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직업교육기관 학교장들이 인식하는 리더십 유형과 직무수행 특성 간 관계 = Differences in Job Performanc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eadership Types of Principals of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35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ypes with principal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leadership and perceptions gap with types for recognition of task performance importance. Q-method was used for substituting subjective judgment such as attitude, principle, value to objective judgment with P-sample. P-sample was composed of 25 principal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22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3 of Meister high school, 9 of industrial specialized, 8 of business specialized, 5 of agriculture specialized, 2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pecialized, and 1 of fisheries and shipping specialized.
      The maj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types of principal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leaderships. Type 1 is coaching leadership which prefers giving appropriate help to teaching staff over directly intervention for achieving their goals. Type 2 is empowering leadership which gives teaching staff authority for doing their tasks. Type 3 is democratic leadership which treats teaching staff on the same footing for achieving their goals. Second, each type of leadership shows different recognitions of task performance importance in facilitating of school vision area, school culture & class program area, administrator ethics area.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ypes with principal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leadership and perceptions gap with types for recognition of task performance importance. Q-method was used for substituting subjective judgment such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ypes with principal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leadership and perceptions gap with types for recognition of task performance importance. Q-method was used for substituting subjective judgment such as attitude, principle, value to objective judgment with P-sample. P-sample was composed of 25 principals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Meister high school, 22 of Vocational high school and 3 of Meister high school, 9 of industrial specialized, 8 of business specialized, 5 of agriculture specialized, 2 of vocational home economics specialized, and 1 of fisheries and shipping specialized.
      The major conclusions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three types of principal of secondary level vocational education leaderships. Type 1 is coaching leadership which prefers giving appropriate help to teaching staff over directly intervention for achieving their goals. Type 2 is empowering leadership which gives teaching staff authority for doing their tasks. Type 3 is democratic leadership which treats teaching staff on the same footing for achieving their goals. Second, each type of leadership shows different recognitions of task performance importance in facilitating of school vision area, school culture & class program area, administrator ethics a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장이 인식하는 중등직업교육 교장의 리더십을 살펴보고, 그 유형에 따른 직무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태도, 신념, 가치 등의 영역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이 방법론의 P표본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 리더십 연수에 참여한 교장 25명으로 선정하였다. P표본은 특성화고등학교 22명, 마이스터고등학교 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6명, 비수도권 19명, 계열별로는 공업계 9명, 상업계 8명, 농업계 5명, 가사실업계 2명, 수산해운계 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중등직업교육 교장의 리더십 유형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유형 1은 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직접적인 개입보다 교직원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주는 코치형 리더십 유형, 유형 2는 학교 자체의 목표 달성보다는 교직원들의 업무수행에 있어 관계와 임파워먼트를 중요하시는 임파워먼트형 리더십 유형, 유형 3은 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교장과 교직원 상하 관계가 아닌 학교의 교직원이라는 동등한 위치라고 인식하려고 노력하는 민주형 리더십 유형이다. 둘째,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장의 직무영역별 중요도를 인식하는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비전 촉진, 학교문화와 수업프로그램, 행정가의 윤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장이 인식하는 중등직업교육 교장의 리더십을 살펴보고, 그 유형에 따른 직무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의 교장이 인식하는 중등직업교육 교장의 리더십을 살펴보고, 그 유형에 따른 직무별 중요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개인이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태도, 신념, 가치 등의 영역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방법론인 Q 방법론을 활용하였고, 이 방법론의 P표본은 특성화고등학교 및 마이스터고등학교 교장 리더십 연수에 참여한 교장 25명으로 선정하였다. P표본은 특성화고등학교 22명, 마이스터고등학교 3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6명, 비수도권 19명, 계열별로는 공업계 9명, 상업계 8명, 농업계 5명, 가사실업계 2명, 수산해운계 1명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로 첫째, 중등직업교육 교장의 리더십 유형은 세 가지로 나타났다. 유형 1은 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직접적인 개입보다 교직원들에게 적절한 도움을 주는 코치형 리더십 유형, 유형 2는 학교 자체의 목표 달성보다는 교직원들의 업무수행에 있어 관계와 임파워먼트를 중요하시는 임파워먼트형 리더십 유형, 유형 3은 학교의 목표 달성을 위해 교장과 교직원 상하 관계가 아닌 학교의 교직원이라는 동등한 위치라고 인식하려고 노력하는 민주형 리더십 유형이다. 둘째, 리더십 유형에 따른 교장의 직무영역별 중요도를 인식하는 정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교비전 촉진, 학교문화와 수업프로그램, 행정가의 윤리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종철,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6 (26): 73-95, 2002

      2 국승오,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이경,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7

      4 윤기헌,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과 권한 발휘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의 인식 조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박주호, "학교변화 촉진을 위한 교장의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89-111, 2011

      6 김인곤,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 교사의 헌신도 및 조직 효과성의 인과적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15-37, 2011

