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국의 조선어 방언 구술발화 조사 및 연구- 평안북도 방언화자를 중심으로- = The Study and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focusing on Pyeonganbuk-do dialect informa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035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

      The study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which is in the crisis of extinction. The study also proposes the Pyeonganbuk-do materials which are typical during all the investigating materials until now, and then discusses the importance of oral utterance investigation materials as well as dialect features of relevant materials.
      The investigation and study of Korean dialect started from 1960s in China and mainly focused on the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with little study of oral utterance relatively. Because of Chinese reform and opening policies in the late 1970s and urbanization process, traditional Korean group residences became hollow rapidly and began to disintegrate. After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 and China diplomatic relations, the dialects, having transmission of for a long time, dissipated due to the inflow of South Korean. So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o collect and record the materials which may cease to exist forever if we do not collect them right away. The oral utterance materials are the contents that native speakers spoke in a natural state so they can be used not only in the study of phonology, syntax and lexicology but also in discourse study.
      The paper firstly discusses selection standard of informant and investigation point for the investigation of Chinese Korean dialect oral utterance materials and searches dialect features. I think it may be beneficial for foundation of dialect study by reviewing the distribution and aspect of investigation generally. Also, the stories of informant's life display the arduous history of Korean nation so they may be an important materials fo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명옥, "金圭哲 敎授 停年紀念 論叢" 역락출판사 393-431, 2006

      2 최명옥, "현대 한국어의 공시형태론-경주 지역어를 실례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김기종, "해방이후 방언어휘에 의한 조선어 동의어 체계의 정밀화와 풍부화" 15-18, 1990

      4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5 이춘영, "함북 명천 방언의 불규칙 활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연구" 태학사 1993

      7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8

      8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한글학회 224 : 95-108, 1994

      9 배정호, "함경도방언 계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9-10, 1990

      10 송철의,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太學社 2008

      1 최명옥, "金圭哲 敎授 停年紀念 論叢" 역락출판사 393-431, 2006

      2 최명옥, "현대 한국어의 공시형태론-경주 지역어를 실례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3 김기종, "해방이후 방언어휘에 의한 조선어 동의어 체계의 정밀화와 풍부화" 15-18, 1990

      4 최명옥, "함북 북부지역어 연구" 태학사 2002

      5 이춘영, "함북 명천 방언의 불규칙 활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6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연구" 태학사 1993

      7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한 연구" 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98

      8 전학석, "함경도방언의 음조에 대하여" 한글학회 224 : 95-108, 1994

      9 배정호, "함경도방언 계칭의 사회언어학적 고찰" 9-10, 1990

      10 송철의,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太學社 2008

      11 김천섭, "한국어 형태론 연구" 太學社 2008

      12 최명옥, "한국어 음운규칙 적용의 한계와 그 대체 기제" 인문학연구원 (53) : 285-311, 2005

      13 이금화,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역락출판사 2007

      14 김홍실, "평북 초산지역어의 종결어미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9

      15 정의향, "평북 철산 지역어의 접미파생법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16 이금화, "초산(집안)지역어 텍스트" 역락출판사 2015

      17 전학석, "중세조선어의 방점과 연길, 개원 지방말의 고저장단 비교" 69-113, 1986

      18 전학석, "중세조선어의 방점과 연길 지방말의 높낮이의 비교" 1-34, 1988

      19 최윤갑, "중국에서의 조선어의 발전과 연구" 연변대학교출판사 177-185, 1992

      20 박진혁, "중국 훈춘 지역 조선어의 복합어 성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21 오성애, "중국 청도의 조선족 언어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1

      22 박경래, "중국 집단 이주 한민족의 지역어 조사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1

