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Goryeo Celadon in Modern America and Euro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5421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rks the beginning of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and Western Europe. During this period of newfound preoccupation, Western scholars inquired after the true nature of Korean ceramics ...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marks the beginning of an increased interest in Korean ceramics in Modern America and Western Europe. During this period of newfound preoccupation, Western scholars inquired after the true nature of Korean ceramics based on an examination of accurate documents. The Western world’s first reliable text on Korean ceramics was the chapter titled ‘Gao-li Yao(高麗窯)’ included in the Qing dynasty Jingdezhen taolu (Record of Jingdezhen Ceramics), translated in 1865. However, in the absence of actual examples of Goryeo celadon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undamental limit to the scope of study that rendered the text ‘Goryeo Kilns’ an unreliable source of information. In the following period,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acquired, changing the circumstances and allowing opportunity for direct exposure to the subject which altered the tone of discussion surrounding Korean ceramics.
      Post 1890, the substantial presence of Goryeo ceramics in Western society and the discovery of Goryeodogyeong (Illustrated Account of Goryeo, 高麗圖經) generated new perspectives on and a renewed interest in the topic of Korean ceramics. Expert on Chinese ceramics, 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 was the first scholar to make the connection between Goryeo celadon and the concept of ‘bisaek’ as described in Goryeodogyeong according to his publication of 1896.
      The collection and research of Goryeo celadons in America and Europe was most active from 1910 up until the 1920’s. During the first decade of the 1910’s, Goryeo celadon collections were established in various countries and Western scholars began to formally pursue the study of Goryeodogyeong and its connection to Goryeo ceramics. Scholarly interest was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opics of the old Bi-se(secret colour, 越州古秘色), the recent wares of Ru-zhou(汝州新窯器) and the form of the Ding-zhou wares(定器制度)’ as mentioned in sub-chapter 3 ‘Containers’ under chapter 32 of Goryeodogyeong. These comparative studies between the subjects of Chinese ceramics such as Yue・Ru・Ding ware and Goryeo celadon were academically significant in both method of research and subject. Moreover, these academic pursuit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differentiating between the formative or aesthetic qualities of Goryeo celadon and the shape, design, glaze color, firing methods, etc of Chinese celadon. It is further meaningful that Western scholarship on the subject preceded Japanese interes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서구에서 19세기 중후반부터 한국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체를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56년에 번역된 청대 『경덕진도록』에 실린 ‘高麗窯’는 서...

      서구에서 19세기 중후반부터 한국도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면서 정확한 자료에 근거하여 그 실체를 찾는 연구가 시작되었다. 1856년에 번역된 청대 『경덕진도록』에 실린 ‘高麗窯’는 서구에 처음 소개된 한국도자에 대한 제대로 된 정보였지만 고려청자의 不在로 인해 연구에 기본적인 한계가 있었다. 서구에서 고려청자를 접하기 이전 시기에 ‘고려요’의 기록은 믿을 수 없는 자료였지만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된 이후에는 논조가 바뀌는 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1890년대 이후에 『고려도경』의 사료적 가치와 고려청자가 서구 사회에 본격적으로 알려지면서 새로운 話頭가 되었다. 중국도자 전문가였던 스티븐 우튼 부셸(Stephen Wootton Bushell, 1844~1908)은 1896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에서 『고려도경』의 翡色과 고려청자를 처음으로 연결시킨 연구자이다. 서구에서 고려청자의 수집과 연구는 시기적으로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집중되어 있다. 1900년대 이후부터 서구의 여러 나라에서 고려청자 컬렉션이 형성되면서, 서구 연구자들이 『고려도경』의 내용과 고려청자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고려도경』 권 32 기명 3에 언급된 ‘越州古秘色’, ‘汝州新窯器’, ‘定器制度’의 내용이 집중적으로 연구되었다. 중국의 월주요, 여요, 정요 자기 등과 고려청자와의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이나 내용적인 면에서도 학문적으로 깊은 의미를 준다. 또한 이러한 비교사적인 연구 방법은 중국청자의 형태, 문양, 유색, 번조법 등과 차별화되는 고려청자만의 조형적 특징을 찾는데 일조했다. 이러한 연구는 일본 연구자들보다 앞 선 시기에 이루어진 성과였기에 더욱 의미가 깊다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엽, "한국 근대의 골동시장과 京城美術俱樂部" 동양고전학회 19 : 2003

      2 "프리어갤러리 아카이브실 1907년 6월 6일, 5월 30일 편지 내용 조사"

      3 김윤정, "근대 유럽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배경"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6) : 29-59, 2018

      4 김윤정, "근대 미국의 고려청자 Collection 형성과 연구 성과의 의미" 석당학술원 (66) : 1-44, 2016

      5 이희관, "고려청자와 여요자기 사이의 간극- 고려청자로 인식된 두 점의 여요풍 자기에 대한 검토" 석당학술원 (74) : 55-85, 2019

      6 "高麗圖經"

      7 中尾万三, "滿蒙 第6年第59冊" 滿蒙文化協會 1925

      8 G.S.T.M.ゴムパヅ, "歐美にある高麗陶磁" 河出書房 13 : 1955

      9 "景德鎭陶錄"

      10 Art Institute of Chicago, "“Future Exhibitions”, Bulletin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1907-1951), Vol.14, No.2"

      1 김상엽, "한국 근대의 골동시장과 京城美術俱樂部" 동양고전학회 19 : 2003

      2 "프리어갤러리 아카이브실 1907년 6월 6일, 5월 30일 편지 내용 조사"

      3 김윤정, "근대 유럽에서 한국도자에 대한 인식 변화와 그 배경"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6) : 29-59, 2018

