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형문화유산 교육체계에서 커뮤니티 참여 교육과정의 네트워크 효과에 관한 연구 : 중국 광시예술대학 민족예술학과 프로그램 사례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5626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Provan & Milward(2001)의 네트워크 효과성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참여가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네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광시예술대학 민족예술학과의 사례와 결합하여 논의한다. 연구는 커뮤니티가 참여하는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네트워크에서 어떤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러한 요인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는 커뮤니티 참여와 파트너십 이론을 결합하여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문제 해결 메커니즘, 상호 이익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으로 모델을 구축했다. 이 모델을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상호 이익이 네트워크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문제 해결 메커니즘, 상호 이익의 중요성을 대체로 인정했다. 그러나 재학생과 졸업생은 흥미, 취업 의향, 참여 횟수, 참여 방식 등에 있어 각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발견은 협력의 신뢰도와 의사소통이 협력의 안정성과 참여자의 적극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자원 및 예산의 제한과 문제 해결 메커니즘 부족은 네트워크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는 향후 커뮤니티 참여 교육과정에서 자원과 협력 메커니즘의 최적화 및 장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에 여전히 직면한 과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키워드: 커뮤니티 참여, 무형문화유산 교육, 네트워크 효과성, 파트너십, 대학 교육과정
      번역하기

      본 연구는 Provan & Milward(2001)의 네트워크 효과성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참여가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네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본 연구는 Provan & Milward(2001)의 네트워크 효과성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커뮤니티 참여가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네트워크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광시예술대학 민족예술학과의 사례와 결합하여 논의한다. 연구는 커뮤니티가 참여하는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네트워크에서 어떤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구하고, 이러한 요인에 대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연구는 커뮤니티 참여와 파트너십 이론을 결합하여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문제 해결 메커니즘, 상호 이익이라는 다섯 가지 요인으로 모델을 구축했다. 이 모델을 정량적·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상호 이익이 네트워크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신뢰도, 의사소통, 평등한 협력, 문제 해결 메커니즘, 상호 이익의 중요성을 대체로 인정했다. 그러나 재학생과 졸업생은 흥미, 취업 의향, 참여 횟수, 참여 방식 등에 있어 각 요인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이러한 발견은 협력의 신뢰도와 의사소통이 협력의 안정성과 참여자의 적극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자원 및 예산의 제한과 문제 해결 메커니즘 부족은 네트워크 효과성과 지속 가능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는 향후 커뮤니티 참여 교육과정에서 자원과 협력 메커니즘의 최적화 및 장기적인 협력 관계 구축에 여전히 직면한 과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키워드: 커뮤니티 참여, 무형문화유산 교육, 네트워크 효과성, 파트너십, 대학 교육과정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twork effectiveness (Provan & Milward, 2001), using the Department of Ethnic Arts at Guangxi Arts University as a case study. The aim is to analyze community participation's impact on networks' effectiveness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programs. The research investigates which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etwork of ICH education courses involv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universities. It explores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various stakeholders regarding these factors. To achieve this, the study integrate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theories, constructing a model that includes five factors: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mechanisms, and reciprocity. The analysis employs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show that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and reciprocity significantly positively impact network effectiveness. Although stakeholders generall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mechanisms, and reciprocity, differences exist in the perceptions of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particularly regarding interests, career intention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modes of engage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rust and communication are crucial to improving the stability of cooperation and participant engagement. However, limitations in resources and funding, along with inadequacies in problem-solving mechanisms, hinder the overall network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The study also highlights ongoing challenges in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enhancing cooperation mechanisms, and establishing long-term partnerships in future community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Keywords: Community Engage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network effectiveness; partnership; higher education
      번역하기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twork effectiveness (Provan & Milward, 2001), using the Department of Ethnic Arts at Guangxi Arts University as a case study. The aim is to analyze community participation's impact on networ...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network effectiveness (Provan & Milward, 2001), using the Department of Ethnic Arts at Guangxi Arts University as a case study. The aim is to analyze community participation's impact on networks' effectiveness in Chinese higher educ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CH) programs. The research investigates which factor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network of ICH education courses involving community participation in universities. It explores the perception differences among various stakeholders regarding these factors. To achieve this, the study integrates community participation and partnership theories, constructing a model that includes five factors: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mechanisms, and reciprocity. The analysis employs a mixed-methods approach, combin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The results show that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and reciprocity significantly positively impact network effectiveness. Although stakeholders generall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rust, communication, equal collaboration, problem-solving mechanisms, and reciprocity, differences exist in the perceptions of current students and graduates, particularly regarding interests, career intentions, frequency of participation, and modes of engage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rust and communication are crucial to improving the stability of cooperation and participant engagement. However, limitations in resources and funding, along with inadequacies in problem-solving mechanisms, hinder the overall network effectiveness and sustainability. The study also highlights ongoing challenges in optimizing resource allocation, enhancing cooperation mechanisms, and establishing long-term partnerships in future community participation education programs.

      Keywords: Community Engagem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ducation; network effectiveness; partnership; higher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4
      • 2. 연구의 범위 5
      • Ⅰ. 서 론 1
      • 1. 연구 배경과 목적 1
      • 1) 연구 배경 1
      • 2) 연구 목적 및 연구 문제 4
      • 2. 연구의 범위 5
      • Ⅱ. 선행 연구 검토 및 이론적 배경 7
      • 1.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전승 체계 및 현황 7
      • 1) 대학 무형문화유산 전승 체계 7
      • 2) 대학 무형문화유산 전승 현황 11
      • 2.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15
      • 1) 중국 대학의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역사 15
      • 2) 중국의 대학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현황 20
      • 3) 중국 커뮤니티 참여 대학 무형문화유산 교육과정 현황 24
      • 4) 광시예술대학 민족예술학과의 역사와 실태 28
      • 3. 무형문화유산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 55
      • 1) 무형문화유산 보호에 네트워크 활용 55
      • 2) 대학과 커뮤니티 참여 무형문화유산 전승 58
      • 3) 무형문화유산 보호에서 커뮤니티의 역할과 기능 61
      • 4. 이론적 배경 64
      • 1) 네트워크 효과성 이론 64
      • 2) 커뮤니티 참여 이론 74
      • 3) 파트너십 이론 79
      • Ⅲ. 연구 모델 및 조사 설계 83
      • 1. 연구 모델 및 연구 가설 83
      • 2. 연구 변수의 선정 90
      • 1) 커뮤니티 참여 교육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0
      • 2) 네트워크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7
      • 3. 조사 설계 및 분석 방법 102
      • 1) 양적 연구 설계 105
      • 2) 질적 연구 설계 109
      • Ⅳ. 분석 결과 및 논의 114
      • 1. 설문조사 분석 결과 114
      • 1) 기술통계 분석 114
      • 2) 변수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 119
      • 3) 집단간 평균차이 분석 123
      • 4) 상관관계 분석 141
      • 5) 회귀 분석 144
      • 2. 인터뷰 분석 결과 153
      • 1) 응답자 특성 153
      • 2) 커뮤니티 참여 과정의 관련 요인 156
      • 3) 네트워크 효과성과 관련 요인 170
      • 3. 분석 결과 논의 181
      • 1) 대학 수준 183
      • 2) 참여자 수준 185
      • 3) 네트워크 수준 187
      • Ⅴ. 결론 189
      • 1. 결론 189
      • 2. 학술적 시사점 196
      • 1) 학술적 의의 196
      • 2) 실천적 의의 198
      • 3. 연구 한계점 및 연구 방향 200
      • 참고문헌 202
      • ABSTRACT 2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