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의 미술치료 사례연구 = A Case Study of Art Therapy for Adolescents Victimized by Non-Suicidal Self-Injury (NSSI) from Depre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69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증을 진단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주 1~2회 50분씩 35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를 진행하며 수집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의뢰 당시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으로 우울증을 진단받고 이로 인한 일상적, 심리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외부 자극을 해소하지 못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적응 문제 행동을 보였다. 이에 연구자는 정서와 사고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외부 자극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내적 자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억압된 감정과 생각을 표출하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탐색하였고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가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대처 방법을 탐색하며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도왔다.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일상적, 심리적 어려움에서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대처 방법을 탐색하며 심리적인 안정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매회기 축어록과 관찰 기록지, 회기 보고서 및 모와의 면접 내용을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회기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가 비자살적 자해를 겪고 있는 우울증 청소년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보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외부 환경에 대한 양면성과 긴장감, 예민함이 미술 작업을 통해 자유롭고 안전하게 표출되면서 긴장이 해소되고 이완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잘하고자 하는 사고와 압박감을 외부로 표출하여 불안을 인식하고 미술 작업을 통해 자기 통제를 경험하였다.
      셋째, 미술 작업이라는 자극은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에게 자발적 집중을 이끌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기 파괴적 행동이 감소되고 시도해보는 도전을 경험함으로써 자기 돌봄·이해·수용으로 전환되었다.
      넷째,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외부 자극에 대한 왜곡적인 해석이 감소되고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주변 관계 회복이 시작되었다.
      다섯째, 미술치료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자기 파괴적인 비자살적 자해 빈도가 낮아졌다.
      여섯째,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과 불안이 낮아지고 인지 정서 조절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 대상자는 초기에는 외부 자극을 왜곡적으로 해석해 부정적으로 느꼈으며, 복잡한 감정을 해소하지 못하고 자신을 해하는 비자살적 자해로 해소하였다면 현재는 외부 자극을 해석할 때 맥락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단서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자기표현을 분명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보다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핵심 되는 말 : 비자살적 자해,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연구
      번역하기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증을 진단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 ...

      본 연구는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미술치료를 통해 무엇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우울증을 진단받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9년 8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주 1~2회 50분씩 35회기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미술치료를 진행하며 수집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의뢰 당시 초등학교 5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으로 우울증을 진단받고 이로 인한 일상적, 심리적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외부 자극을 해소하지 못하고 민감하게 반응하며 부적응 문제 행동을 보였다. 이에 연구자는 정서와 사고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외부 자극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내적 자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억압된 감정과 생각을 표출하는 과정을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탐색하였고 연구자는 연구 대상자가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대처 방법을 탐색하며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도왔다.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가지고 있는 일상적, 심리적 어려움에서 자기를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대처 방법을 탐색하며 심리적인 안정을 목표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매회기 축어록과 관찰 기록지, 회기 보고서 및 모와의 면접 내용을 수집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회기를 분석한 결과, 미술치료가 비자살적 자해를 겪고 있는 우울증 청소년에게 심리적으로 긍정적인 변화가 보여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의 미술치료를 통해 경험한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외부 환경에 대한 양면성과 긴장감, 예민함이 미술 작업을 통해 자유롭고 안전하게 표출되면서 긴장이 해소되고 이완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미술치료 과정에서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잘하고자 하는 사고와 압박감을 외부로 표출하여 불안을 인식하고 미술 작업을 통해 자기 통제를 경험하였다.
      셋째, 미술 작업이라는 자극은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에게 자발적 집중을 이끌었으며 그 과정에서 자기 파괴적 행동이 감소되고 시도해보는 도전을 경험함으로써 자기 돌봄·이해·수용으로 전환되었다.
      넷째,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외부 자극에 대한 왜곡적인 해석이 감소되고 수용할 수 있게 되면서 주변 관계 회복이 시작되었다.
      다섯째, 미술치료를 통해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은 자기 파괴적인 비자살적 자해 빈도가 낮아졌다.
      여섯째, 비자살적 자해를 겪는 우울증 청소년이 느끼는 우울과 불안이 낮아지고 인지 정서 조절이 향상되었다.
      결론적으로 연구 대상자는 초기에는 외부 자극을 왜곡적으로 해석해 부정적으로 느꼈으며, 복잡한 감정을 해소하지 못하고 자신을 해하는 비자살적 자해로 해소하였다면 현재는 외부 자극을 해석할 때 맥락을 이해할 수 있으며 객관적인 단서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고, 자기표현을 분명하게 표현함으로써 감정을 보다 적절하게 해소할 수 있다.


