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산과 염기’, ‘여러 가지 기체’에 대한 학업 성취 특성 분석: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of 6th Grade Students About ‘acid and base’, and ‘various gases’: Focusing on the Results of the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CA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51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emistry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macroscopic phenomena with perspective of matter and to connect this to explanations with the microscopic perspective. The contents of chemistry which are studied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ed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and change of matter using the macroscopic perspective. And the understanding with microscopic perspective is presented to be achie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refore, the contents of chemistry which ar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are important, because it could be the foundation of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and change of matt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of 6th grade students in the units ‘acid and base’ and ‘various gases’ in order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hemis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ield trial results, which were conducted from representative sampling, for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pecifically, the responses from the eight questions in the two units were categorized into response types and analyzed the correct responses rate and distribution of response type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 scores. According the results, it could be found that responses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matter, such as acids, bases, and gases, and in terms of competencies related to performing experiments, such as controlling variables and constructing experimental apparat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emistry in elementary school.
      번역하기

      Chemistry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macroscopic phenomena with perspective of matter and to connect this to explanations with the microscopic perspective. The contents of chemistry which are studied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

      Chemistry focuses on the learning process to understand macroscopic phenomena with perspective of matter and to connect this to explanations with the microscopic perspective. The contents of chemistry which are studied in elementary school are presented to understand the properties and change of matter using the macroscopic perspective. And the understanding with microscopic perspective is presented to be achiev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herefore, the contents of chemistry which ar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are important, because it could be the foundation of elementary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properties and change of matter.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academic achievement of 6th grade students in the units ‘acid and base’ and ‘various gases’ in order to expl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chemistr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field trial results, which were conducted from representative sampling, for Customized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Specifically, the responses from the eight questions in the two units were categorized into response types and analyzed the correct responses rate and distribution of response types according to the percentage of achievement scores. According the results, it could be found that responses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matter, such as acids, bases, and gases, and in terms of competencies related to performing experiments, such as controlling variables and constructing experimental apparatu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onsidered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hemistry in elementary schoo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화학’ 과목은 거시적인 현상을 물질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연계하도록 학습의 과정을 초점화한다.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화학 내용은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제시되고 있으며, 중·고등학교에서의 학습을 통해 미시적인 관점의 이해로 이어지도록 제시된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화학 내용은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가 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화학에 대하여 갖는이해를 알아보고자, ‘산과 염기’,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전국 단위에서 표집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예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두 단원에서 출제된 8개 문항에 대한 응답 유형을 구분하고, 정답률과 성취도 점수에 따른 답지 반응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 염기, 기체로 제시되는 물질들에 대한 이해에서 특징이 나타났고, 변인 통제, 실험 장치 구성 등의 실험 수행과 관련된 역량의 측면에서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의 화학에 대한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화학’ 과목은 거시적인 현상을 물질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연계하도록 학습의 과정을 초점화한다.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화학 내용은 물질의 ...

      ‘화학’ 과목은 거시적인 현상을 물질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이를 미시적인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연계하도록 학습의 과정을 초점화한다.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화학 내용은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해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도록 제시되고 있으며, 중·고등학교에서의 학습을 통해 미시적인 관점의 이해로 이어지도록 제시된다. 따라서 초등학교에서 학습하는 화학 내용은 물질의 성질과 변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가 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화학에 대하여 갖는이해를 알아보고자, ‘산과 염기’, ‘여러 가지 기체’ 단원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성취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전국 단위에서 표집한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 예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두 단원에서 출제된 8개 문항에 대한 응답 유형을 구분하고, 정답률과 성취도 점수에 따른 답지 반응 분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산, 염기, 기체로 제시되는 물질들에 대한 이해에서 특징이 나타났고, 변인 통제, 실험 장치 구성 등의 실험 수행과 관련된 역량의 측면에서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초등학교에서의 화학에 대한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들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