      4 김윤정, "근대 미국의 고려청자 Collection 형성과 연구 성과의 의미" 석당학술원 (66) : 1-44, 2016

      5 이희관, "고려청자와 여요자기 사이의 간극- 고려청자로 인식된 두 점의 여요풍 자기에 대한 검토" 석당학술원 (74) : 55-85, 2019

      6 "高麗圖經"

      7 中尾万三, "滿蒙 第6年第59冊" 滿蒙文化協會 1925

      8 G.S.T.M.ゴムパヅ, "歐美にある高麗陶磁" 河出書房 13 : 1955

      9 "景德鎭陶錄"

      10 Art Institute of Chicago, "“Future Exhibitions”, Bulletin of the Art Institute of Chicago(1907-1951), Vol.14, No.2"

      11 Adolph Fischer, "Über Koreanische Kunst" 1 : 1911

      12 "https://www.britishmuseum.org/research/collection_online/search.aspx"

      13 "collections"

      14 "V&A Registry, Nominal file(MA/2/p7/5), ‘Purchase by Officers on Visits Abroad’ part 5 (1902~1954)/ Ceramics Department/Aug 22nd 1912"

      15 "V&A Registry, Nominal file(MA/1/T109), ‘TAPP W. M. LLD F.S.A’/ GIFT Department of Ceramics/Jan. 21 1919"

      16 "V&A Registry, HEWLETT AS(MA/1/H1842), PURCHASE/Department of Ceramics/6th april 1920"

      17 "V&A Registry, HEWLETT AS(MA/1/H1842), PURCHASE/Department of Ceramics/30 april 1926"

      18 "V&A Registry, AUDLEY JOHN S.T.(MA/1/A1107), Ceramics Department/30th October 1909"

      19 Jane Portal, "The Origins of the British Museum’s Korean Collection" 70 : 1995

      20 R. L Hobson, "The George Eumorfopoulos Collection Catalogue of the Chinese, Corean and Persian Pottery and Porcelain, Vol.Ⅵ" Ernest Benn 1928

      21 S. C. Bosch Reitz, "The Catalogue of Exhibition of Early Chinese Pottery and Sculpture"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1916

      22 "The Art Amateur Vol.21, No.4"

      23 A. I. Ludlow, "TRANSACTIONS OF THE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 Volume XIV" Royal Asiatic Society Korea Branch 1923

      24 S.C.B.R, "Recent Accessions" 11 (11): 1916

      25 Frederic Bodet, "ROMAN D’UN VOYAGEUR-Victor Collin De Plancy L’histoire des Collections Coreennes en France" Nouvelles Editions Loubatieres 2015

      26 William Cowper Prime, "POTTERY AND PORCELAIN OF ALL TIMES AND NATIONS" HARPER&BROTHERS 1878

      27 Stephen W. Bushell, "Oriental Ceramic Art" Crown Publishers, Inc 1896

      28 Anatole A. Billequin, "Note sur la porcelaine de Corée" 7 (7): 1896

      29 Albert Jacquemart, "NOTES SUR LA CÉRAMIQUE CHINOISE" Gazette des Beaux-Arts 1877

      30 "MFA Registry, M.F.A. Korean Pottery"

      31 John Platt, "Korean Pottery" 36 (36): 1920

      32 Lorraine D'O Warner, "Korean Grave Pottery of the Korai Dynasty" 6 (6): 1919

      33 S. T. Simith, "Korean Arts and Crafts Ⅱ" 1 (1): 1917

      34 S. T. Simith, "Korean Arts and Crafts" 1 (1): 1917

      35 Petra Rosch, "Korea Rediscovered!-Treasures from German Museums" Korea Foundation 2011

      36 Stanislas Julien, "Histoire de la fabrication de la Porcelaine chinoise" Imprimeur-Libraire 1856

      37 Mrs. Langdon Warner, "Grave Pottery of the Korai Dynasty" 16 (16): 1918

      38 Lorraine O. Warner, "Eastern Art Vol.Ⅱ" College Art Association 1930

      39 Charlotte Horlyck, "Desirable commodities –unearthing and collecting Koryŏ celadon ceramics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76 (76): 2013

      40 Frank Brinkley, "Description of “the Brinkly Collection” of Antique Japanese, Chinese And Korean Porcelain" Pottery And aience 1885

      41 Mrs Aubrey le Blond, "Day in, Day out" J. Lane 1928

      42 W. B. Honey, "Corean Wares of the Koryo Period" 22 : 1947

      43 Liz Wilkinson, "Collecting Korean Art at the Victoria and Albert Museum 1888~1938" 15 (15): 2003

      44 Hobson, Morse, "Chinese, Corean and Japanese Potteries. descriptive catalogue of Loan Exhibition of Selected example" Japan Society 1914

      45 R. L. Hobson, "Chinese Pottery and Porcelain" Funk and Wagnalls 1915

      46 Franks A. W, "Catalogue of a Collection of Oriental porcelain and Pottery" George E. Eyre and William Spottiswoode 1878

      47 Stephen W. Bushell, "CHINESE PORCELAIN" OXFORD AT THE CLARENDON PRESS 1908

      48 Horace N. Allen, "CETIFIED CATALOGUE OF A COLLECTION OF ANCIENT KOREAN POTTERY" The Seoul Press 1901

      49 Bernard Rackham, "CATALOGUE OF THE LE BLOND COLLECTION OF COREAN POTTERY" Victoria and Albert Museum 1918

      50 John Platt, "Ancient Korean Tomb Wares" 20 (20): 1912

      51 "America Art News"

      52 Percival David, "A Commentary on Ju Ware" 14 : 193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