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 of Cusomized Cosmetics Consumer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875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9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 향장학과 , 2019. 8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60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성관

      • UCI식별코드

        I804:11004-200000213141

      • 소장기관
        •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Consumer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Yoo, Seo Yeon
      Departmen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Cosmetics companies located in the front-end of the supply chain have evolved from the ready-made consumer goods market and entered into a customized market. Before full-scale legislation is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from customized cosmetics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to eliminate the conflicting factors that may arise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in understanding customized cosmetics, and to provide strategic basic data for actively fostering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A survey was conducted for 332 people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a total of 30 questions, with 8 questions on consumption value, 19 questions on benefit sought, and 3 questions on purchasing behavior. 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technical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hypothesis. The practical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and scarcity-chasing among benefits sought, while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brand functionality among benefits sought, while indicating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scarcity-chasing. The desired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rend-chasing, while it did have a positive purchasing behavioral effect on brand popularity,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functionality improvement, and scarcity-chasing. Because customized cosmetics target infinite number of consumers in terms of preferences, it is important to restrict the options of personalized products and the products should be offered at the high standards of consumers. Otherwise, customized products would fail to meet the expectations by the majority of consumers, and thus, the consumers would return to the standardized product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has provided sufficient basic data for predicting and establish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atterns of general consumers by cosmetics companies, government and academic institutions before legislation.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omparative study on value perception between past consumers and future consumers regarding the change in purchase satisfaction after the legislation. We expect that the era of customized cosmetics will become mature and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osmetics industry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번역하기

      ABSTRACT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Consumer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Yoo, Seo Yeon Departmen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Cosmetics companies located in the front-...

      ABSTRACT

      Influence of Value Perception of Customized Cosmetics Consumer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Yoo, Seo Yeon
      Department of Cosmetology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Konkuk University


      Cosmetics companies located in the front-end of the supply chain have evolved from the ready-made consumer goods market and entered into a customized market. Before full-scale legislation is implemen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perceived from customized cosmetics on benefit sought and purchasing behavior, to eliminate the conflicting factors that may arise between companies and consumers in understanding customized cosmetics, and to provide strategic basic data for actively fostering the customized cosmetics market. A survey was conducted for 332 people after a preliminary survey, and the results of this survey were analyzed. The questionnaire contained a total of 30 questions, with 8 questions on consumption value, 19 questions on benefit sought, and 3 questions on purchasing behavior. A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pply technical analysi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verifying hypothesis. The practical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and scarcity-chasing among benefits sought, while showing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The hedonic consumption value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ursuit of brand functionality among benefits sought, while indicating a positive effect on brand popularity, trend-chasing,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and scarcity-chasing. The desired benefits of customized cosmetics did not have a positive effect on trend-chasing, while it did have a positive purchasing behavioral effect on brand popularity, the pursuit of appearance enhancement, functionality improvement, and scarcity-chasing. Because customized cosmetics target infinite number of consumers in terms of preferences, it is important to restrict the options of personalized products and the products should be offered at the high standards of consumers. Otherwise, customized products would fail to meet the expectations by the majority of consumers, and thus, the consumers would return to the standardized product marke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is study has provided sufficient basic data for predicting and establishing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patterns of general consumers by cosmetics companies, government and academic institutions before legislation. This study is also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n opportunity for comparative study on value perception between past consumers and future consumers regarding the change in purchase satisfaction after the legislation. We expect that the era of customized cosmetics will become mature and have a strong influence on the cosmetics industry as well as national competi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의 앞 단계에 위치한 화장품 기업이 규격화된(ready-made) 소비재 시장에서 진화하여 맞춤형화장품(customized) 시장으로 진입함에 있어 본격적인 법제화가 시행되기 이전에 맞춤형화장품에 지각된 소비가치가 추구혜택과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기업과 소비자간 맞춤형화장품을 이해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을 제거하며,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적극적인 육성을 위해 전략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예비조사 이후 33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소비가치에 관한 8문항, 추구혜택에 관한 19문항, 구매행동에 관한 3문항까지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및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맞춤형화장품의 실용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브랜드 유명도와 유행성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모 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쾌락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유행성 추구, 외모 향상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추구혜택 중 유행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외모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와 희소성 추구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은 그 경우의 수가 무진하므로 개인화를 반영한 선택의 폭을 설정하고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기대했던 다수의 소비자들이 실망하여 결국 표준화된 소비재 시장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법제화 이전에 화장품 기업과 정부, 학술기관이 일반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예측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충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과 법제화 이후에는 맞춤형화장품의 구매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과거 소비자와 미래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하도록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맞춤형화장품 시대가 성숙기로 안착하여 화장품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이끄는 든든한 견인차 역할이 될 것임을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의 앞 단계에 위치한 화장품 기업이 규격화된(ready-made) 소비재 시장에서 진화...

