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쑤퉁(蘇童)소설에 나타난 하층민 형상과 뱀의 이미지 = The image of the subaltern and the image of the snake in Su Tong's novel - focusing on ‘Why can the snake f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4046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 중반 이래, 쑤퉁 蘇童은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선봉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 논문은 2002년에 창작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인 『뱀이 왜 날까 蛇爲什麽會飛』를 중심으로 이 작품 속에 나타난 하층민 인물형상과 뱀과 기차역, 광장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도시문명 속에 소외된 인간들의 비극적인 운명을 살펴볼 수 있으며, 현대 도시문명에 대한 작가의 날카로운 비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쑤퉁의 이전 소설에서는 주로 역사적인 제재를 취하며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묘사한 소설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하여 역사적 제재의 소설에서 현실적 제재의 장편소설로 창작세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하층민 형상으로는 커위앤 克淵과 금발소녀 金髮女孩 등이 등장하고 있다. 커위앤은 도시 공간 속에서 사채업자의 행동대원 역할을 하며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인물로서 자본주의 도시 공간 속의 모순을 체현하고 있는 인물이다. 금발소녀는 패션스타가 되기 위해 도시로 들어왔지만 결국에는 실망과 좌절을 겪은 후 다시 도시를 떠나가는 인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형상을 통하여 현대인들의 인간소외 현상과 물질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이 작품 속에는 또한 특이하게 뱀의 형상이 등장하고 있는데 기차역으로 몰려들었다가 흩어지는 중국 농민공들의 삶의 모습을 비유하고 있다. 아울러 기차역과 광장이라는 현대 도시 공간의 가장 대표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현대도시인들의 삶의 일상적 욕망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을 연구함으로써 쑤퉁 문학의 특징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쑤퉁 문학의 위치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번역하기

      1980년 중반 이래, 쑤퉁 蘇童은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선봉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 논문은 2002년에 창작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인 『뱀이 왜 날까 蛇爲什࿟...

      1980년 중반 이래, 쑤퉁 蘇童은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선봉문학의 대표적인 작가로서 많은 작품을 창작하였다. 본 논문은 2002년에 창작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인 『뱀이 왜 날까 蛇爲什麽會飛』를 중심으로 이 작품 속에 나타난 하층민 인물형상과 뱀과 기차역, 광장의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현대 도시문명 속에 소외된 인간들의 비극적인 운명을 살펴볼 수 있으며, 현대 도시문명에 대한 작가의 날카로운 비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쑤퉁의 이전 소설에서는 주로 역사적인 제재를 취하며 여성의 비극적인 운명을 묘사한 소설들이 많았다.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하여 역사적 제재의 소설에서 현실적 제재의 장편소설로 창작세계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작품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하층민 형상으로는 커위앤 克淵과 금발소녀 金髮女孩 등이 등장하고 있다. 커위앤은 도시 공간 속에서 사채업자의 행동대원 역할을 하며 온갖 악행을 자행하는 인물로서 자본주의 도시 공간 속의 모순을 체현하고 있는 인물이다. 금발소녀는 패션스타가 되기 위해 도시로 들어왔지만 결국에는 실망과 좌절을 겪은 후 다시 도시를 떠나가는 인물이다. 작가는 이러한 인물형상을 통하여 현대인들의 인간소외 현상과 물질문명을 비판하고 있다. 이 작품 속에는 또한 특이하게 뱀의 형상이 등장하고 있는데 기차역으로 몰려들었다가 흩어지는 중국 농민공들의 삶의 모습을 비유하고 있다. 아울러 기차역과 광장이라는 현대 도시 공간의 가장 대표적인 공간을 배경으로 현대도시인들의 삶의 일상적 욕망을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쑤퉁의 새로운 장편소설을 연구함으로써 쑤퉁 문학의 특징과 변화를 이해하고자 하였고, 중국당대소설사에서 쑤퉁 문학의 위치를 다시 확인해 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middle of 1980s, Su-tong has created a number of piece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vant-garde authors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This paper tries to inspect the images of subaltern characters, snakes, train station and square in his new novel Why can the snake fly published in 2002. Through tragic fates of neglected people in modern civilized culture, writer shows keen criticism on modern civilization. Previously his works mainly described women’s misfortune fate using historical topics. However, after this art piece, historical materials in his creation changed into realistic ones. ‘Ke-yuan’ and ‘blond girl’ are the symbolic image of subaltern. ‘Ke-yuan’, moneylender’s henchman, is a villain character representing contradiction of capitalism of the city. ‘Blond girl’ wants to be a fashion model, but leaves the town after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Showing these figures, the writer criticizes human isol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Also unusual appearance, snakes figuratively mean China’s urban migrant workers gathering and spreading at the train station. Additionally, desires in people’s lives are depicted with ‘train station’ and ‘square’, symbols of modern city, in the background. Studying Su-tong’s new novel,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points and changes of his literature and its status in Chinese novel history.
      번역하기

      Since the middle of 1980s, Su-tong has created a number of piece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vant-garde authors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This paper tries to inspect the images of subaltern characters, snakes, train station and square in his...

