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서번트리더십이 종사원의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과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5585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22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 경영학과 , 2022. 8

      • 발행연도

        2022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652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Study on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power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형태사항

        [v], 101 p. : 삽화 ; 26 cm

      • 일반주기명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송상호
        참고문헌: p. 76-89

      • UCI식별코드

        I804:11006-200000628650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department stores in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and the number of visiting custumers and sales are
      decreasing. To account for these situations, new and effective leadership
      model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required. Better customer service
      would be provided if the authority of decision-making is empowered to the
      employees working at the ground level. If employees are filled with efficacy
      and energy, then the organization performs more positively. There are
      various elements that can draw those kinds of employee’s work
      empowerment. Particularly, servant leadership from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s are confirmed as elements
      elevating employee’s work engagement.
      Therefore, this study hopes to find empowerment has a mediating effect
      when servant leadership from management has influence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lso,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whether employees’
      self-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POS) show a moderating
      effect when management’s servant leadership is effective on employees’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defined as follows: (1) Does servant leadership have effects on employee’s
      empowerment ? (2) Does employee’s empowerment ha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3) Does servant leadership have effects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4) Does empowerment medit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5) Does self-efficacy moder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owerment? (6)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owerment?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I randomly selected samples
      of people who work for department store and conducted a survey. 238
      questionaires in total have been collected from those people, and thos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Stewardship, people’s growth, community building , and
      conceptualization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mpowerment. (2) Stewardship, people’s growth,
      community building, and conceptualization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3)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4)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5)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n empowerment when
      community building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is concerned. (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ly moderated between stewardship
      and empowerment and it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between
      conceptualization and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the following.
      (1) For employees, in order to bring about more effective empowerment, a
      corporate leadership that shows much interest and efforts for the
      employees’ growth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Management
      needs to try to build up a better corporate culture for communication, and
      also need to actualize employees’ effective empowerment. (2) To enhance
      employee’s work engagement , the company needs to put work into
      employees growth and community building. (3) When management through
      servant leadership sets up good corporate culture and programs for
      employees in which employees can sense they are conducting important
      roles in organization, then the employees’ work engagement would be
      enhanced. (4) Servant leadership should be exercised differently according
      to employee’s level of self-efficacy, whether to focus on community
      building or focus on people’s growth. (5) As the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ws stronger, the stewardship in servant
      leadership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perception of empowerment.
      번역하기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department stores in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and the number of visiting custumers and sales are decreasing. To account for these situations, new and effective leadership model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The business environment surrounding department stores in Korea has
      been rapidly changing, and the number of visiting custumers and sales are
      decreasing. To account for these situations, new and effective leadership
      models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are required. Better customer service
      would be provided if the authority of decision-making is empowered to the
      employees working at the ground level. If employees are filled with efficacy
      and energy, then the organization performs more positively. There are
      various elements that can draw those kinds of employee’s work
      empowerment. Particularly, servant leadership from management and
      psychological empowerment of employees are confirmed as elements
      elevating employee’s work engagement.
      Therefore, this study hopes to find empowerment has a mediating effect
      when servant leadership from management has influence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Also,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whether employees’
      self-efficacy and perceived organization support (POS) show a moderating
      effect when management’s servant leadership is effective on employees’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defined as follows: (1) Does servant leadership have effects on employee’s
      empowerment ? (2) Does employee’s empowerment ha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3) Does servant leadership have effects on employee’s work
      engagement? (4) Does empowerment medit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5) Does self-efficacy moder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owerment? (6) Do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moderate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empowerment?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I randomly selected samples
      of people who work for department store and conducted a survey. 238
      questionaires in total have been collected from those people, and those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1) Stewardship, people’s growth, community building , and
      conceptualization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s on empowerment. (2) Stewardship, people’s growth,
      community building, and conceptualization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turned out to have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3)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work engagement.
      (4) Empowerment turned out to have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work engagement. (5) Self-efficacy turned
      out to have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on empowerment when
      community building among servant leadership features is concerned. (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ly moderated between stewardship
      and empowerment and it negatively moderated the effect between
      conceptualization and empower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the following.
      (1) For employees, in order to bring about more effective empowerment, a
      corporate leadership that shows much interest and efforts for the
      employees’ growth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Management
      needs to try to build up a better corporate culture for communication, and
      also need to actualize employees’ effective empowerment. (2) To enhance
      employee’s work engagement , the company needs to put work into
      employees growth and community building. (3) When management through
      servant leadership sets up good corporate culture and programs for
      employees in which employees can sense they are conducting important
      roles in organization, then the employees’ work engagement would be
      enhanced. (4) Servant leadership should be exercised differently according
      to employee’s level of self-efficacy, whether to focus on community
      building or focus on people’s growth. (5) As the employee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grows stronger, the stewardship in servant
      leadership will be more effective for the perception of empowermen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백화점 유통을 둘러싼 소매경영환경이 급변하고, 내점고객 감소와 매출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새롭고 효과성있는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 현장에서 상위관리자의 지시중심의 리더십보다 현장 종사원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위양된 리더십 방식이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장 종사원이 자신의 업무에 자신감과 에너지가 충만하다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직무열의를 견인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있다. 특히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는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변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칠 때 임파워먼트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때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상의 문제를 구성하였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서번트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를 매개하는가?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주요 문제를 검증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백화점 중대형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기입방식을 채택하였고, 총 238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 항목중 공동체 형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청지기정신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며, 비젼제시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종사원이 임파워먼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사는 경쟁보다는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조직 문화를 장려하고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잘 발휘되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의 청지기 정신을 중심으로 종사원에 대한 성장지원과 공동체 형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사는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의 일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지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종사원의 직무열의가 높아질 수 있다.
      넷째,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서번트 리더십 방법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종사원이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위의 시사하는 결과에 따르면,
      백화점 영업현장에서 종사원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위해서는 상사는 서번트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업무에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자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리더십 방식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사원의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조직의 다양한 복리 혜택과 제도에 인식이 강한 직원일수록 조직에 대한 열의와 몰입도 증가하므로 상사의 청지기정신 중심의 리더십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백화점 유통을 둘러싼 소매경영환경이 급변하고, 내점고객 감소와 매출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새롭고 효과성있는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 현장에서 상위...

