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 조계종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조계종단은 한국불교 1700년의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한다. 그렇다면 이런 조계종단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03147
김광식 (동국대학교)
2013
Korean
조계종 ; 종정 ; 총무원장 ; 종헌 ; 분규 ; 종단대표 ; 문중 ; Jogye order ; Chief Priest ; executive chief ; charter of order ; sectional conflict ; representative of religious body
KCI등재
학술저널
125-176(52쪽)
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한불교 조계종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조계종단은 한국불교 1700년의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한다. 그렇다면 이런 조계종단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
대한불교 조계종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종단이다. 조계종단은 한국불교 1700년의 불교의 역사와 문화를 대변한다. 그렇다면 이런 조계종단의 정체성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된다. 그는 종단의 이념, 사상에서도 찾을 수 있지만, 종헌에서 규정한 조직에서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찰은 이와 같은 의문에서 시작하였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그에 대한 단서를 종정제도에서 찾고자 하였다. 필자는 이런 학문적 궁금증을 근현대 공간에서 전개된 종정의 역사의 개요를 정리하고, 그에 나타난 성격 및 문제점을 정리하고자 하였다. 그 개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종정의 역사에는 근‧현대 불교의 흐름, 종파불교, 종단대표권 및 조직관리성, 청정한 수행자의 선출, 종단 분규 등이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종정제도의 문제점으로 성찰할 주제는 종정의 정체성, 역할 및 성격, 종권갈등의 연계 등이다. 그 밖의 문제는 종단 실무대표권자인 총무원장과의 권한 분배, 문중 이익과의 조화 문제 등이라 하겠다. 지금껏 종정제도에 대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학문적 분석이 미약하였다. 본 고찰이 그에 대한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orean Buddhist Jogye Order is the Buddhist religious body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Jogye Order is symbolizing the 1700 years’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Buddhism. It is natural to question the origin of identity of this Jogye order. The ide...
Korean Buddhist Jogye Order is the Buddhist religious body representing Korean Buddhism. Jogye Order is symbolizing the 1700 years’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Buddhism. It is natural to question the origin of identity of this Jogye order. The identity can be found in philosophy or idea of the religious body, and also in organization defined by the charter of religious body. This study is basically started from such curiosity. This paper tried to find clues from the Chief Priest system of religious body. To respond this academic curiosity, this paper made the overview of history of Chief Priest system in modern and present space, and pointed out issues and characters found in such study. The overview is as follows ; Historical flow in modern and present Buddhism, sectional Buddhism, representative right of religious body, organization management, pure disciplinant election and conflicts among sects are reflected in the history of Chief priest. The main theme of Chief priest system study is the identity, role, character, its relation with sectional conflicts and etc. Other issues are the authority distribution with the executive chief, who is practical representative in working-level, balance of interests among religious group and etc. Irrespective of the importance of Chief priest system, its academic analysis has been overlooked. Hopefully this paper can be the corner stone of academic analysis on chief priest syste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광식, 조계종출판사 2006
2 덕 산, 혜민기획 2005
3 김광식, 불교시대사 2006
4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5 종단사 간행위원회, "태고종단사" 2007
6 이학종, "총무원장은 이런 인물이어야 한다" 39 : 2009
7 임혜봉, "종정열전 1, 2" 문화문고 2010
8 김광식, "조선불교 선교양종 승려대회의 개최와 성격, In 한국근대사연구" 민족사 1996
9 조기룡, "조계종의 종무권한 이동에 관한 연구" 4 : 2001
10 법 진, "조계종의 이념, 그 문제점과 대책" 2012
1 김광식, 조계종출판사 2006
2 덕 산, 혜민기획 2005
3 김광식, 불교시대사 2006
4 김광식, "한국 현대선의 지성사 탐구" 도피안사 2010
5 종단사 간행위원회, "태고종단사" 2007
6 이학종, "총무원장은 이런 인물이어야 한다" 39 : 2009
7 임혜봉, "종정열전 1, 2" 문화문고 2010
8 김광식, "조선불교 선교양종 승려대회의 개최와 성격, In 한국근대사연구" 민족사 1996
9 조기룡, "조계종의 종무권한 이동에 관한 연구" 4 : 2001
10 법 진, "조계종의 이념, 그 문제점과 대책" 2012
11 조계종 교육원, "조계종단사 - 근현대편" 조계종출판사 2001
12 김광식, "조계종단과 방한암" 1 : 2006
13 "조계종단 종회 회의록"
14 심익섭, "조계종단 운영구조와 종헌" 5 : 2004
15 "조계종단 법령집"
16 김상영, "정화운동시대의 종조 갈등문제와 그 역사적 의의, In 불교정화운동재조명" 조계종출판사 2008
17 김광식, "이성철의 불교개혁론, In 한국 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18 김광식, "불교와 국가" 국학자료원 2013
19 "불교신문"
20 김광식, "민주화 운동기(1980∼1994)의 불교와 국가권력" 대각사상연구원 (17) : 169-207, 2012
21 김광식, "도의국사의 종조론 시말, In 도의국사 연구" 인북스 2010
22 김광식, "대한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역사적 의의, In 한국현대불교사 연구" 불교시대사 2006
23 김광식, "대한불교조계종의 성립과 성격 ; 1941~1962년의 조계종" 한국선학회 (34) : 198-239, 2013
24 김광식, "근대불교와 중흥사, In 새불교운동의 전개" 도피안사 2002
25 신규탁, "국법에 의한 불교 교단 규제 연구" 4 : 2011
26 이경순, "尹月下(1915~2003)의 종단정화운동과 개혁활동" 대각사상연구원 (15) : 109-142, 2011
27 덕 산, "94년 종단사태와 칠보사 원로회의, 94년 종단사태의 회고와 전망" 2008
28 김광식, "8.15해방과 불교계의 동향, In 한국 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 1998
29 김광식, "10.27법난의 역사적 교훈과 사회적 과제" 한국정토학회 (14) : 217-245, 2010
율장의 근본이념에 입각한 조계종 청규제정의 방향 - 제계십리(制戒十利)를 중심으로 -
붓다의 화합정신 강조와 그 현대적 의의 - 율 제정의 의미와 정신을 중심으로 -
한국사회의 양극화 해소를 위한 불교교단의 역할 - 대한불교조계종의 불교사회복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4 | 0.44 | 0.4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3 | 0.48 | 1.03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