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개화기 시대에 간행된 문헌 자료 가운데서 천주교, 개신교 관련 문헌 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1860년부터 1910년까지에 간행된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정리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개화기 시대에 간행된 문헌 자료 가운데서 천주교, 개신교 관련 문헌 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1860년부터 1910년까지에 간행된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정리하...
이 글은 개화기 시대에 간행된 문헌 자료 가운데서 천주교, 개신교 관련 문헌 자료를 정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고에서는 1860년부터 1910년까지에 간행된 문헌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정리하되, 먼저 천주교와 개신교로 크게 나누고, 그 다음에 성서와 성서 이외 자료로 나누어, 간행시기를 중심으로 하고 판본의 종류를 고려하여 정리하기로 한다. 천주교 성서는 한문성서를 부분발췌 번역한 것으로 종류가 많지 않으며, 사사성경(1910년)은 서구어 성서를 주대상으로 하고 한문성서를 참고한 천주교 최초의 완역본이다. 천주교 교리서는 한문본을 오랜 기간에 걸쳐 필사본, 목판본, 활판본으로 간행하였으며, 사제가 감수하여 통일성을 기하였다. 개신교 성서는 여러 종류가 있으며, 한문 성서와 서구어 성서를 대상으로 처음부터 완역하였는데, 초기에는 국외에서 개인이 번역하다가, 차차 국내에서 단체가 번역하게 되었다. 개신교 교리서는 서양의 원본을 선교사가 개인적으로 번역한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개신교 관련 자료는 활판본으로만 간행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elect and classify the phil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mong those publish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of Korea. In this present paper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target materials f...
This paper has a purpose to select and classify the philological materials related to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mong those published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of Korea. In this present paper the author has investigated the target materials from the year 1860s to 1910s. The first and the largest division has fallen between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and that of further subdivision between Bible and the other materials. The Catholic Bibles were translated in parts from the Chinese Bibles, and with no variety of kinds. The Catholic cathechisms were published in the Chinese versions as manuscript, woodblock, and lead type printing for a long period; and they were supervised and edited by priests for the unification. The Protestant Bibles which had various kinds, were completely translated from the Occidental original Bibles with partial help of the Chinese Bibles. In the earlier days they were translated by personal translators overseas and in the later days gradually by organizations in the inbound area. The Protestant cathechisms were mostly translated from the Occidental original Bibles by personal missiona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덕주, "한글성서 번역에 관한 연구-1882∼1938년 간행된 성서를 중심으로, in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1985
2 M. Courant, "한국서지" 일조각 1994
3 김봉희, "한국기독교문서 간행사 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87
4 한영제, "한국기독교 문서운동 100년, in 한국기독교 사료전시 자료집" 기독교문사 1987
5 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교회사연구자료12집 (10권), 15집(4권), 16집(1권), 17집(12권), 20집(12권)" 태영사 1986
6 안홍균, "한국교회사연구자료 17집, 20집 해제" 태영사 1986
7 안홍균, "한국교회사연구자료 15집, 16집 해제" 태영사 1985
8 서정수, "한국교회사 연구자료 제12집 해제" 태영사 1984
9 최석우, "한국교회 교리서의 변천사, in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10 이응호, "한국 초기 천주교회의 한글 성경 번역 사업" 성결교 신학교 7 : 1983
1 이덕주, "한글성서 번역에 관한 연구-1882∼1938년 간행된 성서를 중심으로, in 한국기독교와 민족운동" 1985
2 M. Courant, "한국서지" 일조각 1994
3 김봉희, "한국기독교문서 간행사 연구" 이화여대출판부 1987