      Since the middle of 1980s, Su-tong has created a number of pieces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avant-garde authors in the history of Chinese novel. This paper tries to inspect the images of subaltern characters, snakes, train station and square in his new novel Why can the snake fly published in 2002. Through tragic fates of neglected people in modern civilized culture, writer shows keen criticism on modern civilization. Previously his works mainly described women’s misfortune fate using historical topics. However, after this art piece, historical materials in his creation changed into realistic ones. ‘Ke-yuan’ and ‘blond girl’ are the symbolic image of subaltern. ‘Ke-yuan’, moneylender’s henchman, is a villain character representing contradiction of capitalism of the city. ‘Blond girl’ wants to be a fashion model, but leaves the town after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Showing these figures, the writer criticizes human isolation and material civilization. Also unusual appearance, snakes figuratively mean China’s urban migrant workers gathering and spreading at the train station. Additionally, desires in people’s lives are depicted with ‘train station’ and ‘square’, symbols of modern city, in the background. Studying Su-tong’s new novel,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points and changes of his literature and its status in Chinese novel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는 말
      • Ⅱ. 도시 공간 속의 하층민의 형상
      • Ⅲ. 도시 공간 속의 뱀의 이미지
      • Ⅳ. 나오는 말
      • Ⅰ. 들어가는 말
      • Ⅱ. 도시 공간 속의 하층민의 형상
      • Ⅲ. 도시 공간 속의 뱀의 이미지
      • Ⅳ. 나오는 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張洪, "論蘇童小說創作中的色彩意象" 26 (26): 2008

      2 蘇童, "홍분 紅粉" 아고라 2007

      3 蘇童, "홍등 妻妾成群" 오늘 1992

      4 이영구, "현대 도시 남성 욕망주체의 문학적 재현: 일상성으로부터의 ‘탈주’와 ‘망설임’ - 류헝(劉恒)<白渦>(1988), 쑤퉁(蘇童)<離婚指南>(1995), 한둥(韓東)<我的柏拉圖>(1999)의 경우" 중국어문논역학회 26 (26): 245-267, 2010

      5 이영구, "팔루스(Phallus)의 이동과 욕망의 기호정치학 - 쑤퉁 「처첩성군」과 영화 「홍등」에 관한 한 가지 독법 -" 중국학연구회 48 (48): 57-76, 2009

      6 유강하, "인간의 근원이 깃든 샘 ‘눈물’, 그 치유의 힘: 눈물 여행 속의 치유와 화해-蘇童의 ≪碧奴≫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소설학회 29 (29): 241-267, 2009

      7 蘇童, "이혼지침서 妻妾成群/離婚指南/三盞燈" 아고라 2006

      8 김진애, "우리 도시 예찬" 안그라픽스 2003

      9 조일제, "아메리카 인디언 타자에 대한 D.H.로렌스의 탐색 : 『날개 돋힌 뱀』" 한국로렌스학회 11 (11): 117-150, 2003

      10 장윤선, "쑤퉁(蘇童)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타자(他者)화 - <妻妾成群>, <紅粉>, <婦女生活>, <另一種婦女生活>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회 (32) : 139-162, 2010

      1 張洪, "論蘇童小說創作中的色彩意象" 26 (26): 2008

      2 蘇童, "홍분 紅粉" 아고라 2007

      3 蘇童, "홍등 妻妾成群" 오늘 1992

      4 이영구, "현대 도시 남성 욕망주체의 문학적 재현: 일상성으로부터의 ‘탈주’와 ‘망설임’ - 류헝(劉恒)<白渦>(1988), 쑤퉁(蘇童)<離婚指南>(1995), 한둥(韓東)<我的柏拉圖>(1999)의 경우" 중국어문논역학회 26 (26): 245-267, 2010

      5 이영구, "팔루스(Phallus)의 이동과 욕망의 기호정치학 - 쑤퉁 「처첩성군」과 영화 「홍등」에 관한 한 가지 독법 -" 중국학연구회 48 (48): 57-76, 2009

