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인자에 관한 추적 조사: 국민건강보험자료 기반 전국단위 코호트 연구 =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currence: A Nationwide Cohort Study Based on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320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 코호트를 기반으로 목 통증 재발의 특성과 그 위험인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20년 1년간 목 통증 (ICD 10 codes: M54.2)으로 입내원한 환자 1,182,230명의 2년 간의 의료기록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는 나이, 성별, 건강보험료 분위,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 최초 발병 시 발병기간, 총 입내원 기간, 발병 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의 유무로 선정하였다. 목 통증의 재발률과 재발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 중 19.5%인 230,259명이 2년 안에 목 통증의 재발을 경험하였으며, 여성이거나 높은 연령에서 더 높은 비율의 재발이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높은 연령(OR=1.58), 여성(OR=1.11), 의료수급권자(OR=1.45), 높은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OR=1.20) 및 긴 최초 발병기간(OR=1.02)은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은 건강보험료 분위(OR=0.95), 최초 발병기간 중 긴 입내원 기간(OR=0.95) 및 약물치료를 받은 경우(OR=0.89)는 목 통증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목 통증 재발의 이해를 돕고,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집중적이며 장기적인 중재를 시행하는데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 코호트를 기반으로 목 통증 재발의 특성과 그 위험인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20년 1년...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보험자료 공유서비스를 이용하여 전국 단위 코호트를 기반으로 목 통증 재발의 특성과 그 위험인자를 파악하는 것이다. 한국 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20년 1년간 목 통증 (ICD 10 codes: M54.2)으로 입내원한 환자 1,182,230명의 2년 간의 의료기록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변수는 나이, 성별, 건강보험료 분위,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 최초 발병 시 발병기간, 총 입내원 기간, 발병 시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의 유무로 선정하였다. 목 통증의 재발률과 재발 위험인자를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자 중 19.5%인 230,259명이 2년 안에 목 통증의 재발을 경험하였으며, 여성이거나 높은 연령에서 더 높은 비율의 재발이 나타났다. 회귀분석의 결과 높은 연령(OR=1.58), 여성(OR=1.11), 의료수급권자(OR=1.45), 높은 지역보건취약지역 점수(OR=1.20) 및 긴 최초 발병기간(OR=1.02)은 목 통증 재발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반면, 높은 건강보험료 분위(OR=0.95), 최초 발병기간 중 긴 입내원 기간(OR=0.95) 및 약물치료를 받은 경우(OR=0.89)는 목 통증 재발 위험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목 통증 재발의 이해를 돕고,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집중적이며 장기적인 중재를 시행하는데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neck pain recurrenc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Sharing Service that utilizes a nationwide cohort in South Korea. We extracted 2 years of medical record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for 1,182,230 patients who visited healthcare services with neck pain (ICD 10 codes: M54.2) in 2020. Selected variables included age, gend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regional health vulnerability index, duration of first episode, length of stay in healthcare, and the use of physical therapy and drug treatments at the first episod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urrence rate and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currence. Among the subjects, 230,259 individuals (19.5%) experienced a recurrence of neck pain within two years, with a higher recurrence rate observed in elders and femal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isk of neck pain recurrence increased with older age (OR=1.58), being female (OR= 1.11), being a medical aid recipient (OR=1.45), residing in a region with a high health vulnerability index (OR=1.20), and longer duration of first episode (OR= 1.02). Conversely, high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OR=0.95), longer stay in healthcare (OR=0.95), and receiving drug treatment (OR=0.89)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neck pain recurr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eck pain recurrence and provide evidence of focused and long-term treatment pla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ck pain recurrence for healthcare provid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neck pain recurrenc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Sharing Service that utilizes a nationwide cohort in South Korea. We extracted 2 years of medical records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nd risk factors of neck pain recurrence using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 Sharing Service that utilizes a nationwide cohort in South Korea. We extracted 2 years of medical records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database for 1,182,230 patients who visited healthcare services with neck pain (ICD 10 codes: M54.2) in 2020. Selected variables included age, gend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regional health vulnerability index, duration of first episode, length of stay in healthcare, and the use of physical therapy and drug treatments at the first episod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recurrence rate and risk factors for neck pain recurrence. Among the subjects, 230,259 individuals (19.5%) experienced a recurrence of neck pain within two years, with a higher recurrence rate observed in elders and females. Th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risk of neck pain recurrence increased with older age (OR=1.58), being female (OR= 1.11), being a medical aid recipient (OR=1.45), residing in a region with a high health vulnerability index (OR=1.20), and longer duration of first episode (OR= 1.02). Conversely, higher health insurance premium decile (OR=0.95), longer stay in healthcare (OR=0.95), and receiving drug treatment (OR=0.89) were associated with a decrease in neck pain recurrence. This study contribute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eck pain recurrence and provide evidence of focused and long-term treatment pla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neck pain recurrence for healthcare provider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