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과학 교과서의 개정이 있었지만 수차례의 개정에도 항상 강조되어 오는 것이 바로 탐구에 의한 과학적 지식의 습득이다. 탐구의 한 가지 방법인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3712009
인천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학위논문(석사) --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 교육학과 , 2015. 2
2015
한국어
570.712 판사항(21)
인천
Vee Diagram Based on the Analysis of Biological Experiments in the 2nd-Year Middle School Science Textbooks Following the Revised 2009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a Chapter ?Stimulus and Reaction'-
v, 74 p. ; 26cm
지도교수:배성호
인하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참고문헌 : p.70-7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과학 교과서의 개정이 있었지만 수차례의 개정에도 항상 강조되어 오는 것이 바로 탐구에 의한 과학적 지식의 습득이다. 탐구의 한 가지 방법인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수차례의 과학 교과서의 개정이 있었지만 수차례의 개정에도 항상 강조되어 오는 것이 바로 탐구에 의한 과학적 지식의 습득이다. 탐구의 한 가지 방법인 실험 학습은 학생들이 스스로 발견하고 스스로 생각하고 결론을 내리는 과정을 접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Vee-Diagram을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중학교 2학년 검인정 과학교과서 6종의 실험을 분석하여 수록된 실험이 탐구 과정에 필요한 요소들을 갖추고 있는지, 실험 수행에 의해 형성되어야 할 지식과 가치를 얻도록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6종의 교과서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에 수록되어 있는 30개의 실험을 분석하였고 같거나 비슷한 주제의 실험의 경우 각 교과서별로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6종 교과서의 30가지 실험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극과 반응 단원에 수록되어 있는 실험의 주제는 눈, 귀, 코와 혀, 피부, 자극의 전달경로 그리고 호르몬의 6가지 주제로 되어 있는데 귀와 관련된 실험과 호르몬과 관련된 실험은 1~2종의 교과서에만 수록되어 있어 좀 더 다양한 실험이 필요하다.
2) 일부 교과서에서는 실험을 위해 필요한 선행지식이 충분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실험을 통해 얻은 지식과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지기 어렵다. 따라서 학습자가 새로운 개념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3) 실험의 제목이나 초점질문을 통해 실험의 결과를 미리 아는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도록 하는 실험도 있었는데 탐구가 목적인 실험에서는 적절하지 않은 방법이다.
4) 자료 변형을 제시한 실험의 경우는 대부분 표 작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그림, 그래프 등 더 다양한 자료 변형을 요구하여 여러 가지 자료 변환의 능력을 길러줄 필요가 있다.
5) 많은 실험에서 실험을 통한 가치 주장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데 과학, 기술, 사회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에 부합하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Vee-Diagram을 이용해 기존 실험에서 제시되지 않은 지식주장, 가치주장 등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교과서 실험의 탐구적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