      6 유강하, "인간의 근원이 깃든 샘 ‘눈물’, 그 치유의 힘: 눈물 여행 속의 치유와 화해-蘇童의 ≪碧奴≫를 중심으로" 한국중국소설학회 29 (29): 241-267, 2009

      7 蘇童, "이혼지침서 妻妾成群/離婚指南/三盞燈" 아고라 2006

      8 김진애, "우리 도시 예찬" 안그라픽스 2003

      9 조일제, "아메리카 인디언 타자에 대한 D.H.로렌스의 탐색 : 『날개 돋힌 뱀』" 한국로렌스학회 11 (11): 117-150, 2003

      10 장윤선, "쑤퉁(蘇童)소설 속에 나타난 여성인물의 타자(他者)화 - <妻妾成群>, <紅粉>, <婦女生活>, <另一種婦女生活>을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회 (32) : 139-162, 2010

      11 金炅南, "쑤퉁(蘇童) 소설의 여성상" 한국중어중문학회 32 : 327-351, 2003

      12 蘇童, "쌀 米" 아고라 2007

      13 임춘성, "소설로 보는 현대 중국" 종로서적 1995

      14 蘇童, "샹차오잉(香草營)" (여름) : 2010

      15 蘇童, "샹차오잉 香草營" 자음과 모음 2010

      16 왕후이,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한다" 창비 2003

      17 蘇童, "뱀이 어떻게 날 수 있지 蛇爲什麽飛" 문학동네 2008

      18 蘇童, "뱀이 어떻게 날 수 있지" 문학동네 2008

      19 송기한, "뱀의 이미지의 兩價的 意味" (겨울) : 1991

      20 이승훈, "문학상징사전" 고려원 1995

      21 蘇童, "마씨 집안 자녀교육기 驯子記" 아고라 2008

      22 蘇童, "눈물 碧奴 1-2" 문학동네 2007

      23 蘇童, "나, 제왕의 생애 我的帝王生涯" 아고라 2007

      24 姜新, "邊緣人的文化格局-蘇童《蛇爲什麽會飛》解讀一種" 2006

      25 蘇童, "蛇爲什會" 云南人民出版社 2002

      26 常玉榮, "蛇會飛向里-評蘇童的長篇小說《蛇爲什麽會飛》" 21 (21): 2004

      27 박난영, "蘇童의「처와 첩들(妻妾成群)」.「홍분(紅粉)」에 나타난 여성의 종속성 소고" 경원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3 : 2007

      28 이혁, "蘇童의 여성 소설에 나타난 생명의식 연구" 한국외대 2004

      29 한혜선, "蘇童의 단편소설 연구: <西窓>외 4편의 단편소설 번역과 해설을 중심으로" 건국대 교육대학원 2008

      30 장근애, "蘇童의 《부녀생활(婦女生活)》연구" 단국대 2009

      31 汪政, "蘇童硏究資料" 천진인민출판사 2007

      32 李遇春, "病態社會的病相報告-評蘇童的長篇小說《蛇爲什麽會飛》" 2006

      33 徐正龍, "浮世繪的力量 ― 解讀蘇童的 『蛇什麽科學』. in: 江蘇社會科學" 敎育文化版 2006

      34 유염평, "是同情? 還是厭?― 對蘇童《妻妾成群》的女性主義閱讀" 중국어문논역학회 12 (12): 253-265, 2004

      35 김경남, "文革의 암영- 蘇童의 「刺靑時代」, 王朔의 「動物凶猛」, 東西의 『耳光響亮』중의 문혁의 정신적 창상을 중심으로" 중국학연구회 16 : 1999

      36 黃敏, "在社會錄一童《蛇爲什麽會飛》. 小說評論"

      37 張學昕, "在現實的空間尋求精神的靈動-讀蘇童長篇小說《蛇爲什麽會飛》" 4 : 2002

      38 張瑜, "剖開慾望的城市 ― 蘇童 『蛇爲什麽會飛』的 '蛇' 意象" 18 (18): 2008

      39 陳思和, "中國當代文學史敎程" 復旦大學出版社 1999

      40 오유미, "中國 뱀 神話의 象徵性 硏究" (52) : 2002

      41 김경남, "「쑤퉁(蘇童) 장편소설론」 - 『米』,『我的帝王生涯』,『碧奴』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34) : 35-58, 2009

      42 김경남, "「쑤퉁(蘇童) 장편소설론」 - 『米』,『我的帝王生涯』,『碧奴』를 중심으로-" 외국문학연구소 (34) : 35-58, 2009

      43 백현주, "《妻妾成群》과《大紅燈龍高高掛》의 비교연구" 숙명여대 2003

      44 임춘성, "21세기 중국의 문화지도" 현실문화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