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명실 ; 최경숙, "후기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모형 검증" 한국상담학회 8 (8): 1085-1099, 2007
2 홍성표 ; 정진철,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진학결정수준과 준비행동에 따른 진로결정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5 (35): 1-30, 2016
3 김혜경, "특성화고 학생이 지각하는 교사의 사회적지지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북대학교 대학원. 2020
4 홍선경,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적지지와 취업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1
5 최은주, "초등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과의 상관관계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6 김선경 ; 이은경,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순차적 매개효과"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7 (17): 29-52, 2020
7 김광수,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현황과 지도방안" 17 (17): 1-15, 2002
8 조성희 ; 김웅수, "청소년의 참여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605-613, 2017
9 강란혜 ; 이미정,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 진로태도, 직업가치관, 사회적지지" 한국생활과학회 20 (20): 941-953, 2011
10 김영민 ; 임영식,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잉적 양육, 자아탄력성, 학교적응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5 (15): 343-366, 2013
11 박성연 ; 이은경, "청소년기 자녀에 대한 부모의 심리적 통제 구성요소의 타당성 연구:분리불안 심리적통제와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한국아동학회 30 (30): 211-229, 2009
12 김주현 ; 조민아, "진로준비행동 촉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사례연구: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진로의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5 (5): 57-78, 2020
13 최태호 ; 박미숙,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구조적관계에서 우연대처기술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7 (7): 345-357, 2020
14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15 이지영, "진로미결정의 선행 변인과 결과 변인으로서의 직업탐색행동 및 구직성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16 홍세희 ; 이현정 ; 이현정 ; 조기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58) : 173-194, 2019
17 장경문, "지각된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가 남녀 초등학생의 자존감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8 (18): 243-261, 2011
18 한재숙, "중학생이 지각한 체육교사의 자율성지지가 체육교과 학업열의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19 김미정, "중학생의 자아탄력성, 가족건강성, 사회적 지지와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1
20 박완성, "중·고등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57-73, 2010
21 김종운 ; 김현희, "전문대학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797-814, 2016
22 조현정 ; 서보람 ; 이현민, "전문대학 비서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과 전공만족도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취업진로학회 10 (10): 1-21, 2020
23 김수정 ; 송성화 ; 조민경,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26 (26): 85-107, 2013
24 진경미, "전공선택동기, 진로결정수준, 취업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 21 13 (13): 1299-1310, 2022
25 김재희, "저소득가정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성숙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2 (32): 1-24, 2019
26 김지연 ; 이기학, "자아탄력성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취동기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1-25, 2014
27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28 김은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근거한 자율성지지 학습 환경 척도 개발 및 동기 내면화의 구조적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9 채윤정 ; 박선형, "일반고 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태도성숙의 매개효과"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687-696, 2017
30 김명희 ; 최웅용, "일반계 여고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포부를 매개로-" 한국진로교육학회 27 (27): 83-107, 2014
31 홍후조 ; 안영수,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학결정수준과 진학준비행동수준에 따른 진학준비 유형에 관한 연구" 안암교육학회 7 (7): 193-226, 2001
32 조혜은, "일반계 고등학생의 진로포부와 부모진로지지, 교사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의 구조적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33 김자숙, "유아가 지각하는 사회적 지지와 사회정서적 적응행동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4 양진희 ; 김봉환, "여대생의 심리적 독립, 진로정체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진로교육학회 21 (21): 57-72, 2008
35 김보미, "어머니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아동의 자기조절학습 효능감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36 최춘희, "실업자의 성격특성이 진로준비행동과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 : 구직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광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37 강원덕 ; 안귀여루, "성취동기, 내재적 직업가치, 진로장벽이 고등학생의 진로성숙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강심리학회 15 (15): 161-175, 2010
38 고태용,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장벽이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8
39 송현심 ; 홍혜영, "사회적 지지, 진로결정 자율성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1 (11): 1325-1350, 2010
