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국어 교과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기존 교육 내용을 선별하고 하위 영역 간에 공통되는 교육 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교육과정의 흐름 아래 학습자의 언어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88214
서울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서울
ii, 78장 : 삽화 ; 26 cm
지도교수: 이관규
참고문헌: 장 76-7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그동안 국어 교과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기존 교육 내용을 선별하고 하위 영역 간에 공통되는 교육 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교육과정의 흐름 아래 학습자의 언어생...
그동안 국어 교과는 교육과정이 개정될 때마다 기존 교육 내용을 선별하고 하위 영역 간에 공통되는 교육 내용을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교육과정의 흐름 아래 학습자의 언어생활에 유의미한 문법 교육을 중시하는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주로 문법과 작문, 문법과 독서의 통합을 연구하였는데, 문법과 화법의 통합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문법과 화법 두 영역의 통합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문법과 화법의 통합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먼저 2장에서는 통합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국어과에서 논의되는 통합적 국어 교육은 ‘기능 영역 간’의 통합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이어서 문법 및 문학 영역에서도 통합 연구를 하여 ‘전 영역 간’의 통합적 국어 교육으로 논의가 확장되었다. 통합적 문법 교육은 문법 교육의 가치를 제고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한 것으로, 문법 중심의 통합을 모색하는 교육 패러다임이다. 이러한 논의는 교육과정에도 반영되어 통합 교육이 강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문법과 화법의 통합 교육은 문자 언어 중심의 국어 교육이 갖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으며, 실제적인 문법 교육을 가능하게 하고, 활동 중심의 화법 교육을 보완할 수 있다는 데에서 의의를 지닌다.
3장에서는 교과서의 통합 양상을 검토하였다. 먼저 <국어Ⅰ>, <국어Ⅱ>의 대단원에서 통합된 영역들을 분석하여 문법과 화법 두 영역이 통합된 대단원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각 단원의 목표 및 활동을 분석하여 단원의 목표가 두 영역의 성취기준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였는지, 학습 목표가 성취기준을 ‘나열형’으로 기술하였는지 ‘결합형’으로 기술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어서 활동에서 유기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성취기준을 반영한 학습 목표 대부분이 비효율적으로 통합되었고, 기술된 목표는 전부 ‘나열형’이었다. 반면, 유기적인 활동은 교과서별로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그 정도가 0개에서 5개까지 격차가 큼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어서 영역 통합 단원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교육과정, 교과서 제작자, 교사의 노력이 필요함을 역설하였다.
4장에서는 문법과 화법의 통합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교육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문법과 화법의 교육 내용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내용 체계를 분석한 결과 두 영역의 내용 체계는 기능 영역 간의 내용 체계에 비하여 이질적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국어Ⅰ>의 내용 요소를 분석하여 두 영역의 성취기준이 어떻게 통합되는 게 바람직할지 논의하였다. 4장 2절에서는 화법 능력의 구분 및 언어 단위 크기에 따라 화법과 통합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화법 능력은 ‘언어적 능력’, ‘관계 능력’, ‘자기 점검 및 조정 능력’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세 유형의 능력에서 모두 문법 지식이 필요함을 기술하였다. 언어 단위의 크기에 따라서는 문법 지식을 음운, 단어, 문장, 담화 차원으로 나눌 수 있는데, 각각이 모두 화법 수행에 영향을 미쳤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