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화점 유통을 둘러싼 소매경영환경이 급변하고, 내점고객 감소와 매출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새롭고 효과성있는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 현장에서 상위...
백화점 유통을 둘러싼 소매경영환경이 급변하고, 내점고객 감소와 매출둔화에 대응하기 위해 조직관리 측면에서 새롭고 효과성있는 리더십 모델을 찾아야 하는 이슈가 있다. 현장에서 상위관리자의 지시중심의 리더십보다 현장 종사원에게 의사결정 권한이 위양된 리더십 방식이 보다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현장 종사원이 자신의 업무에 자신감과 에너지가 충만하다면 업무성과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온다. 이러한 직무열의를 견인하는 다양한 변인들이 있다. 특히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과 심리적인 임파워먼트는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향상시키는 변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아울러 상사의 서번트 리더십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칠 때 임파워먼트가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리자의 서번트 리더십이 종사원들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칠 때 종사원의 자기효능감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를 실증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상의 문제를 구성하였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은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서번트리더십은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를 매개하는가?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서번트리더십과 임파워먼트 사이를 조절하는가?
본 연구의 주요 문제를 검증하고자 서울 및 경기지역 백화점 중대형점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지 기입방식을 채택하였고, 총 238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임파워먼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번트리더십의 청지기 정신, 성장지원, 공동체 형성, 비전제시 모두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임파워먼트는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임파워먼트는 서번트리더십과 직무열의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효능감은 서번트리더십 항목중 공동체 형성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지원인식은 청지기정신이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정(+)의 방향으로 조절하며, 비젼제시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부(-)의 방향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종사원이 임파워먼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는 리더십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상사는 경쟁보다는 원활한 소통이 가능한 조직 문화를 장려하고 종사원의 임파워먼트가 잘 발휘되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높이기 위해서는 상사의 청지기 정신을 중심으로 종사원에 대한 성장지원과 공동체 형성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사는 서번트 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의 일에 대해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지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종사원의 직무열의가 높아질 수 있다.
넷째,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서번트 리더십 방법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종사원이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위의 시사하는 결과에 따르면,
백화점 영업현장에서 종사원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상사가 종사원의 성장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며, 의사소통이 원활한 조직문화 형성의 중요함을 보여준다. 또한 종사원의 직무열의를 위해서는 상사는 서번트리더십을 통해 종사원이 조직업무에 영향력을 갖고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임파워먼트를 자각할 수 있도록 조직문화나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상사는 종사원의 자기 효능감 수준에 따라 공동체 의식을 강조할지 개인의 능력을 강조할지 리더십 방식을 다르게 제안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종사원의 조직지원인식이 강할수록 상사의 청지기 정신이 임파워먼트를 지각하는데 효과적이므로 조직의 다양한 복리 혜택과 제도에 인식이 강한 직원일수록 조직에 대한 열의와 몰입도 증가하므로 상사의 청지기정신 중심의 리더십을 함양하는 것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