      핵심 되는 말 : 비자살적 자해, 우울증, 청소년, 미술치료, 사례연구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had intended to verify if what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o are experiencing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With the adolescents who received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s the subjects, this research had proceeded with the art therapy for 35 sessions at 50 minutes each for 1 to 2 times a week from August 2019 until February 2020. By us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while proceeding with the art therapy, it had been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examples research method.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s the youths who had been attending the 5th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s at the time of the entrustment, they received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nd they had the everyday lif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this. Especially, by reacting sensitively without being able to alleviate the external stimulation, they had shown the maladaptation problem behaviors. As such, while enabling the intact maintenance of the emotions and the thoughts and while enabling the adaptation to the external stimulations, I, the researcher, had enabled the formation of an internal resource.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uppressed emotions and thought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had explored the negative emotions. A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I, the researcher, had helped so that they could be stabilized psychologically while exploring the diverse methods for the coping.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from the everyday lif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are possessed by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ile exploring the diverse coping methods,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goal of the psychological stability.
      Regarding the collection of the data for this research, the verbatim records of every session, the observation records sheets, the written session report,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so-and-so's had been collected. And they had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ssion in this research, it had been able to know that art therapy had shown a psychologically positive change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eaning that had been experienced through the art therapy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is as the following:
      Firstly, in the process of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le the double-sidedness, the feeling of tension, and the sensitivity rega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had been expressed freely and safely through the art work, they had shown the appearance of the tension getting eased and relaxed.
      Secondly, in the process of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by expressing the thought of intending to do well and the feeling of pressure to the outside, they had recognized the insecurity. And, through the art work, they had experienced the self-control.
      Thirdly, the stimulation called "the art work" had led the voluntary concentration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And, in this process, with the self-destructive behavior getting reduced, and, by experiencing the challenge of attempting, they had been converted to the self-care, the self-understanding, and the self-acceptance.
      Fourthl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le the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he external stimulations had been reduced and while becoming able to accept them, the surrounding relationship recovery began.
      Fifthly, through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the frequency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ch was self-destructive, got low.
      Sixthly, the depression and the anxiety that had been felt by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experienced the non-suicidal self-injury had become low,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been improved.
      In conclusion,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itially, because they had distortedly interpreted the external stimulations, they had felt negatively. And, if, without being able to relieve the complicated emotion, they had solved through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ch harms themselves, at the present, when interpreting an external stimulation, the context can be understood. And the objective clue became able to be acquired. And, by clearly and distinctly expressing their self-expressions, they can alleviate the emotions more appropriately.


      Keywords : Non-suicidal self-injury, depression, adolescent, art therapy, and case examples research.
      번역하기

      This research had intended to verify if what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o are experiencing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With the adolescents who received the diag...

