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 – 라이선스계약에의 적용 가능성을 중심으로 – = Lessor's Liability for Defects– Focusing on Applicability to License Contracts –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은 의식주를 소비하는 방식에 있어 가치의 중심이 ‘소유’에서 ‘사용’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거래가 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민법의 제정 당시에는 물건이나 유체물이 사용·수익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오늘날은 지식재산의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가 라이선스계약의 형태로 일상화되고 있다. 또한 사용·수익 거래의 급증과 더불어 일정한 사용·수익을 제공하는 자의 하자담보책임도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의 대표적 형태인 임대차는 우리 민법의 제정 당시부터 주요 전형계약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왔으나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선행 연구는 미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임대차의 유상성에 비추어 임대인은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동일한 담보책임을 진다고 기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계속적 계약인 임대차의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다. 특히, 오늘날 지식재산의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거래들은 주로 무명계약으로 취급되어왔을 뿐이고, 전형계약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 결과 계약 당사자의 의사가 계약의 문언으로 명시되지 못한 사항에 대하여는 계약법 총칙, 계약법 원칙, 관습법 등에 근거하여 계약해석을 해야 하나,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거래에 대하여 구체적 법률에 근거를 두지 않는 법 해석을 폭넓게 허용하는 것은 성문법주의 국가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의 구체적 내용을 그 발생근거, 내용 및 한계를 중심으로 검토한 다음,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 적용범위를 라이선스계약으로 확대할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하자담보책임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검토에서는 먼저 민법 제567조와 민법 제627조가 임대인이 지는 법정 하자담보책임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민법 제567조가 준용하는 매도인의 담보책임 규정은 임대차의 특성을 고려할 때, 목적물 자체의 하자이든 권리의 하자이든 모두 통일적으로 민법 제580조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을 계속적 계약인 임대차의 특성에 기초하여 원시적 하자와 후발적 하자로 나누어 살펴보고, 권리 행사기간과 하자담보책임의 한계에 관하여도 함께 살펴보았다.
      하자담보책임 적용범위의 확대에 관한 검토에서는 먼저 라이선스계약이 무명계약으로 취급되는 결과 계약 문언에 치중하여 계약을 해석하려는 입장으로 인해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 발생 여부에 관한 분쟁이 종종 발생하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을 라이선스계약에 적용할 필요성을 살펴보고 그 방안을 검토하였다.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을 라이선스계약에 적용하는 방안은 해석론의 관점과 입법론의 관점에서 각각 검토하였다. 해석론의 관점에서는 민법 규정상 임대차 목적물이 물건에 한정되지 않은 점과 라이선스계약과 임대차가 그 성질 면에서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라이선스계약에 임대차 규정을 직접 적용하는 방안과 유추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입법론의 관점에서는 상기와 같은 해석론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임대차의 객체를 물건 내지 유체물로 보는 것이 다수의 견해인바...
      번역하기

      오늘날은 의식주를 소비하는 방식에 있어 가치의 중심이 ‘소유’에서 ‘사용’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거래가 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민법의 제정 ...

      오늘날은 의식주를 소비하는 방식에 있어 가치의 중심이 ‘소유’에서 ‘사용’으로 점차 이동하면서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거래가 시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민법의 제정 당시에는 물건이나 유체물이 사용·수익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나, 오늘날은 지식재산의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가 라이선스계약의 형태로 일상화되고 있다. 또한 사용·수익 거래의 급증과 더불어 일정한 사용·수익을 제공하는 자의 하자담보책임도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계약의 대표적 형태인 임대차는 우리 민법의 제정 당시부터 주요 전형계약 중 하나로 자리매김해왔으나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선행 연구는 미진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임대차의 유상성에 비추어 임대인은 매도인의 담보책임과 동일한 담보책임을 진다고 기술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계속적 계약인 임대차의 특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못했다. 특히, 오늘날 지식재산의 사용·수익을 목적으로 하는 거래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이러한 거래들은 주로 무명계약으로 취급되어왔을 뿐이고, 전형계약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그 결과 계약 당사자의 의사가 계약의 문언으로 명시되지 못한 사항에 대하여는 계약법 총칙, 계약법 원칙, 관습법 등에 근거하여 계약해석을 해야 하나,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거래에 대하여 구체적 법률에 근거를 두지 않는 법 해석을 폭넓게 허용하는 것은 성문법주의 국가에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의 구체적 내용을 그 발생근거, 내용 및 한계를 중심으로 검토한 다음,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 적용범위를 라이선스계약으로 확대할 필요성과 그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하자담보책임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검토에서는 먼저 민법 제567조와 민법 제627조가 임대인이 지는 법정 하자담보책임의 근거가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민법 제567조가 준용하는 매도인의 담보책임 규정은 임대차의 특성을 고려할 때, 목적물 자체의 하자이든 권리의 하자이든 모두 통일적으로 민법 제580조를 적용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의 내용을 계속적 계약인 임대차의 특성에 기초하여 원시적 하자와 후발적 하자로 나누어 살펴보고, 권리 행사기간과 하자담보책임의 한계에 관하여도 함께 살펴보았다.
      하자담보책임 적용범위의 확대에 관한 검토에서는 먼저 라이선스계약이 무명계약으로 취급되는 결과 계약 문언에 치중하여 계약을 해석하려는 입장으로 인해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 발생 여부에 관한 분쟁이 종종 발생하는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을 라이선스계약에 적용할 필요성을 살펴보고 그 방안을 검토하였다.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을 라이선스계약에 적용하는 방안은 해석론의 관점과 입법론의 관점에서 각각 검토하였다. 해석론의 관점에서는 민법 규정상 임대차 목적물이 물건에 한정되지 않은 점과 라이선스계약과 임대차가 그 성질 면에서 유사한 점에 착안하여, 라이선스계약에 임대차 규정을 직접 적용하는 방안과 유추 적용하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입법론의 관점에서는 상기와 같은 해석론적 접근에도 불구하고, 임대차의 객체를 물건 내지 유체물로 보는 것이 다수의 견해인바...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문기, "채권법각론" 세종출판사 2014