      7 강명화, "초임교장의 역할수행상의 애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2003

      9 유학근,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63-190, 2012

      10 김태호, "중등학교 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 백종철,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학회 26 (26): 73-95, 2002

      2 국승오,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서번트 리더십이 교사의 효능감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3 김이경, "학교장의 리더십 특성분석 및 개선방안" 한국교육개발원 2007

      4 윤기헌,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과 권한 발휘에 대한 학교장과 교사의 인식 조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5 박주호, "학교변화 촉진을 위한 교장의 리더십과 교사 직무만족도"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6 (6): 89-111, 2011

      6 김인곤, "특성화 고등학교 교장의 통합적 지도성, 교사의 헌신도 및 조직 효과성의 인과적 관계" 한국상업교육학회 25 (25): 15-37, 2011

      7 강명화, "초임교장의 역할수행상의 애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8 이무근, "직업교육학 원론" 교육과학사 2003

      9 유학근, "중등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인력개발학회 14 (14): 163-190, 2012

      10 김태호, "중등학교 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1 김진모, "중등단계 직업교육 학생 추가 수요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18, 2016

      12 이난희, "조직 구성원의 팔로워십과 리더십 인식 유형 및 상응관계 탐색" 연세대학교 2016

      13 나승일, "정부부처 위탁 지원 특성화고 운영 활성화 방안" 한국농·산업교육학회 41 (41): 49-76, 2009

      14 백평구, "인적자원개발에서의 주관성 연구의 의미 : Q 방법론을 중심으로" 한국성인교육학회 14 (14): 1-37, 2011

      15 장창성, "우리나라 중등단계 직업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제도적 특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3

      16 김경희,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의 책무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7 권영미, "병원 내 집단 간의 수간호사 역할 지각에 관한 연구" 3 : 192-235, 1998

      18 석승규, "리더십과 자결적 주관성: 군사학적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1) : 145-162, 2010

      19 정치수, "단위학교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장 리더십 연구 : 강원도 초·중·고 교장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2010

      20 주삼환, "교장의 직무수행 척도 개발" 한국교원교육학회 24 (24): 197-220, 2007

      21 김현수,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부장교사의 리더십, 초임교사의 교직관 및 교직적응 간의 구조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1 (31): 105-130, 2014

      22 주삼환, "교육행정강독" 원미사 1999

      23 김희연, "교원이 지각한 특수학교장의 리더십과 지식경영 및 특수학교 조직문화 간의 관계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5 (45): 197-226, 2010

      24 김이경, "교원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및 기준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25 신재흡,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지도성과 학교 조직 문화 및 학교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한국교육행정학회 20 (20): 91-116, 2002

      26 최상균, "교사가 지각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및 교사리더십과 교사효능감,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2

      27 이병욱, "고졸 취업의 질적 성장을 위한 중등 직업교육기관의 운영 개선에 대한 교원의 인식 조사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17): 55-79, 2014

      28 교육부, "고교 맞춤형 교육 활성화 계획" 교육부 2016

      29 이정숙, "간호사의 팔로워십 유형에 대한 주관성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23) : 201-219, 2011

      30 Stephenson, W., "The study of behavior: Q-technique and its methodolog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53

      31 Roe, W. H., "The principalship" Macmillan 1974

      32 Cuban, L., "The managerial imperative and the practice of leadership in schools"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33 Pearce, C. L., "The future of leadership: Combining vertical and shared leadership to transform knowledge work" 18 (18): 47-57, 2004

      34 Blumberg, A., "The Effective Principal. Perspectives on School Leadership" Allyn and Bacon 1980

      35 Deal, T. E., "Shaping school culture: The heart of leadership" Jossey-Bass 1999

      36 김홍규, "Q 방법론 : 과학철학, 이론, 분석 그리고 적용" 커뮤니케이션북스 2008

      37 McKeown, B. F., "Q methodology (Quantitative applications in the social sciences series, vol. 66" Sage Publications 1988

      38 Marks, H. M., "Principal leadership and school performance: An integration of transformational and instructional leadership" 39 (39): 370-397, 2003

      39 Goleman, D., "Primal leadership: Unleashing the power of emotional intelligence" Harvard Business Press 2013

      40 Brown, S. R., "Political subjectivity: Applications of Q methodology in political science" Yale University Press 1980

      41 House, R. J., "Path-goal theory of leadership" Washington University Dept of Psychology 1975

      42 Sergiovannim T. J., "Moral leadership: Getting to the heart of the school improvement" Jossey-Bass 1992

      43 Hersey, P.,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Pearson Prentice Hall 2002

      44 Bass, B. M., "Leadership and performance beyond expectations" The Free Press 1985

      45 이혜정, "IT 프로젝트 팀원의 리더십 인식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관성연구학회 (30) : 65-88, 2015

      46 Cunningham, W. G., "Cultural leadership: The culture of excellence in education" Allyn & Bacon 199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8-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5-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농업교육학회지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Agricultural Education ->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2 1.35 1.58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