      This research had intended to verify if what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o are experiencing non-suicidal self-injury experience through art therapy and what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With the adolescents who received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s the subjects, this research had proceeded with the art therapy for 35 sessions at 50 minutes each for 1 to 2 times a week from August 2019 until February 2020. By using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while proceeding with the art therapy, it had been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case examples research method.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s the youths who had been attending the 5th grade at the elementary schools at the time of the entrustment, they received the diagnosis of depression, and they had the everyday lif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due to this. Especially, by reacting sensitively without being able to alleviate the external stimulation, they had shown the maladaptation problem behaviors. As such, while enabling the intact maintenance of the emotions and the thoughts and while enabling the adaptation to the external stimulations, I, the researcher, had enabled the formation of an internal resource.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suppressed emotions and thought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had explored the negative emotions. And, through the process of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I, the researcher, had helped so that they could be stabilized psychologically while exploring the diverse methods for the coping. Through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accepting themselves from the everyday life an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at are possessed by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ile exploring the diverse coping methods, the research had been conducted with the goal of the psychological stability.
      Regarding the collection of the data for this research, the verbatim records of every session, the observation records sheets, the written session report, and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s with the so-and-so's had been collected. And they had been comparatively analyz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ssion in this research, it had been able to know that art therapy had shown a psychologically positive change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s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meaning that had been experienced through the art therapy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is as the following:
      Firstly, in the process of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ve disorder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le the double-sidedness, the feeling of tension, and the sensitivity regarding the external environment had been expressed freely and safely through the art work, they had shown the appearance of the tension getting eased and relaxed.
      Secondly, in the process of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by expressing the thought of intending to do well and the feeling of pressure to the outside, they had recognized the insecurity. And, through the art work, they had experienced the self-control.
      Thirdly, the stimulation called "the art work" had led the voluntary concentration of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And, in this process, with the self-destructive behavior getting reduced, and, by experiencing the challenge of attempting, they had been converted to the self-care, the self-understanding, and the self-acceptance.
      Fourthl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le the distorted interpretation of the external stimulations had been reduced and while becoming able to accept them, the surrounding relationship recovery began.
      Fifthly, through the art therapy, regarding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been experiencing the non-suicidal self-injury, the frequency of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ch was self-destructive, got low.
      Sixthly, the depression and the anxiety that had been felt by the adolescents with depression who had experienced the non-suicidal self-injury had become low, and the cognitive emotional regulation had been improved.
      In conclusion, regard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initially, because they had distortedly interpreted the external stimulations, they had felt negatively. And, if, without being able to relieve the complicated emotion, they had solved through the non-suicidal self-injury, which harms themselves, at the present, when interpreting an external stimulation, the context can be understood. And the objective clue became able to be acquired. And, by clearly and distinctly expressing their self-expressions, they can alleviate the emotions more appropriately.


      Keywords : Non-suicidal self-injury, depression, adolescent, art therapy, and case examples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우울증 7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우울증 7
      • 가. 우울증 정의 7
      • 나. 우울증 특성 8
      • 다. 청소년 우울증 9
      • 2. 비자살적 자해 10
      • 가. 비자살적 자해의 특징 10
      • 나. 청소년과 비자살적 자해 12
      • 3. 청소년 미술치료 13
      • Ⅲ. 연구 방법 16
      • 1. 연구 대상 16
      • 가. 연구 대상자 16
      • 나. 연구 대상자의 의뢰 사유 18
      • 다. 연구 대상자의 성장 배경 및 가족관계 19
      • 2. 연구 절차 21
      • 가. 연구 기간과 장소 선정 21
      • 나. 자료 수집 21
      • 다. 연구 타당도와 신뢰도 22
      • 라. 연구 대상자에 대한 윤리적 고려 22
      • 3. 측정 도구 23
      • 가. 그림 검사 23
      • 1) K-HTP 23
      • 2) KFD 24
      • 3) PITR 25
      • 4) PPAT 26
      • 나. 척도 검사 27
      • 1) 아동 우울 척도 27
      • 2) 한국형 소아 상태 불안 척도 28
      • 3) 인지 정서 조절 전략 척도 29
      • 4. 미술치료 프로그램 30
      • Ⅳ.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 및 분석 37
      • 1. 미술치료 회기별 내용 및 분석 37
      • 가. 초기 단계 38
      • 나. 중기Ⅰ단계 43
      • 다. 중기Ⅱ단계 50
      • 라. 종결 단계 57
      • 2. 단계별 변화 64
      • 3. 그림 검사 분석 66
      • 가. K-HTP 66
      • 나. KFD 67
      • 다. PITR 68
      • 라. PPAT 69
      • 4. 척도 검사 분석 70
      • 가. 아동 우울 척도 사전·사후 결과 70
      • 나. 한국형 소아 상태 불안 척도 사전·사후 결과 71
      • Ⅴ. 결론 및 제언 73
      • 참고문헌 79
      • 부 록 90
      • Abstract 1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