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의 기질과 영아-교사 관계에서 부모-교사 협력의 조절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729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의 기질적 특성인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가 영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교사 협력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어린이집 16곳의 교...

      본 연구는 영아의 기질적 특성인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가 영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교사 협력이 조절하는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어린이집 16곳의 교사 41명을 대상으로 그들이 담임을 맡고 있는 영아 123명(남아 67명, 여아 56명)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와 t-test를 실시하였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영아의 기질 중 의도적 통제와 영아-교사 친밀관계에 있어서 성차가 뚜렷이 나타났다. 둘째, 영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의도적 통제, 부모-교사 협력은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특히 부모-교사 협력은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영아-교사 친밀관계에는 영아의 기질인 의도적 통제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발달에 있어서 취약한 기질적 특성이라 할 수 있는 부정적 정서성이 영아-교사 갈등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부모-교사 협력이 보호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보육현장에서 부모의 참여가 영아의 생활과 발달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negative affect and effortful control on toddler-teacher relationship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 total of 41 t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mpera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negative affect and effortful control on toddler-teacher relationship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teacher cooperation. A total of 41 teachers of 123 infants (67 boys, 56 girls) were recruited from 16 day care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Descriptive statistics and t-test and hierarchial regression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effortful control of toddlers’ temperament and toddlerteacher intimacy. Second, toddlers’ negative affect, toddlers’ effortful control, and parent-teacher cooperati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toddler-teacher conflict, and especially parent-teacher cooperation appeared to moderate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on toddler-teacher conflict. On the other hand, toddler - teacher intimacy is shown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only by infant temperament, effortful control. This implies that parent-teacher cooperation can be a protective factor for the influence of negative affect, a potential vulnerable temperament characteristic, on toddler-teacher conflict relations. It suggests parent involvement influences toddler’s daily life and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미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부부갈등,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59-179, 2014

      2 문영경, "유아의 의도적 통제,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7-386, 2014

      3 박수윤,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배지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47-176, 2008

      5 최미숙,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15-332, 2016

      6 이지훈, "유아교사와 부모의 동반자적 협력관계와 의사소통"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방유선,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참여”의 의미: 교육공동체의 관점에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17-147, 2016

      8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9 윤수정, "영유아의 자기통제와 공격성 간의 교사-영유아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45-161, 2012

      10 박정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생애학회 7 (7): 17-35, 2017

      1 임미지, "유아의 의도적 통제, 부부갈등, 부모역할지능과 유아의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행동" 한국인간발달학회 21 (21): 159-179, 2014

      2 문영경, "유아의 의도적 통제, 교사가 지각한 교사-유아관계, 유아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367-386, 2014

      3 박수윤, "유아의 기질 및 자아개념과 교사-유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배지희, "유아교육 현장에서의 부모참여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47-176, 2008

      5 최미숙,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가 역할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력 및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315-332, 2016

      6 이지훈, "유아교사와 부모의 동반자적 협력관계와 의사소통"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7 방유선,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부모참여”의 의미: 교육공동체의 관점에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117-147, 2016

      8 임우영, "유아교사-부모 협력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3-350, 2011

      9 윤수정, "영유아의 자기통제와 공격성 간의 교사-영유아관계의 매개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145-161, 2012

      10 박정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한국생애학회 7 (7): 17-35, 2017

      11 이승연, "영아의 다양한 ‘관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725-749, 2018

      12 문정연, "영아의 기질 및 교사의 정서표현성이 영아-교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3 유주연, "영아교사의 마음 읽어내기와 영아 - 교사 간정서적 가용성의 양상 및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95-324, 2016

      14 유주연, "영아교사의 교육신념과 영아-교사관계" 한국교원교육학회 34 (34): 51-74, 2017

      15 윤아람, "영아 기질과 교사가 지각한 영아-교사 관계가 영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6 손인숙, "부모와 교사간의 연계교육 및 유아-교사간의 상호작용의 질에 따른 유아의 적응에 대한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9) : 111-128, 2004

      17 최해주,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 원장의 변혁적 지도성, 그리고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간의 관계구조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0 (20): 69-88, 2013

      18 권연희, "남녀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행동 문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매개 효과" 한국생활과학회 20 (20): 595-609, 2011

      19 권연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9-48, 2012

      20 천향숙, "교사와 유아가 지각하는 교사-유아 관계 및 관련변인 분석" 한국아동학회 32 (32): 167-183, 2011

      21 양소영, "교사-영아 상호작용과 어머니-영아 상호작용의 질이 영아-교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2 Silver, R. B., "Trajectories of classroom externalizing behavior : Contributions of child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 teacher-child relationship during the school transition" 43 (43): 39-60, 2005

      23 Swartz, M. I., "The role of parent, provider, and child characteristics in parent-provider relationships in infant and toddler classrooms" 25 (25): 573-598, 2014

