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羅州邑衛生組合, "羅州邑衛生組合規約"
2 마츠모토다케노리 ; 정승진, "호남 지역의 위생·의료문제: 일제 ‘위생규율’의 식민지 지역사회에 대한 침투와 한계" 대한의사학회 27 (27): 357-396, 2018
3 신기욱, "한국의 식민지근대성" 삼인 2006
4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5 정승진, "파시즘적 동원체제가 낳은식민지 조합제도 - 朝鮮 契와 會社 사이에서" 대동문화연구원 (96) : 145-164, 2016
6 윤해동, "지배와 자치" 역사비평사 2006
7 김상은, "일제하 도시청소행정의 전개와 변화: 조선오물소제령(朝鮮汚物掃除令) 제정 전후의 비교" 서울시립대학교 2017
8 김용달, "일제의 농업정책과 조선농회" 혜안 2003
9 김동노, "일제 식민지 시기의 통치체제 형성" 혜안 2006
10 김진규, "일제 식민지 시기 위생조합 제도의 형성 과정: 경찰관변기구화를 중심으로" 66 : 79-139, 2020
1 羅州邑衛生組合, "羅州邑衛生組合規約"
2 마츠모토다케노리 ; 정승진, "호남 지역의 위생·의료문제: 일제 ‘위생규율’의 식민지 지역사회에 대한 침투와 한계" 대한의사학회 27 (27): 357-396, 2018
3 신기욱, "한국의 식민지근대성" 삼인 2006
4 박윤재, "한국 근대의학의 기원" 혜안 2005
5 정승진, "파시즘적 동원체제가 낳은식민지 조합제도 - 朝鮮 契와 會社 사이에서" 대동문화연구원 (96) : 145-164, 2016
6 윤해동, "지배와 자치" 역사비평사 2006
7 김상은, "일제하 도시청소행정의 전개와 변화: 조선오물소제령(朝鮮汚物掃除令) 제정 전후의 비교" 서울시립대학교 2017
8 김용달, "일제의 농업정책과 조선농회" 혜안 2003
9 김동노, "일제 식민지 시기의 통치체제 형성" 혜안 2006
10 김진규, "일제 식민지 시기 위생조합 제도의 형성 과정: 경찰관변기구화를 중심으로" 66 : 79-139, 2020
11 마쓰다 도시히코, "일본의 조선 식민지 지배와 경찰" 경인문화사 2020
12 김민철, "식민지지배의 구조와 성격" 한일관계사연구논집편찬위원회, 경인문화사 2005
13 헨리, 토드 A., "서울, 권력, 도시: 일본 식민지배와 공공 공간의 생활 정치" 산처럼 2020
14 하세봉, "서울, 권력, 도시: 일본 식민지배와 공공 공간의 생활 정치" 산지니 2019
15 조선총독부, "국역 조선총독부 30년사 上, 中, 下" 민속원 2018
16 龜浦衛生組合, "龜浦衛生組合規約"
17 陸軍省, "鮮内鉄道輸送部隊輸送間に於ける兵站業務詳報の件(8)"
18 "高麗時報"
19 笠原英彦, "長与専済の医療改革とアミリか衛生行政" 74 (74): 2001
20 "釜山新聞"
21 朝鮮總督府 警務局, "道 警察部長會議 書類"
22 朝鮮總督府 警務局, "警秘關係綴"
23 朝鮮總督府 警務總監部, "警務彙報"
24 內務省 衛生局, "衞生組合法制定ニ關スル參考資料"
25 白木澤涼子, "衛生組合連合会と市制" 809 : 53-70, 2015
26 白木澤涼子, "衛生組合法案と町内会" 781 : 56-71, 2013
27 全國都市衛生組合聯合會, "衛生組合ニ関スル令規(抄)"
28 尾崎耕司, "衛生組合に関する考察: 神戸市の場合を事例として" 6 : 53-84, 2013
29 "皇民日報"
30 "皇城新聞"
31 "每日新報"
32 "東亞日報"
33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統計年報(1933~1942)"
34 朝鮮總督府, "朝鮮總督府官報"
35 "朝鮮日報"
36 "朝鮮新聞"
37 "朝鮮中央日報"
38 "朝鮮中央新聞"
39 朝鮮總督府, "朝鮮"
40 "時代日報"
41 笠原英彦, "伝染病予防法までの道のり: 医療·衛生行政の変転" 80 : 113-142, 2007
42 "中外日報"
43 김은진, "20세기 초 일제의 서울 지역 오물처리체계 개편과 한국인의 대응" 가톨릭대학교 2017
44 김민철, "1930~40년대 조선총독부의 촌락 지배기구 연구" 역사문제연구소 12 (12): 199-254, 2008
45 김택중, "1918년 독감과 조선총독부 방역정책" 인문학연구원 74 (74): 163-214,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