      2 송덕수, "채권법각론" 박영사 2021

      3 강봉석, "채권각론" 법영사 2016

      4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18

      5 김상용, "채권각론" 화산미디어 2021

      6 곽충목, "지식재산권 라이센시의 보호에 관한 연구-라이센서의 도산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4

      7 김용담, "주석민법 채권각칙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8 정광수,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15 : 2002

      9 조규창,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민법 제567조의 분석적 고찰-" 성곡문화재단 22 : 1991

      10 정해상, "온라인게임프로그램의 통합퍼블리싱계약에 관한 법리" 중앙법학회 10 (10): 7-31, 2008

      1 최문기, "채권법각론" 세종출판사 2014

      2 송덕수, "채권법각론" 박영사 2021

      3 강봉석, "채권각론" 법영사 2016

      4 곽윤직, "채권각론" 박영사 2018

      5 김상용, "채권각론" 화산미디어 2021

      6 곽충목, "지식재산권 라이센시의 보호에 관한 연구-라이센서의 도산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2014

      7 김용담, "주석민법 채권각칙3" 한국사법행정학회 2016

      8 정광수,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에 관한 연구"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15 : 2002

      9 조규창, "임대인의 하자담보책임-민법 제567조의 분석적 고찰-" 성곡문화재단 22 : 1991

      10 정해상, "온라인게임프로그램의 통합퍼블리싱계약에 관한 법리" 중앙법학회 10 (10): 7-31, 2008

      11 김정호, "상법총칙·상행위법" 법문사 2021

      12 장덕조, "상법강의" 법문사 2021

      13 김형배, "민법학강의" 신조사 2016

      14 양형우, "민법의 세계" 정독 2022

      15 지원림, "민법강의" 홍문사 2020

      16 옥치왕,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서 라이선서의 채무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2023

      17 옥치왕, "모바일게임 퍼블리싱계약에 있어 라이선서의 하자담보책임" 법학연구소 64 (64): 89-116, 2023

      18 구병문,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에 관한 소고" 법학연구소 43 (43): 105-149, 2008

      19 박종권,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의 법적 성질과 권리ㆍ의무에 관한 고찰" 법학연구소 14 (14): 189-230, 2009

      20 구병문, "계약에 의한 디지털콘텐츠 보호와 그 문제점에 관한 연구 : 디지털콘텐츠 이용계약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8

      21 김대정, "계약법" 박영사 2020

      22 양창수, "계약법" 박영사 2020

      23 김대정, "계약법" 청목출판사 2019

      24 飯島 步, "日本知的財産協会" 日本知的財産協会 70 (70): 2020

      25 我妻 榮, "我妻·有泉コンメンタール民法 総則·物権·債権" 日本評論社 2007

      26 都筑満雄, "リース契約とライセンス契約にみる貸借の中間理論(2·完)-日仏における民法改正を参照して-" 南山大学法学会 (70) : 2015

      27 伊藤栄寿, "ライセンス契約と民法-民法におけるライセンス契約の位置づけと課題 -" 工業所有権情報·研修館(INPIT) (64) : 2017

      28 Christian von Bar, "Principles, Definitions, and Model Rules of European Private Law"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29 Alexander I. Poltorak, "ESSENTIALS of Licensing Intellectual Property" John Wiley & Sons, Inc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