년지대계를 담보할 필수요건이자 교회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는 아동 발달시기, 주일학교, 학원선교, 선교적 교회 구현 및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측면에서 아동선교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목회자의 인식 변화, 교회의 지원, 부모의 협조 및 공조체계 강화를 통한 아동선교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 선교 초기에 외국선교사들은 주일학교를 통해 비기독교 아동들을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양육하는 중요한 사역을 하였다. 아동기의 경험은 이후 청년기, 성인기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정신적, 영적 발달을 형성한다. 성경도 아동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선교 교육은 아동이 선교적 정체성을 자각하고 선교에 헌신하도록 돕는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교교육은 학원선교의 가능성을 높이고, 미전도 세대로 간주되는 아동·청소년 선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회복과 지속적인 성장은 선교적 교회 구현에 달려 있으며, 주일학교에서 시작하는 선교교육이 그 기초가 된다.
      교회는 아동선교교육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인적, 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목회자는 아동을 선교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교회 내에서 선교교육의 중요성을 성도들과 공유해야 한다. 가정에서도 부모는 아동의 선교교육을 지속적으로 도와야 하며, 교회 교육과 일관된 신앙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협력해야 한다. 교회 내 다양한 기관과 외부 선교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아동 선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춘 연령별 선교교육을 실시하여 아동들이 선교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번역하기

      본고는 한국교회의 지속 가능한 선교사역을 위해 주일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선교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을 선교의 중요한 인적 자원으로 재발견하고, 이들에 대한 선...

      본고는 한국교회의 지속 가능한 선교사역을 위해 주일학교 아동을 대상으로 한 차세대 선교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을 선교의 중요한 인적 자원으로 재발견하고, 이들에 대한 선교교육의 중요성을 논하였다. 아동 선교교육은 한국교회의 백년지대계를 담보할 필수요건이자 교회의 생명력을 유지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연구는 아동 발달시기, 주일학교, 학원선교, 선교적 교회 구현 및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측면에서 아동선교교육의 중요성을 논의하고, 목회자의 인식 변화, 교회의 지원, 부모의 협조 및 공조체계 강화를 통한 아동선교교육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국 선교 초기에 외국선교사들은 주일학교를 통해 비기독교 아동들을 신실한 기독교인으로 양육하는 중요한 사역을 하였다. 아동기의 경험은 이후 청년기, 성인기까지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정신적, 영적 발달을 형성한다. 성경도 아동기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아동선교 교육은 아동이 선교적 정체성을 자각하고 선교에 헌신하도록 돕는다.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선교교육은 학원선교의 가능성을 높이고, 미전도 세대로 간주되는 아동·청소년 선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한국 교회의 선교적 정체성 회복과 지속적인 성장은 선교적 교회 구현에 달려 있으며, 주일학교에서 시작하는 선교교육이 그 기초가 된다.
      교회는 아동선교교육에 대한 구체적 계획을 세우고, 인적, 물적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목회자는 아동을 선교적 자원으로 인식하고, 교회 내에서 선교교육의 중요성을 성도들과 공유해야 한다. 가정에서도 부모는 아동의 선교교육을 지속적으로 도와야 하며, 교회 교육과 일관된 신앙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협력해야 한다. 교회 내 다양한 기관과 외부 선교단체와의 협력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아동 선교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아동의 발달 단계에 맞춘 연령별 선교교육을 실시하여 아동들이 선교의 의미를 깊이 이해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