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수용 적정보상지가에 관한 분석 = A Study on the Standard Land Price and Just Compens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75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spatial and land price data of innovation cities and their periphery area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and timing of changes in land price in relation to projects concerning innovation city. The study result confirms that the...

      Based on the spatial and land price data of innovation cities and their periphery areas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degree and timing of changes in land price in relation to projects concerning innovation city. The study result confirms that the current system is inconsistent with the principle of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an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so that the current system can better fit the principle.
      The analysis reveals that most innovation cities, excluding Sinseo-dong of Daegu and Ujeong-dong of Ulsan, record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land prices since 2005, compared to those of their neighboring areas. It can be said that the information related to projects concerning innovation city was reflected in the land price since 2005. However, the standard land price pursuant to Article 70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is the officially assessed land price released on 1st of January 2007, and this official land price was actually applied to the compensation process. Therefore, estimating the compensation amount for land expropriation based on this land price will contradict the principle of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In other words, despite the fact that development-related information was already reflected in land prices of innovation cities from 2005 to the end of 2006, the compensation process were carried out without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efforts to exclude such reflection.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makes two suggestions. First, it is necessary to cast aside the limitations of the official land price that can be retroactively applied in accordance with Paragraph 5 of Article 70 of the Land Compensation Act, and instead apply the land price which is the most latest but deemed to have no reflection of development gains. Based on this revised standard land price, if the compensation amount is corrected by the average inflation rate and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land price during the period until the time of the recognized land price, the amount would better satisfy the principle of restitution of development gain.
      Second, it is necessary to clearly stipulate the standards of development gains being reflected on the land price by including it in the secondary legislation. Under the current system, it is highly likely that appraiser's arbitrary interpretation on development gains is includ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amount of compensation for land expropriation. In this regar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tandards on determining whether development gains are ref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cademic research and the existing guidelines for appraisal of compensation for land expropriation publish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Property Apprais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혁신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지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혁신도시사업에 따라 토지가격이 어느 시점부터 어느 정도 변동했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현행 제도가 개발이익...

      본 연구에서는 혁신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지가 데이터를 바탕으로 혁신도시사업에 따라 토지가격이 어느 시점부터 어느 정도 변동했는지 살펴보았고, 이를 통해 현행 제도가 개발이익의 배제원칙에 잘 부합하지 않음을 밝히는 한편, 현행 제도를 개발이익의 배제원칙에 보다 부합하도록 개선하기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였다.
      우선 혁신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지가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대부분의 혁신도시지역의 지가가 2005년부터 그 주변지역들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기 시작하였음을 알 수 있다. 즉, 이 시기부터 혁신도시사업과 관련한 정보가 지가에 반영되기 시작하였다고 볼 수 있는데, 이와 같이 혁신도시사업 관련 정보가 반영된 지가를 바탕으로 실제 보상액을 산정하면 개발이익의 배제원칙과는 괴리가 생기게 된다. 그러나 토지보상법 제70조에 따른 보상액 산정의 기준지가는 2007년 1월 1일 공시된 공시지가이며, 또한 실제로도 이러한 기준을 적용하여 보상이 진행되었다. 즉, 2005년부터 2006년 말까지 개발 정보가 해당 혁신도시 지가에 반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배제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및 노력 없이 보상이 진행되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크게 두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 있다. 첫째, 토지보상법 제70조 제5항에서 소급적용할 수 있는 공시지가의 한계를 두지 말고, 대신 개발이익이 반영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는 가장 최근의 공시지가를 기준시가로 적용하도록 변경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렇게 정해진 기준시가를 바탕으로 가격인정시점까지의 통상적인 평균 물가상승률, 평균 지가상승률 등을 바탕으로 보상액을 보정한다면 개발이익 배제의 원칙에 보다 부합할 것이다.
      둘째, 개발이익이 지가에 반영되었다고 판단하는 기준을 하위 법령에 명시적으로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현행 제도하에서는 수용보상액 산정 시 개발이익 반영 여부에 대한 평가자의 자의적인 해석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학술적 연구 결과와 현행 토지보상평가지침(감정평가협회) 등의 기준 등을 참고하여 개발이익 반영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양성혁, "혁신도시 개발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장기파급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 광주전남혁신도시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7

      2 류해웅, "토지보상에 있어서 개발이익 배제에 관한 법제적 고찰" 한국부동산연구원 17 (17): 115-136, 2007

      3 강미영, "택지개발지구지정에 따른 지가변동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영규, "택지개발사업에 의한 사업지역 주변의 지가변화 분석" 한국부동산분석학회 9 (9): 94-103, 2003

      5 김양훈,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사업지구 내·외의 지가변화 특성 분석 : 남양주 호평지구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대학원 2005

      6 조정원,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사업주변지역의 지가변화 특성분석 : 화성동탄지구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8

      7 이동선, "택지개발사업 주변지역의 토지가격 변화에 관한 연구 : 남양주 마석지구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부동산대학원 2001

      8 박승철, "택지개발사업 주변지역의 지가 변화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부동산·건설대학원 2009

      9 김준기, "수도권 신도시 지가변동추이 비교 분석 : 분당, 일산, 평촌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04

      10 선병채, "보상평가에 있어 개발이익 배제" 20 (20): 49-65, 2007

      11 김선태, "둔산 택지개발사업에 따른 대전광역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 변화 분석"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3

      12 채수옥, "대규모 개발사업 주변지역의 토지시장 안정화 방안" 국토연구원 119-120, 2007

      13 김용창, "공익사업에서 정당보상과 손실보상제도의 쟁점 및 개선에 대한 연구" 한국공간환경학회 (33) : 5-47, 2010

      14 강병운, "공익사업에 따른 손실보상제도에 관한 연구 : 기타요인 보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1

      15 허강무, "공익사업과 개발이익- 개발이익 배제 및 환수를 중심으로 -" 한국토지공법학회 40 : 21-43, 2008

      16 이호준, "공공수용제도 개선방안 연구(Ⅰ): 수용보상에 관한 유인체계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0

      17 이호준, "공공수용 보상에 관한 유인체계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33 (33): 121-161, 2011

      18 최강식, "고용영향 분석평가 방법론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181-202, 2007

      19 정동호, "고속도로 접근성 변화가 인구 변화에 미치는 영향 : 122개 지방 시군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20 Wang, R., "The Structure of Chinese Urban Land Prices: Estimates from Benchmark Land Price Data" 39 : 24-38, 2009

      21 Diamond, Douglas B. Jr., "The Relationship between Amenities and Urban Land Prices" 56 (56): 21-32, 1980

      22 Ding, C., "The Effect of Residential Investmnet on Nearby Property Values: Evidence from Cleveland, Ohio" 19 (19): 23-48, 2000

      23 Innes, R., "The Economics of Takings and Compensation When Land and Its Public Use Value Are in Private Hands" 72 (72): 195-212, 2000

      24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STATA학회 2009

      25 Carr, J., "Land Banking and the Price of Land" 51 (51): 316-330, 1975

      26 Tobler W., "A Compute Movie Simulating Urban Growth in the Detroit Region" 46 (46): 234-240, 197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2-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16-09-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개발연구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외국어명 : 미등록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6-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DI정책연구 -> 한국개발연구 KCI등재후보
      2005-05-30 학술지등록 한글명 : KDI정책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1 0.85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