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기존 개화기 소설 연구에서의 논쟁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연구의 성과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개화기 소설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개화기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711131
이영아 (명지대학교)
2011
Korean
개화기 소설 ; 신소설 ; 단형서사 ; 딱지본소설 ; 대중소설 ; 자국어 글쓰기 ; 국어사 ; Gae-hwa-gi's novel ; Sin-so-seol ; popular novel ;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 the writing in the vernacular ; 開化期 小說 ; 新小說
911
KCI등재
학술저널
139-184(46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기존 개화기 소설 연구에서의 논쟁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연구의 성과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개화기 소설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개화기 ...
본고에서는 기존 개화기 소설 연구에서의 논쟁적인 문제들을 살펴보고, 지금까지의 연구의 성과를 통해 보다 종합적인 개화기 소설 목록을 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통해 개화기 소설의 목록들이 국어사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바를 모색하고, 또한 이것이 개화기 소설 연구에서 참조할 수 있는 바를 발견하기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에서 ‘개화기 소설’은 1896년부터 1910년 8월 이전까지 신문, 잡지, 단행본으로 발표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개화기 소설 자료에 대한 검토를 하기 전에 기존 개화기 소설 연구에서 가장 쟁점이 되어 온 세 가지 문제, ‘신소설’이라는 명칭, ‘단형서사’의 문제, 최초의 개화기 소설 등에 대해 연구사를 검토하고, 이에 대한 정리를 시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개화기 소설의 목록을 작성해 나갔다. 목록화의 일차적 대상은 ‘소설’, ‘신소설’, ‘단편소설’ 등의 표제를 달고 발표된 텍스트들이었다. 그러나 신문의 경우 ‘소설’이라는 표지가 없더라도 문학적 서사 양식으로서의 특성이 뚜렷이 보이는 경우에는 소설 목록에 포함시켰다. 이러한 목록화를 통해 목표하는 바는, 이들 텍스트를 ‘소설’이라는 의식 하에 국어학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1900~1910년대를 거치며 형성되어 간 ‘자국어 글쓰기’의 ‘전범’이 무엇이 되었는지, 소설의 언어적 특질이 어떠한 것이었는지, 이 과정에서 가장 크게 영향을 끼친 것이 전대의 문학(소설) 개념ㆍ서구의 소설 양식(문예이론)ㆍ독자에 대한 고려ㆍ글쓰기의 목적(주제의식) 등 중에서 무엇인지 등을 밝히기 위해 이 목록에 대한 국어학계의 관심을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main bone of contention in the study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and to make a full list of it. This paper will suggest the new way for the study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t will help and enc...
This study aims to survey the main bone of contention in the study of Gae-hwa-gi's novel(開化期 小說) and to make a full list of it. This paper will suggest the new way for the study of history of Korean language. Furthermore it will help and encourage interdisciplinary research betwee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he “Gae-hwa-gi's novel” in this paper means the novel that published in newspapers, magazines or books from 1896 to August in 1910. The name of “Sin-so-seol(新小說)” at existing study is improper to explain the novels of that period. The boundary of “Gae-hwa-gi's novel” should be extended to the short narrative, the novel written in Chinese, and the novel of unknown authorship etc. My list of “Gae-hwa-gi's novel” was made in view of this thought. I hope that my list help many historians of Korean language to search and select the text for studying. I also hope that historians of Korean language will establis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odern novel and the writing in the vernacular.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재선, "한말의 신문소설" 한국일보사 1975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연표" 서울대출판부 1987
3 김근수, "한국잡지개관 및 호별목차집" 한국학연구소 1973
4 소재영, "한국의 딱지본" 범우출판사 1996
5 김동식, "한국의 근대적 문학개념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 1999
6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7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9
9 권보드래, "한국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000
10 한기형, "한국근대소설사의 시각" 소명출판 1999
1 이재선, "한말의 신문소설" 한국일보사 1975
2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연표" 서울대출판부 1987
3 김근수, "한국잡지개관 및 호별목차집" 한국학연구소 1973
4 소재영, "한국의 딱지본" 범우출판사 1996
5 김동식, "한국의 근대적 문학개념 형성과정 연구" 서울대 1999
6 정진석, "한국언론사" 나남 1990
7 김윤식, "한국소설사" 예하 1993
8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9
9 권보드래, "한국근대소설의 기원" 소명출판 2000
10 한기형, "한국근대소설사의 시각" 소명출판 1999
11 이광린, "한국개화사연구" 일조각 1998
12 이희정, "한국 근대소설의 형성과, in 매일신보" 소명출판 2008
13 김영민, "한국 근대 소설사" 솔출판사 1997
14 한원영, "한국 개화기 신문연재소설연구" 일지사 1990
15 송민호, "한국 개화기 소설의 사적 연구" 일지사 1975
16 이재선, "한국 개화기 소설 연구" 일조각 1972
17 김태준, "증보조선소설사" 한길사 1990
18 안확, "조선문학사" 최원식 1984
19 이은숙, "신작구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2000
20 조동일, "신소설의 문학사적 성격" 한국문화연구소 1973
21 강병조, "신소설과 개화담론의 대응양상 연구" 서울대 1999
22 전광용, "신소설 연구" 새문사 1986
23 임화, "신문학사" 한길사 1993
24 권영민, "서사양식과 담론의 근대성" 서울대출판부 1999
25 Anderson, Benedict, "상상의 공동체-민족주의의 기원과 전파에 대한 성찰(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나남 2002
26 강옥희, "딱지본 대중소설의 형성과 전개" 대중서사학회 (15) : 7-52, 2006
27 정종현, "딱지본 대중소설의 발견" 민속원 2009
28 김청강, "딱지본 대중소설, 혼란과 판타지" 대중서사학회 (15) : 89-119, 2006
29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003
30 하동호, "근대서지고습집" 탑출판사 1986
31 김영민, "근대계몽기 문학 연구의 성과와 과제" 인문과학연구소 (50) : 21-50, 2006
32 김교봉, "근대 전환기 소설 연구" 국학자료원 1991
33 이주영, "구활자본 고전소설 연구" 월인 1998
34 정선태, "개화기 신문논설의 서사수용 양상" 소명출판 1999
35 정선태, "개화기 신문논설의 서사 수용양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 1999
36 閔賢植, "개화기 국어 어휘 연구 방법의 재검토" 동양학연구소 (32) : 257-290, 2002
37 권순긍, "1910년대 활자본 고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1990
38 이영아, "1910년대 『매일신보』 연재소설의 대중성 획득 과정 연구" 한국현대문학회 (23) : 43-81, 2007
『月印釋譜』卷 十八과 『法華經諺解』卷 六, 卷 七의 飜譯에 대한 比較 硏究 -意譯과 直譯 樣相을 中心으로
國漢 混用文 聖經의 定着 過程 -『簡易 鮮漢文 新約聖書(1913/1936)』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16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4-01-09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5-04-2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1 | 0.61 | 0.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 | 0.62 | 1.345 | 0.3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