      24 Degotardi, S., "The relationship worlds of infants and toddlers: Multiple perspectives from early years theory and practice" McGraw-Hill Education 2014

      25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gle di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1182, 1986

      26 Bronfenbrenner, U.,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7 Howes, C., "The consistency of perceived teacher-child relationships between preschool and kindergarten" 38 (38): 113-132, 2000

      28 Caspi, A., "Temperamental qualities at age three predict personality traits in young adulthood : Longitudinal evidence from a birth cohort" 66 (66): 486-498, 1995

      29 Rudasill, K. M.,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24 (24): 107-120, 2009

      30 Rimm-Kaufman, S. E., "Teacher-rated family involvement and children's social and academic outcomes in kindergarten" 14 (14): 179-198, 2003

      31 Pianta, R. C.,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Professional manua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001

      32 Howes, C., "Social‐emotional classroom climate in child car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cond grade peer relations" 9 (9): 191-204, 2000

      33 Lee, S. Y., "Primary caregiving as a framework for preparing early childhood preservice students to understand and work with infants" 27 (27): 336-351, 2016

      34 Coplan, R. J., "Parenting daily hassles, child temperament, and social adjustment in preschool" 18 (18): 376-395, 2003

      35 Lau, E. Y., "Parental involvement and children's readiness for school in China" 53 (53): 95-113, 2011

      36 Sheridan, S. M., "Parent engagement and school readiness : Effects of the Getting Ready intervention on preschool children's social-emotional competencies" 21 (21): 125-156, 2010

      37 Neal, J. W., "Nested or networked? Future directions for ecological systems theory" 22 (22): 722-737, 2013

      38 Putnam, S. P., "Measurement of fine-grained aspects of toddler temperament : The Early Childhood Behavior Questionnaire" 29 (29): 386-401, 2006

      39 Howes, C.,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65 (65): 264-273, 1994

      40 Elicker, J., "Lived spaces of infant-toddler education and care" Springer 131-145, 2014

      41 Roggman, L. A., "Keeping kids on track : Impacts of a parenting-focused Early Head Start program on attachment security and cognitive development" 20 (20): 920-941, 2009

      42 Crosnoe, R., "Intergenerational bonding in school : The behavioral and contextual correlates of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77 (77): 60-81, 2004

      43 Trivette, C. M., "Influences of family-systems intervention practices on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child development" 30 (30): 3-19, 2010

      44 Wittmer, D. S., "Infant and toddler development and responsive program planning: A relationship-based approach" Pearson 2011

      45 Sutherland, K. S., "Implications of transactional processes in classrooms for students with emotional/behavioral disorders" 48 (48): 32-37, 2003

      46 Perlman, M., "Hellos and how are you : Predictors and correlates of communication between staff and families during morning drop-off in child care centers" 23 (23): 539-557, 2012

      47 Pianta, R. C.,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Educational Psychology" John Wiley & Sons Inc 199-234, 2003

      48 Kostelnik, M., "Guiding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and learning" Cengage Learning 2011

      49 Serpell, Z. N., "Family–school connectedness and children's early social development" 21 (21): 21-46, 2012

      50 Dunst, C. J., "Family-centered practices : Birth through high school" 36 (36): 141-149, 2002

      51 Kim, K., "Family and provider/teacher relationship quality measures: User’s manual" Office of Planning, Research and Evaluation Administration for Children and Families,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4

      52 Kochanska, G., "Effortful control as a personality characteristic of young children : correlates, and consequences" 71 (71): 1087-1112, 2003

      53 Hamre, B. K., "Early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the trajectory of children's school outcomes through eighth grade" 72 (72): 625-638, 2001

      54 Elicker, J., "Early Head Start relationships : Association with program outcomes" 24 (24): 491-516, 2013

      55 Fox, E., "Differential sensitivity to the environment : Contribution of cognitive biases and genes to psychological wellbeing" 21 (21): 1657-, 2016

      56 Myers, S. S., "Developmental commentary : Individual and contextual influences on student-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early problem behaviors" 37 (37): 600-608, 2008

      57 Liew, J., "Child effortful control,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and achievement in academically at-risk children : Additive and interactive effects" 25 (25): 51-64, 2010

      58 Owen, M. T., "Caregiver-mother partnership behavior and the quality of caregiver-child and mother-child interactions" 15 (15): 413-428, 2000

      59 McMullen, M. B., "Babies(and their families)on board! Directors juggle the key elements of infant/toddler care and education" 67 (67): 42-, 2012

      60 McGrath, W. H., "Ambivalent partners : Power, trust, and partnership in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in a full-time child care center" 109 (109): 1401-1422, 2007

      61 Howes, C., "A matter of trust: Connecting teachers and learners in the early childhood classroom" Teachers College Press 2002

      62 보건복지부, "2017년 보육통계"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