40 이알찬,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한 대학생의 성격 및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진로준비행동간의 구조적 관계"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41 노보혜 ; 박성연 ; 지연경,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학습관여 및 양육행동과 아동의 자기결정동기 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2 (32): 83-97, 2011
42 전미리, "부모진로지지와 대학생의 성격요인이 진로선택몰입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9 (39): 1-24, 2020
43 안미경 ; 유금란, "부모의 진로 및 자율성 지지가 고등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영향 : 성별에 따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0 (20): 73-95, 2013
44 김정수 ; 정지연,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청소년의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역할"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9 (9): 31-50, 2012
45 이광자 ; 김순옥, "부모 지지와 고등학생 진로발달과의 관계 연구- 일반계, 산업정보계, 실업계의 비교 -" 가정과삶의질학회 23 (23): 1-14, 2005
46 이재창 ;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성숙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19 (19): 393-407, 2007
47 김미림 ; 박민호, "랜덤 포레스트를 활용한 대학생의 최초 취업 사교육 참여 시점별 특성 분석" 교육연구소 40 (40): 1-33, 2019
48 최동선,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과 동기 요인 및 애착의 관계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49 신미경 ; 김희수, "대학생의 진로소명의식, 진로결정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131-148, 2017
50 백인선 ; 정기수,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수준과 고용가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457-477, 2018
51 최지선,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52 이종찬, "대학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연구성과의 비교분석" 3 (3): 49-66, 2013
53 손은령 ; 김연중,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의 이차원적 유형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한국진로교육학회 23 (23): 1-20, 2010
54 김기홍,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학습몰입,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대진대학교 대학원. 2019
55 진현정, "대학생의 부모애착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56 윤지온 ; 강영배, "대학생의 가정 내 사회자본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7 (17): 31-46, 2019
57 박유리, "대학생 진로준비행동 관련 변인 국내연구 메타분석"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58 김효진 ; 장윤옥, "공업고등학교 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32, 2011
59 이보람,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지지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양부모와 한부모 가정의 차이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5
60 김희연 ; 조규판,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및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학습몰입 간의 관계에서 학업정서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8 (28): 347-368, 2021
61 이호진 ; 김완일, "고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직업가치의 매개효과: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22 (22): 429-452, 2015
62 박완성 ; 김미숙, "고등학생의 진로교육경험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129-1147, 2021
63 강혜정, "고등학생의 진로관련 부모지지, 진로결정 자율성,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탐색" 한국진로교육학회 31 (31): 43-62, 2018
64 김봉환 ; 박현주, "고등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419-440, 2006
65 이순자, "고등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22 : 3-18, 2012
66 송지숙 ; 안귀여루, "고등학생의 부정적 정서상태 및 자아개념이 진로의사결정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1 (21): 279-302, 2014
67 장명희 ; 곽미선 ; 안주리,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 :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직업교육학회 39 (39): 1-18, 2020
68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69 Betz, N. E., "The relationship of career related self-efficacy expensive to perceived career options in college women and men" 28 : 399-410, 1981
70 Grolnick, W. S., "The inner resources for school performance : Motivational mediators of children's perceptions of their parents" 83 : 508-517, 1991
71 Bandura, A., "Self-efficacy :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84 : 191-215, 1977
72 Silk J. S., "Psychological control and autonomy granting : Opposite ends of a continuum or distinct constructs?" 13 (13): 113-128, 2003
73 Grolnick, W. S., "Parenting and children's internalization of values: A handbook of contemporary theory" Wiley 135-161, 1997
74 Grolnic, W. S., "Parent style associated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competence in school" 81 (81): 143-154, 1989
75 Malecki, C. K., "Measuring perceived social support :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Adolescent Social Support Scale(CASSS)" 39 : 1-18, 2002
76 Williams, G. C., "Internalization of biopsychosocial values by medical students : A test of self-determination theory" 70 : 767-779, 1996
77 Soenens, B., "Conceptualizing parental autonomy support : Adolescent perception of promotion of independence versus promotion of volitional functioning" 43 : 633-646, 2007
78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 63-81, 1983
79 Grolnick, W. S.,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mothers' autonomy support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38 (38): 143-155, 2002