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459-, 1996
2 이정옥, "페미니즘과 모성 : 거부와 찬양의 변증법. in: 모성의 담론과 현실 :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나남출판 55-61, 2000
3 이상진, "토지에 나타난 가족문제와 모성성" 3 : 2000
4 박정애,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와 ‘딸의 성장’ 연구. in: 여성문학의 타협과 저항" 강원대학교출판부 2008
5 Nina Auerbach, "여가장제 위의 오스틴과 올커트. in: 페미니즘과 文學" 문예출판사 263-281, 1995
6 Shari L. Thurer, "어머니의 신화" 까치 399-400, 1995
7 김영주, "어머니. in: 수정의 메아리" 솔출판사 178-, 1994
8 박경리, "시장과 전장" 현암사 118-, 1964
9 박경리, "소유의 관계로 본 恨의 원류" 103-105, 1981
10 G. Deleuze, "사드와 마조흐는 상호 보완관계인가?. in: 매저키즘" 인간사랑 46-47, 1996
1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459-, 1996
2 이정옥, "페미니즘과 모성 : 거부와 찬양의 변증법. in: 모성의 담론과 현실 : 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나남출판 55-61, 2000
3 이상진, "토지에 나타난 가족문제와 모성성" 3 : 2000
4 박정애,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와 ‘딸의 성장’ 연구. in: 여성문학의 타협과 저항" 강원대학교출판부 2008
5 Nina Auerbach, "여가장제 위의 오스틴과 올커트. in: 페미니즘과 文學" 문예출판사 263-281, 1995
6 Shari L. Thurer, "어머니의 신화" 까치 399-400, 1995
7 김영주, "어머니. in: 수정의 메아리" 솔출판사 178-, 1994
8 박경리, "시장과 전장" 현암사 118-, 1964
9 박경리, "소유의 관계로 본 恨의 원류" 103-105, 1981
10 G. Deleuze, "사드와 마조흐는 상호 보완관계인가?. in: 매저키즘" 인간사랑 46-47, 1996
11 김은경, "박경리 문학 연구 : ‘가치’의 문제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2008
12 Sara Ruddick, "모성적 사유" 철학과현실사 74-81, 2002
13 Elisabeth Badinter, "만들어진 모성" 동녘 2009
14 박경리, "두 여인상. in: Q씨에게" 지식산업사 28-, 1981
15 이금란, "가족 서사로 본 박경리 소설 연구― 초기 단편을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19 : 313-334, 2003
16 Gerda Lerner, "가부장제의 창조" 당대 56-, 2004
17 우에노 치즈코,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녹두 63-, 1994
18 Sylvia Walby, "가부장제 이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65-, 1998
19 T. Bowers, "The Politics of Motherhood" Cambridge Univ. Press 1-33, 1996
20 신경아, "1990년대 모성의 변화 : 희생의 화신에서 욕구를 가진 인간으로. in: 모성의 담론과 현실-어머니의 성·삶·정체성" 나남출판 391-393, 2000
21 정호웅, "'토지'론. in: 恨과 삶 : '토지' 비평 1" 솔 258-259,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