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146567
2004
Korean
fruit stalk ; storage ; shelf life ; growth regulator ; 과경 ; 저장 ; 저장생리 ; 생장조절제
KCI등재
학술저널
185-193(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
배의 과경부에 지베렐린을 처리하면 과실비대에 효과는 있으나 저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시험은 지베렐린 처리가 저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아민의 처리부위와 처리농도에 따른 과실의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품종은 ‘황금배’, ‘영산배’, ‘추황배’로 하여 지베렐린을 만개 30일 후에 처리하고 폴리아민을 수확 7일 전에 과총 엽과 수관에 100, 200, 500ppm으로 엽면살포 하였다.
지베렐린 처리에 의하여 과중은 모든 품종에서 10% 정도 커졌고 경도는 0.3~0.4 ㎏/Φ5 ㎜만큼 낮아졌으나 당도와 식미는 차이가 없었다. 과경부의 형태적 특성은 지베렐린 처리가 무처리에 비하여 수(髓, pith)부분에서 내피세포까지의 거리와 내피에서 표피세포까지의 거리가 평균 42.0% 신장되어 양ㆍ수분의 이동이 활발해지고 그에 따른 공급량이 많아져 과실의 무게가 비대해 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저장 30일 후 과실의 특성을 보면 ‘황금배’는 과총엽 살포의 스퍼미딘 200 ppm이, 수관살포는 스퍼미딘 500 ppm에서 과육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어 식미가 양호하였다. ‘영산배’와 ‘추황배’도 비슷한 경향으로 주당 살포량이 적은 과총엽 200 ppm 살포처리가 저장성 증진에 효과적이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ibberellin (GA) treatment on fruit stalk was effective in fruit growth but reduced the shelf life of fru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helf life of GA treated fruit. Fruit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part ...
Gibberellin (GA) treatment on fruit stalk was effective in fruit growth but reduced the shelf life of frui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mprove the shelf life of GA treated fruit. Fruit characteristic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part and concentration of polyamine in ‘Whangkeumbae’, ‘Yeongsanbae’, and ‘Chuwhangbae’. GA was treated on fruit stalk at 30 days after flowering and 100, 200, and 300 ppm of polyamine were sprayed on leaves of fruit cluster and canopy at 7 day before harvest. In GA treated fruit, fruit weight was heavier as 10% and fruit hardness was lower as 0.3~0.5 ㎏ than control in all cultivar, but sugar content and palatability were no difference in each treatment. I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distance from pith to epidermis of GA treated fruit was faraway as 42.0%. Fruit hardness and palatability of ‘Whangkeumbae’ was good in the leaves spray on the fruit stalk with 200 ppm and the leaves spray on the canopy with 500 ppm at 30 day after harvest. ‘Yeongsanbae’ and ‘Chuwhangbae’ showed the same to the result. So we knew that the effective treatment to improve the storagibility after GA treatment on fruit stalk was the fruit stalk leaves spray with 200 ppm because it needed small amount of polyamine.
채소류의 잔유물과 추출물이 오이와 토마토의 발아 및 초기생장에 미치는 영향
광합성효율 모델을 이용한 밀폐형 식물 생산시스템의 재배환경 최적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