      23 박창욱, "중국 조선족의 역사와 민족구역자치의 실시" 2 : 1-16, 1987

      24 중국 조선어 실태조서보고 집필조, "중국 조선어 실태조서보고" 요녕민족출판사 1993

      25 이윤규, "중국 조선어 방언어휘에 대한 고찰" 2 : 16-19, 1991

      26 곽충구, "중국 이주 한민족의 언어와 생활-길림성 회룡봉" 태학사 2008

      27 최명옥, "중국 연변지역어의 한국어 연구" 25 : 17-62, 2000

      28 채옥자, "중국 연변지역어의 움라우트 현상" 26 : 59-74, 2000

      29 정향란, "중국 연변지역 한국어의 파생접미사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4

      30 신홍예, "중국 심양지역의 평안북도 방언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同德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31 전학석, "조선학 연구 논문집"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5-29, 1995

      32 전학석, "조선어 방언학" 연변대학교출판사 1997

      33 정의향, "조선어 방언의 홑모음에 대한 음향음성학적 연구" 연변대학교 2003

      34 황대화, "조선어 방언연구" 요녕민족출판사 1999

      35 선덕오, "조선어 방언 조사보고" 연변인민출판사 1990

      36 황대화, "조선어 동서 방언 비교연구" 김일성종합대학교 2004

      37 이금화, "의주지역어 활용어간의 공시형태론" 국어국문학회 (171) : 109-143, 2015

      38 이금화, "의주(심양)지역어 텍스트" 역락출판사 2014

      39 김완진, "음운과 문자" 신구문화사 1996

      40 이진호, "음운 교체 양상의 변화와 공시론적 기술"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41 한진건, "육진방언연구" 민족출판사 2000

      42 소신애, "연변 혼춘지역 조선어의 진행중인 음변화 연구 : 구개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2

      43 곽충구, "연변 지역의 함북 길주·명천 지역 방언에 대한 조사연구" 20 : 179-274, 1997

      44 정향란, "연변 방언의 곡용과 활용" 인하대학교 2009

      45 김영욱, "역사형태론의 전망과 과제" 한국어학회 4 (4): 49-64, 2002

      46 장성일, "압록강 북부지역어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연변대학교 2004

      47 김천섭, "매하구지구에서 쓰이고 있는 동남방언의 특성" 4 : 19-20, 1991

      48 황대화, "동해안방언연구" 김일성종합대학교출판사 1986

      49 장문철, "단동지구 조선어 방언실태에 대한 초보적인 조사" 20-22, 1993

      50 김경아, "국어의 음운표시와 음운과정" 太學社 (38) : 2000

      51 이병근, "音韻Ⅰ" 태학사 1998

      52 김성규, "非自動的 交替의 共時論" 국어국문학회 5 (5): 57-67, 1988

      53 김 현, "活用의 形態音韻論的 變化" 太學社 (54) : 2003

      54 선덕오, "朝鮮語中北方言的特點" 5 : 70-80, 1996

      55 최명옥, "月城地域語의 音韻論" 嶺南大學校出版部 1982

      56 최명옥, "慶北東海岸方言硏究" 嶺南大學校出版部 1980

      57 송철의, "形態論과 音韻論" 國語學會 28 (28): 287-311, 2000

      58 감영배, "平安方言硏究 資料篇" 太學社 1997

      59 한성우, "平安北道 義州 方言의 音韻論" 月印 2006

      60 김영배, "增補 平安方言硏究" 太學社 1997

      61 이기문, "國語音韻史硏究" 韓國文化硏究所 (13) : 1972

      62 이기문, "國語史槪說" 塔出版社 1972

      63 김춘자, "咸鏡南道 三水地域語의 音韻論" 역락 2008

      64 곽충구, "咸北 六鎭方言의 音韻論" 太學社 (20) : 1994

      65 安华青, "从‘朴氏朝鮮族’的历史看当今朝鮮族的若干問題" 2 : 21-37, 1994

      66 채옥자, "中國 延邊地域 朝鮮語의 音韻硏究" 태학사 2005

      67 안병희, "15세기 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탑출판사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언어정보개발연구원 -> 언어정보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8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