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논문 :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으로의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 활용 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Use of the Outdoor Place of a Residence Complex as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081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도시화로 인한 개인주의화로 점차 공동체 의식이 감소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의 지속적 활용 ...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현재 도시화로 인한 개인주의화로 점차 공동체 의식이 감소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배경에서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을 중심으로 공간의 지속적 활용 및 지역 커뮤니티 증대를 위한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의 방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는 집합주거단지에서의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에 대한 개념을 고찰하고, 우리나라 외부 공간의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지역 관찰조사 및 주민 인터뷰를 통해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는 순으로 진행되었다.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바탕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주민중심적 커뮤니티 공간의 방향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의 제공 방식이 아닌 주민의 요구와 필요에 따른 공간을 형성해야 한다. 둘째, 우리나라 집합주거 단지 외부 공간의 특성에 맞는 커뮤니티 공간 형성이 필요하다. 셋째, 커뮤니티 공간의 지속적 활용 및 활성화를 위해 주체, 목적, 방법론에서의 주민중심적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방향성은 향후 집합주거단지 외부 공간의 지속적 활용 증대 및 지역 문화를 담는 주민중심형 커뮤니티 공간 형성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mmunity spirit in Korea has been decreased by individualism due to urbaniz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 for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for continuous use of the space...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mmunity spirit in Korea has been decreased by individualism due to urbanization. In this background, this thesis aims at investigating the direction for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for continuous use of the space and the expansion of local communities by focusing on the outdoor space of a residence complex. (Method) The study examined the concept of a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in a residence complex and analyz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through local survey and interviews based on status and problems of outdoor spaces in Korea. (Result) The direction for the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to be suggested based on the conclusion deducted from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pace has to be formed depending on its residents` demand and needs rather than is offered by the government. Second, the community space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outdoor space of Korean residence complexes should be formed. Third, for continuous use and vitalization of the community space, the main subjects, goals and methods need to be changed into those centered on its residents. This direction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expanded continuous use of the outdoor place of a residence complex and the formation of resident-centered community space reflecting the local culture in the futu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