4 한영제, "한국기독교 문서운동 100년, in 한국기독교 사료전시 자료집" 기독교문사 1987
5 한국교회사연구소, "한국교회사연구자료12집 (10권), 15집(4권), 16집(1권), 17집(12권), 20집(12권)" 태영사 1986
6 안홍균, "한국교회사연구자료 17집, 20집 해제" 태영사 1986
7 안홍균, "한국교회사연구자료 15집, 16집 해제" 태영사 1985
8 서정수, "한국교회사 연구자료 제12집 해제" 태영사 1984
9 최석우, "한국교회 교리서의 변천사, in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10 이응호, "한국 초기 천주교회의 한글 성경 번역 사업" 성결교 신학교 7 : 1983
11 김양선, "한국 기독교 초기 간행물에 관하여, in 김성식박사화갑기념논총" 고려대 사학회 1968
12 "플랑시(Plancy)는 제1대(1888-91), 제3대(1896-1906) 2차에 걸쳐 주한 프랑스 공사를 지냈으며, 이 기간 동안 1,500 여권의 한국문헌을 수집하였다. 이 문헌들은 그의 통역관인 꾸랑(Courant. 1890-92년 한국 근무)이 3,821종의 한국문헌을 해제 및 정리한 ‘한국서지’ (Biblioglaphie Corèenne. 1896년 간행)에 포함되어 있다. 이들 가운데 천주교, 개신교 관련 자료 68종을 18권으로 모은 것이 이 플랑시 문고인데, 이것은 한국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13 김동언, "텬로력뎡과 개화기국어" 한국문화사 1998
14 이응호, "최초의 한글성경 <예수셩교 누가복음젼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44 : 1983
15 서정수, "초기 우리말 성경의 표기법과 대명사에 관하여 -셩경직를 중심으로, in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16 조태희, "초기 개신교의 성서 국역에 대한 연구-Ross Version과 이수정 역을 중심으로" 한양대 교대원 1984
17 서정욱, "첫 한글성서의 국어학적 특성 연구- 로스 역 <누가복음>의 번역론적 고찰" 계명대 2 : 1986
18 최윤환, "천주성교공과의 원본" 가톨릭대학 2 : 1976
19 민영준, "죠션크리스토인 회보에 연재된 구약" (12) : 1986
20 배현숙, "조선에 전래된 천주교 서적, in 『교회사논문집』Ⅰ-한국천주교창설 200주년 기념" 1984
21 김철, "정약종의 주교요지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 대학원 1978
22 "인터넷 사이트 : 마리아사랑넷"
23 나채운, "우리말 성경연구" 기독교문사 1990
24 교회와역사편집실, "성교요리문답(聖敎要理問答)-한글목판 초판본(1864)" 한국교회사연구소 (384) : 2007
25 양인성, "성교감략" 한국교회사연구소 (383) : 2007
26 이덕주, "성공회 발췌성서 <조만민광> 연구, in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7
27 조화선, "성경직연구, in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28 김충효, "성경직해의 존대법 연구" 군산대 11 : 1985
29 조한건, "성경직해광익의 서지적 연구(1)-필사본의 편집방식을 중심으로" 한국교회사연구소 (394) : 2008
30 서정수, "성경직해 문장의 문체적 특징" 3 : 1991
31 이병영, "목판본을 중심한 천주성교공과 소고, in 한국천주교회사논문선집" 한국교회사연구소 1976
32 박창해, "로스 <예수셩교젼셔>에 쓰인 한국어의 문법구조, in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33 최현배, "기독교와 한글, in 외솔 최현배박사 고희기념논문집" 1968
34 최석우, "긔일긔의 몇가지 문제점, in 한국교회사의 탐구" 한국교회사연구소 1982
35 국립국어연구원, "국어의 시대별 변천연구4 -개화기 국어" 1999
36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문화사 1982
37 정길남, "개화기국어자료집성-성서문헌편 해제" 박이정 1995
38 정길남, "개화기 국어자료집성-성서문헌편" 박이정 1995
39 이현희, "개화기 국어자료, in 국어의 시대별 변천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9
40 김형철, "개화기 국어연구" 경남대출판부 1997
41 민현식, "개화기 국어사 자료에 대하여, in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1993
42 김형철, "갑오경장기의 문체" 국립국어연구원 4 (4): 1994
43 양인성, "간언요리와 진교절요" 한국교회사연구소 (394) : 2008
44 홀 연구회, "賀樂醫員史蹟 - 허을의원적" 1992
45 서종태, "丁若鍾의 『쥬교요지』에 대한 문헌학적 검토" 한국사상사학회 18 : 2002
46 조한건, "《쥬교요지》와 漢譯西學書와의 관계" (재)한국교회사연구소 (26) : 5-74, 2006
47 전택부, "‘하나님’ 및 ‘텬쥬’라는 말에 관한 역사 소고 -18세기와 19세기를 중심으로, in 한글성서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5
48 민영진, "<예수셩교젼셔>에 관한 고찰-대용어 선택에서 본 번역문의 성격" 268 : 1980
49 이환진, "<예수셩교젼서> 고찰, in 성서한국" 1987
50 김충효, "<셩경직광익>과 <셩경직>의 표기법과 문법형태 비교 연구, in 그리스도교와 겨레문화" 기독교문사 1987
51 김충효, "<셩경직광익>과 <셩경직>의 국어학적 비교 고찰"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1 : 1987
52 손세모돌, "<셩경직>에 나타난 서술형 형태 연구" 3 : 1985
53 신대원, "<성교절요> 연구" 대구카톨릭대학 대학원 1990
54 김충효, "<성경직광익>과 <독립신문>의 국어학적 비교 고찰"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14 : 1988
55 정길남, "19세기 성서의 우리말 연구" 서광학술자료사 1992
56 한국기독교 박물관, "(한국기독교박물관 소장) 기독교 자료 해제" 숭실대 한국기독교 박물관 2007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국어사 자료로서의 ‘개화기 소설’-개화기 소설 연구의 현황과 전망을 중심으로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