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문형, "정읍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 영원면 일대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소 17 (17): 171-203, 2016
2 이주헌, "익산 쌍릉의 유구와 유물에 대하여" 국립전주박물관 2016
3 이성준, "익산 쌍릉과 출토 인골의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109) : 292-325, 2018
4 오동선,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112) : 202-245, 2019
5 허진아, "성토대지 조성을 통해 본 사비도성의 공간구조 변화와 운용" 호서고고학회 (22) : 48-74, 2010
6 김종만, "사비시대 백제토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4
7 金庚澤, "부여지역 백제문화유적의 세계문화유산적 가치"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07
8 백제고도문화재단, "부여 능안골고분군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9 서현주,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국립부여박물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10 부여군, "부여 능산리고분군 조사 기록화사업 III —부여 백제고분 축조기법 연구—" 부여군 2017
1 이문형, "정읍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분포와 현황 - 영원면 일대를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소 17 (17): 171-203, 2016
2 이주헌, "익산 쌍릉의 유구와 유물에 대하여" 국립전주박물관 2016
3 이성준, "익산 쌍릉과 출토 인골의 성격에 대한 연구" 한국고고학회 (109) : 292-325, 2018
4 오동선, "영산강유역권 사비기 석실의 변천과 의미" 한국고고학회 (112) : 202-245, 2019
5 허진아, "성토대지 조성을 통해 본 사비도성의 공간구조 변화와 운용" 호서고고학회 (22) : 48-74, 2010
6 김종만, "사비시대 백제토기 연구" 서경문화사 2004
7 金庚澤, "부여지역 백제문화유적의 세계문화유산적 가치"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한국전통문화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07
8 백제고도문화재단, "부여 능안골고분군 3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2017
9 서현주, "부여 능산리고분군과 백제 사비기 고분의 위계" 국립부여박물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19
10 부여군, "부여 능산리고분군 조사 기록화사업 III —부여 백제고분 축조기법 연구—" 부여군 2017
11 김낙중, "백제 횡혈식석실의 확산 및 지역성-영산강유역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회 (71) : 130-163, 2009
12 土田純子, "백제 토기의 편년 연구 : 삼족기·고배·뚜껑을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4
13 장재원, "백제 사비도성의 묘역 조성과 확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2020
14 남호현, "백제 사비기 지방통치거점의 복원을 위한 예비작업 –고고자료와 전통경제권의 비교를 통한 해석 모델의 검토–" 한국상고사학회 69 (69): 127-156, 2010
15 김환희, "백제 사비기 인장와의 변천과 제작체계 - 부여지역을 중심으로김환희" 한국고고학회 (94) : 104-143, 2015
16 이병호, "백제 사비기 익산 개발 시기와 그 배경" 백제연구소 (61) : 69-105, 2015
17 서현주, "백제 사비기 왕릉 발굴의 새로운 성과와 역사적 해석" 한국고대사학회 (88) : 47-98, 2017
18 서현주, "백제 사비기 능산리유형 석실묘의 발전과 그 의미" 서울특별시·백제학회·한성백제박물관 2018
19 정호섭, "백제 벽화고분의 조영과 문화 계통" 한국고대사학회 (61) : 301-336, 2011
20 박순발, "동아시아 문화의 정수 백제왕도" 문화재청 2019
21 公州大學校博物館, "鹽倉里古墳群" 2003
22 李南奭, "陵山里 古墳群과 百濟王陵"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9 : 2000
23 崔完奎, "益山地域의 百濟古墳과 武王陵"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15 : 2001
24 朴淳發, "百濟의 都城과 墓域"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16
25 盧重國, "百濟政治史硏究 : 國家形成과 支配體制의 變遷을 中心으로" 一潮閣 1994
26 姜仁求, "百濟古墳硏究" 一志社 1977
27 金周成, "百濟 사비時代 政治史 硏究"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0
28 山本孝文, "百濟 泗沘都城의 官僚와 住居 空間"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2004
29 山本孝文, "百濟 泗期 石室墳의 階層性과 政治制度" 한국고고학회 47 : 93-136, 2002
30 梁起錫, "百濟 威德王代 王權의 存在形態와 性格"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1 : 1990
31 田中俊明, "王都로서의 泗沘城에 대한 豫備的 考察"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1 : 2000
32 吉井秀夫, "熊津·泗沘時代 百濟 橫穴式石室墳의 基礎硏究" 慶北大學校大學院 1992
33 山本孝文, "泗?期 石室의 基礎編年과 埋葬構造 -扶餘 鹽倉里ㆍ陵山里 지역을 中心으로" 백제연구소 (43) : 135-163, 2006
34 김영심, "泗沘都城과 百濟의 城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0
35 朴淳發, "泗沘都城 —陵山里 및 軍守里地點 發掘調査 報告書—"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大田地方國土管理廳 2003
36 오동선, "榮山江流域圈 蓋杯의 登場과 變遷過程" 한국고고학회 (98) : 128-167, 2016
37 李漢祥, "扶餘 王興寺 木塔址 遺物에 대한 새로운 理解"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6 : 2009
38 서현주, "古代 甲川流域 百濟 泗沘期 古墳의 分布와 歷史的 意味" 백제연구소 (63) : 65-95, 2016
39 허윤영, "6~7세기 부여지역 백제 횡혈식석실묘의 시·공간적 분포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2017
40 李漢祥, "5~7世紀 百濟의 帶金具" 古代硏究會 5 :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