      국문초록

      맞춤형화장품 소비자의 가치인식이 추구혜택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공급사슬의 앞 단계에 위치한 화장품 기업이 규격화된(ready-made) 소비재 시장에서 진화하여 맞춤형화장품(customized) 시장으로 진입함에 있어 본격적인 법제화가 시행되기 이전에 맞춤형화장품에 지각된 소비가치가 추구혜택과 구매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기업과 소비자간 맞춤형화장품을 이해하는데 발생할 수 있는 갈등 요인을 제거하며, 맞춤형화장품 시장의 적극적인 육성을 위해 전략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예비조사 이후 332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소비가치에 관한 8문항, 추구혜택에 관한 19문항, 구매행동에 관한 3문항까지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졌으며,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분석 및 주성분 분석, 요인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 가설검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맞춤형화장품의 실용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브랜드 유명도와 유행성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외모 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쾌락적 소비가치가 추구혜택 중 제품성능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유행성 추구, 외모 향상 추구, 희소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의 추구혜택 중 유행성 추구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브랜드 유명도, 외모향상 추구, 제품성능 추구와 희소성 추구는 구매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맞춤형화장품은 그 경우의 수가 무진하므로 개인화를 반영한 선택의 폭을 설정하고 소비자의 눈높이에 맞추어 철저히 준비하지 않으면 기대했던 다수의 소비자들이 실망하여 결국 표준화된 소비재 시장으로 복귀할 수 있음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법제화 이전에 화장품 기업과 정부, 학술기관이 일반 소비자의 심리와 행동을 예측하고, 정립하는데 있어 충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과 법제화 이후에는 맞춤형화장품의 구매 만족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과거 소비자와 미래 소비자의 가치인식에 대한 비교 연구가 가능하도록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향후 맞춤형화장품 시대가 성숙기로 안착하여 화장품 산업과 국가 경쟁력을 이끄는 든든한 견인차 역할이 될 것임을 기대해 본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필요성 1
      • 제2절 연구의 목적 4
      • 제2장 이론적 배경 5
      • 제1절 맟춤형 화장품의 정의 5
      • 1 맟춤형 화장품의 정의 5
      • 2 맟춤형 화장품의 시장현황 8
      • 제2절 맞춤형 화장품의 소비가치 10
      • 1 소비가치의 개념 10
      • 2 소비가치의 선행 연구 11
      • 제3절 맞춤형 화장품의 추구혜택 14
      • 1 추구혜택의 개념 14
      • 2 화장품 추구혜택 15
      • 3 추구혜택 선행연구 16
      • 제4절 맞춤형 화장품의 구매행동 18
      • 1 구매행동 개념 18
      • 2 구매행동 선행연구 18
      • 제3장 연구방법 20
      • 제1절 연구대상 및 연구모형 20
      • 1 연구대상 및 모형 20
      • 제2절 가설설정 21
      • 1 맞춤형 화장품의 지각된 소비가치와 추구혜택과의 관계 21
      • 2 맞춤형 화장품의 추구혜택과 구매행동과의 관계 22
      • 3 연구 도구 및 측정 23
      • 제3절 표본 수집 및 자료 분석 25
      • 1 표본 수집 25
      • 2 자료 분석 25
      • 제4장 연구결과 및 고찰 26
      • 제1절 연구대상자의 특성 26
      • 제2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28
      • 1 맞춤형 화장품의 지각된 소비가치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29
      • 2 맞춤형 화장품의 추구혜택에 대한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31
      • 3 맞춤형 화장품의 구매행동의 타당성 및 신뢰성 검증 33
      • 제3절 연구가설 검증 34
      • 1 각 변수 간 상관관계 검증 34
      • 2 가설검증 36
      • 가 가설 1의 검증 36
      • (1) 가설 1-1의 검증 37
      • (2) 가설 1-2의 검증 39
      • 나 가설 2의 검증 41
      • 제5장 결론 44
      • 참고문헌 47
      • 부 록 53
      • 국문초록 5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