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친환경제품을 구매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여부, 관련 정보습득 경로 구매경험, 구매 및 비 구매 이유, 구매종류, 구매 만족도, 관심도, 향후 구입의향, 가격 수준의식, 소비자의 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2791215
아산 : 호서대학교, 2012
학위논문(석사) --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 창업컨설턴트학과 창업컨설팅전공 , 2012
2012
한국어
325.581 판사항(5)
658.8342 판사항(21)
충청남도
70장 : 삽화, 도표 ; 26 cm
참고문헌: 장 67-6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친환경제품을 구매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여부, 관련 정보습득 경로 구매경험, 구매 및 비 구매 이유, 구매종류, 구매 만족도, 관심도, 향후 구입의향, 가격 수준의식, 소비자의 환...
본 연구는 친환경제품을 구매에 따른 소비자의 인지여부, 관련 정보습득 경로 구매경험, 구매 및 비 구매 이유, 구매종류, 구매 만족도, 관심도, 향후 구입의향, 가격 수준의식, 소비자의 환경보존 도움도등에 차이를 설문 사례조사를 통해 실증 분석을 하고, 이를 통하여 친환경제품의 구매활성화 방향을 위한 효과적인 유통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첫째, 친환경 제품을 구입하는 소비자는 건강과 안전을 위해서 구매한다는 소비자는 59.3%높았고, 기혼이면서 나이가 많은 30대~50대로 선호도를 보인만큼, 나이에 맞는 효과적인 구매활성화를 유도해야 한다.
둘째, 선호도가 있는 친환경 독점제품을 취급하여 온라인 상거래 홈페이지에 지속적인 방문을 유도하고 다른 제품도 구매할 수 있는 동기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상품의 체험기를 공유하고 실제 사용자간의 솔직한 후기를 통한 제품의 긍정적인요소를 반영할 수 있는 구성을 지속 마련하는 등의 신뢰성 있는 운영이 구매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셋째, 한국인 대부분 친환경상품의 인지 율이 낮은 만큼, 친환경 제품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급자가 소비자 인식을 위한 다양한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친환경 제품의 구매활성화 목표달성을 위해서는 친환경제품에 대한 유통자와 소비자 인식의 전환과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과 다양한 프로그램운영을 통해서 친환경 제품의 구매로 인한 긍정적 요소를 지속 발굴해야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