      백화점 유통을 둘러싼 소매경영환경이 급변하고, 내점고객 감소와 매출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새롭고 효과성있는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 현장에서 상위관리자의 지시중심의 리더십보다 현장 종사원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위양된 리더십 방식이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장 종사원이 자신의 업무에 자신감과 에너지가 충만하다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직무열의를 견인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있다. 특히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는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변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칠 때 임파워먼트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때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상의 문제를 구성하였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서번트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를 매개하는가?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주요 문제를 검증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백화점 중대형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기입방식을 채택하였고, 총 238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 항목중 공동체 형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청지기정신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며, 비젼제시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종사원이 임파워먼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사는 경쟁보다는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조직 문화를 장려하고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잘 발휘되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의 청지기 정신을 중심으로 종사원에 대한 성장지원과 공동체 형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사는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의 일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지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종사원의 직무열의가 높아질 수 있다.
      넷째,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서번트 리더십 방법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종사원이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위의 시사하는 결과에 따르면,
      백화점 영업현장에서 종사원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위해서는 상사는 서번트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업무에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자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리더십 방식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사원의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조직의 다양한 복리 혜택과 제도에 인식이 강한 직원일수록 조직에 대한 열의와 몰입도 증가하므로 상사의 청지기정신 중심의 리더십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1
      • 제 2 절 연구 목적 3
      • 제 3 절 연구의 구성과 범위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1
      • 제 2 절 연구 목적 3
      • 제 3 절 연구의 구성과 범위 4
      • 제 2 장 이론적 배경 5
      • 제 1 절 서번트 리더십의 이론 5
      • 1. 서번트 리더십 정의 5
      • 2. 서번트 리더십 구성요소 8
      • 3. 서번트 리더십의 선행연구 12
      • 제 2 절 임파워먼트 이론 15
      • 1. 임파워먼트 개념정리 15
      • 2. 임파워먼트 구성요소 18
      • 3. 임파워먼트 선행연구 20
      • 제 3 절 직무열의 이론 23
      • 1. 직무열의 정의 23
      • 2. 직무열의 구성요소 26
      • 3. 직무열의 선행연구 26
      • 제 4 절 자기효능감 이론 31
      • 1. 자기효능감 정의 31
      • 2. 자기효능감 형성요인 33
      • 3. 자기효능감 선행연구 35
      • 제 5 절 조직지원인식 이론 37
      • 1. 조직지원인식 정의 37
      • 2. 조직지원인식 선행연구 40
      • 제 3 장 연구 설계 42
      • 제 1 절 연구 모형 42
      • 제 2 절 연구 가설 설정 42
      • 1.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관계 42
      • 2.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 43
      • 3. 임파워먼트와 직무열의의 관계 44
      • 4. 임파워먼트는 서번트 리더십과 직무열의 매개효과 45
      • 5. 자기효능감은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 조절효과 47
      • 6. 조직지원인식은 서번트 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 조절효과 48
      • 제 3 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50
      • 1. 서번트 리더십 50
      • 2. 임파워먼트 51
      • 3. 직무열의 52
      • 4. 자기효능감 52
      • 5. 조직지원인식 53
      • 제 4 절 조사설계 및 분석방법 53
      • 1. 표본 설계 53
      • 2. 설문지 구성 54
      • 3. 분석 방법 55
      • 제 4 장 실증 분석 55
      • 제 1 절 조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55
      • 제 2 절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57
      • 1.탐색적 요인분석 57
      • 2.신뢰도 분석 60
      • 3. 상관관계 분석 62
      • 제 3 절 가설 검증 62
      • 제 5 장 결 론 - 72
      •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72
      • 제 2 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75
      • 참 고 문 헌 76
      • 부 록 : 설문지 90
      • Abstract 9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